• Title/Summary/Keyword: 가족사업기관

Search Result 6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Job and Competency of Healthy Family Supporter in Charge of Counselling Work for Training (상담영역 건강가정사의 직무 및 보수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한 역량연구)

  • Lee, Yoon-J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5
    • /
    • pp.358-368
    • /
    • 2011
  • The aims of this article are to examine the basic law, contents and concept of counselling work for healthy family and provide the jobs and competency of healthy family supporter for counselling work. The research objects are 48 healthy family supporters for counselling work inclusive of full-time and part-time position. They are analyzed through the survey using questionnaire made by ministry of women and family and headquarter of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The process of research consists of two parts. One is to suggest their jobs and requirements, the other is to offer their core competency and area for improvement. First, the jobs of healthy family supporters for counselling work are planning, performance and valuation consist of 29 items. A publicity activity of them is the work strengthened strategically. The requirements for the performance of their duties are having a master's degree, career for 3years, and a certificate of qualification of family counselor, healthy family supporters and social worker. Second, their competencies ar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 and life cycle of family, family law, education of family life, ability of documentation, data analysis, sensitivity of the change of family, society and environment, ability of solving the problem, attitude of the dignity of man, positiveness and so on.

Health Promotion Through Healthy People 2010 ("2010년대 건강한 시민" 정책을 통한 미국의 건강증진 방향)

  • Cho, Jung 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4.10a
    • /
    • pp.17-58
    • /
    • 2004
  • 뉴저지주 보건교육/건강 증진정책을 논하기전에 건강증진과 보건 교육사의 뜻을 먼저 기술하기로 한다. 건강증진이란 일상 사회생활과 행동과학의 응용에서 시작하며 교육의 효율적 작전 및 기술, 질병 역학 조사, 개인 및 가족단위 건강 위해 행위 절감, 사회연관 구축망 조성, 그리고 적게는 이웃, 더 나아가 조직체계 및 지역 사회의 네트웍 실시등을 실시한다. 보건교육 및 건강증진 전문가란 ' 전국 보건교육 인증 위원회(NCHEC) ' 에서 채택된 다음 7개 활동 영역에서 개인적, 그룹, 각주단위, 그리고 범 국가적 조직에서 종사하는자로 한다. 개인 및 지역사회 보건 교육 필요성 분석- 계회, 실행, 효율성 평가, 사업 진행 조정, 자문, 컴뮤니케이션 등의 활동범위를 들 수 있다. 공인 보건 교육사(CHES)란 대학 및 대학원에서 보건 교육학 소정의 필수 과목을 이수하고 학.석사 소지자로서 ' 전국 보건 교육 인증 위원회 ' 에서 그 자격을 인정 받고 공인 자격 시험에 합격한자로 한다. 합격자는 자기 성명뒤에 CHES란 칭호를 부치며 매 5년마다 75단위이상 인정된 전문 직업 보수 교육을 받아야 한다. 보건 교육사 고용 분야는 연방, 주, 지방 정부의 보건 교육사(10-15%) 및 건강 증진 전문가로 종사하며; 이들은 지역 사회 조직화, 프로그람 기획, 공공사업 마켓팅, 메디아, 컴뮤니케이션 자질을 갓추어야 하며; 상해 예방, 학교 보건, 지역 사회 영양 실태 향상, 그 외 모든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에 일익을 담당 하여; 의사, 간호사, 약사, 영양사,환경 위생사드의 전문분야종사자들괴 한팀이 되어 지역 사회 보건 사업에 기여한다. 쥬저지 보건 교육사들은 주법령 8조 '||'&'||' 보건행정 표준 시행령 ' 에 따라 포괄적 보건교육/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총체적으로 조절 관장한다. 특희 ' 미국 학술원 의료 연구원 ' 에서 제정한 ' 10대 필수 공중 보건 사업 ' 에 기준을 두고; 1) 개인 및 지역사회 필수 보건 여건 분석 평가, 2) 보건 교육 이론에 따른 사업 계획 설정, 3) 교육 전략과 보건문제 발굴에 따라 일반 대중 대상 보건 교육 실행 (프로그람 기획, 연수 교육, 미디어 캠페인, 공중보건 향상책 옹호), 4) 사업 진행 과정 정리, 그 결과에 대한 영향력과 결과 평가, 5) 프로그램진행, 인사 및 예산관리 참여, 6) 근무향상을 위한 보수교육 프로그램 개발, 7) 보건 의료 업무 종사자 상호 협조성 향상 훈련, 8) 지역 사회자원 밭굴, 9) 적절한 고객 의뢰 체제 시행, 10) 위기 관리 컴뮤니케이션 체제 개발실시, 11) 일반 대중에게 공중 보건 향상 고취, 12) 각종 협력 지원금 신청서 작성 제출, 13) 문화/인종적으로 적절한 시청각 교재 발굴, 15) 질적 및 양적 보건교육/건겅증진책 연구 실시, 16) 비 보험 가담자, 저 보험자, 빈곤자, 이민자 색출 선도, 17) 관활 구역내 상재하는 각 건강증진 프로그램 밝혀 내서 불필요한 중복 회피등이다. 그 외에도 보건 교육사들은 사회 복지 단체인 미국 암 협회, 미국 심장 협회,미국 폐장 협회 등 각종 사회 복지 비영리단체 와 자선 사업 단체들과 긴밀희 협조하거나 그 단체 임직원으로서 건강 증진 사업에 종사한다. 병원 및 의료기관에선 임직원 보수 교육, 환자의 질병 예방및 건강증진 교육, 그리고 의료 사업장내 건장 증진업무에 종사한다. 건강 유지 의료 기관(HMO)에선 예방주사, 정기검진 촉진등을 통한 입원일수 절감, 응급실 사용도 절감등으로 의료비 감축, 삶의질 향상상에 종사한다. 사업장 보건 교육사는 스트레스 관리, 금연 및 흡연 중단선도, 체중 절감, 종업원 건강증진 생활화참여 유치, 컴뮤니케이션 개발, 마켓팅, 질병 예방등에 그 전문 직업적 노하우를 사업체 건강 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접목한다. 뉴저지 2010년대 건강 증진책은 5대 목표 설정하여 현재 시행하고 있다. 특이한점은 2001년 9.11사태 이후 연방정부와 주정부의 상당한 예산 지원을 그랜트 지원금 형식으로 받아 연방, 주정부, 지방 정부, 의료 기관등에서 일사 불란하게 생물/화학/방사성 테러에 대비하는데 보건 교육사들은 시민 인지도 향상과 위기관리 컴뮤니케이션 영역에서 활약한다. 총체적인 보건 교육/건강 증진책은 다음 천년간 뉴저지 건강증진 백서와 미연방 정부 건강증진 2010에 준하여 설립한 뉴저지 건강 증진 2010 에 의한다. 그 모델을 보면; 1) 생활 습관 향상으로 위해 행위 절제; 적절한 영양 섭취 와 과체중화 차단 불필요한 투약 절제와 그 관리 흡연 탐익 절감, 금연, 흡연관련 신체/정신적 피해 관리/치료 습관성 약물 중독 조기발견 예방 낙상 예방 폭력, 의도적/비의도적 상해 예방 2) 심장질환, 암, 뇌졸중, 당뇨, 폐염, 인프루엔자등 주사망원인 질병 조기 발견 예방 책 마련; 독감.폐렴 예방 주사 실시 3) 보건 교육 대상과 표적 설정 특히 보건사업 참여 동반자 발굴하여 그 동참과 책임분담 책려; 주. 지방 정부기관, 의료 종사자, 의료 보험 업자, 대학 등 교육 기관, 연구 기관, 교육자, 지방 보건소, 지역 사회 비 영리단체, 종교 단체 및 교역자 등의 참여 촉구., 지역 사회 비 영리단체, 종교 단체 및 교역자 등의 참여 촉구.

  • PDF

Nursing in Korea (한국의 간호)

  • Hong Shin Young
    • The Korean Nurse
    • /
    • v.23 no.3 s.126
    • /
    • pp.7-21
    • /
    • 1984
  • 한국간호 I. 간호행정제도 및 법규의 변천 1. 간호행정기구 한국의 의료행정은 현대의학의 도입과 더불어 1894년 6월 내부에 위생국을 둔다는 규정이 발표됨으로서 시작되었고 1901년 관제개편에 따라 위생국에 보건과와 의무과가 설치되었다. 그 후 1945년 12월 보건후생부 간호사업국내에 보건간호과 기관간호과 조산 간호과가 설치되었고 각 도에는 간호 사업계가 설치되었다. 1948년부터는 보건사회부 의정국내의 조산간호과가 간호 사업과로 개편되었다. 그후 1970년 간호사업과가 간호사업담당관제로 개편되었으며 1981년부터는 간호사업담당관제도 폐지되어 보건국의 가족보건과나 의정국 지역의료과에서 한 명의 간호원이 참여하는 정도로 간호행정기구가 점차 축소되었다. 2. 간호법규 1)면허 1962년 개정된 의료법에 의하여 간호원의 면허는 문교부장관이 인가한 간호교육기관 졸업자중 간호원 국가시험 합격자로 규정하였다. 조산원의 경우는 1914년 처음으로 조산원 면허등록을 시작하였으며 현재는 간호원 면허를 받은 자로서 보건사회부장관이 지정하는 교육병원에서 1년의 정규 교육과정을 필한자로 그 자격을 명시하고 있다. 2) 자격시험 자격시험은 1916년부터 실시되었으며 1920년 이후는 각 도에서 관할 실시하였다. 그 후 1962년부터는 보건사회부장관의 주도하에 국가시험을 시행하였으며 현재는 국립 보건원에서 간호원을 포함한 의료업자의 국가 시험을 주관하고 있다. 3)간호수가 간호원 조산원에 관한 간호수가 관계 규칙은 1911년에 발표된 것으로 간호원의 경우 출장 시에 출장비와 간호료를 환자가 지불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1925년 5월까지는 각 지역별로 간호수가에 차이가 있었으나 동년 6월부터 수가규정이 전국적으로 통일되었다. 그 후 1953년부터는 국공립병원 간호원들에게도 다른 일반 공직자와 같이 직급을 보함으로서 간호직에 대한 보수가 통일되었으며 1971년부터는 간호직 수당이 제정되었다. II. 간호사업의 분야별 발전 1. 임상간호제도의 발전 1)초기의 임상간호 한국에 서양의학을 기초로 설립된 최초의 병원은 1885년 의사 Allen에 의한 왕립병원이다. 그 후 정부에 의하여 1894년 군부병원이 설립되었고, 1899년 내부병원이 1904년에 적십자 병원이 설립되었다. 당시에 이루어진 현대간호는 일본인 간호원들에 의해 전해진 일본식 간호와 선교사 간호원들에 의해 전해진 서구식 간호방식이 있었는데 이 두 간호방법은 문화적 배경이나 사회적 인습에 의한 많은 차이점을 볼 수 있었다. 2) 일제하의 임상간호 이 당시에 이루어진 일본식 간호방법을 보면 간호원들의 주업무가 환자를 위한 간호보다도 의사 보조에 더 치중한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선교계 병원에서는 입원환자에 대해서는 간호원들이 전인간호를 실시하였으며 병원당국과 의사들의 협조로 많은 간호사업의 발전을 가져올수 있었다. 3) 광복 이후의 임상간호 6.25 동란 후 한국에는 병원이 계속 늘어나 현재 20Bed 이상의 전국의 병원수가 431개소이고 이중 80Bed 이상의 종합병원이 148개소나 된다. 각 병원의 간호사업은 간호사업과 또는 간호사업부의 행정체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간호과정(Nursing Process)의 개념을 도입하여 문제중심 간호기록인 POMR(Problem Oriented Medical Record)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또한 면허간호원은 매년 중앙회에서 실시하는 보수교육을 10시간 이상 받고 있다.

  • PDF

Importance of integrating Bioinformation and Health Informatics for Healthcare

  • 곽연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informatics Conference
    • /
    • 2002.06a
    • /
    • pp.89-104
    • /
    • 2002
  • 유전체연구사업단은 국내에서 발병 및 사망빈도가 가장 높은 위암과 간암의 퇴치를 목적으로 국가적 특목전략사업으로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이와 별도로 보건복지부에서는 22개의 중요 질병별 유전체 연구센터를 전국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연구가 성공적으로 진행되면 각 연구소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하여 제공하는 생명정보의 양은 거의 무한에 이를 것이다. 그러나 생명정보는 환자진료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임상정보와 함께 유기적으로 통합되어야 한다. 임상정보와의 통합을 위해서는 의료기관의 진료정보와 연구소의 생명정보가 연계되어 엄밀한 임상실험이 추가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생명정보학의 발전을 위해서는 연구대상의 임상정보가 공유되어야 한다. 유전체정보를 이용하는 생명정보학(Bioinformatics)은 각 국가마다 전략사업으로 간주하여 막대한 투자가 이루어지는 새로운 분야이다. 현재 선진국에서 개발 사용 중인 시스템의 연간 사용료가 고가이므로 국내 도입은 거의 불가능하거나 또는 매우 비효율적이다. 유전체 또는 생명정보의 임상활용 및 생명정보연구를 위한 임상정보 공유를 위해서는 우선 다음의 사항이 개발되어야 한다. 1) 다음과 같은 개별환자의 정보를 각 의료기관에서 제공 받아 저장 활용한다. - 진찰 및 임상소견, 수술기록, 경과기록, 검사결과 (임상병리, 해부병리, 방사선 등), - 영상정보 (X-ray, CT, MRI, 초음파, 전자현미경, 그래픽 등), - 환자개인기록(병력, 과거력, 가족력, 알러지 등), - 예방접종 기록 2) 각 연구소에서 첨단기술을 이용하여 개발되는 생명정보를 임상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유전체연구센타와 병원간에 임상정보와 유전체 분석정보의 공유가 필수적으로 발생하게 됨으로, 유전체 정보와 임상정보의 통합은 미래 의료환경에 필수기능이 될 것이다. 3) 각 생명공학 연구소에서 사용하는 첨단 분석 장비와 생명공학 정보시스템의 자동 연계가 필요하다. 현재 국내에는 전국적인 초고속정보망이 가동되어 웹을 기반으로 하는 생명정보의 공유는 기술적으로 문제가 될 수 없으나 임상정보의 유전체연구에 그리고 유전체연구정보의 임상활용은 다양한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이에 영상을 포함한 환자정보의 유전체연구센터와 병원정보시스템과의 효율적인 연계통합 운영을 위해 국내에서는 초기 도입단계에 있는 국제적인 보건의료정보의 표준인 Health Level 7 (textural information 공유), DICOM (image 및 wave 공유), 관련 ISO표준, WHO의 ICD9/10 (질병분류), LOINC (검사 및 관련용어), SNOMED International (의학용어) 등을 활용하여야 한다.

  • PDF

The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of Disabled Persons Living at Home in Rural Community - Using the PRECEDE Model - (농촌지역 재가 장애인의 삶의 질 영향 요인 분석 -PRECEDE 모형을 이용하여-)

  • Kim, Hyunli;Jung, Mi Sook;Ju, Kyoungok
    • 재활복지
    • /
    • v.21 no.1
    • /
    • pp.47-70
    • /
    • 201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the epidemiological factor (depression), the behavioral fact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predisposing factor (self-efficacy), reinforcing factors (family support, professional support), and enabling factor (resource availability, accessibility) on quality of life in home-dwelling disabled people in rural areas. The conceptual model for this study was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PRECEDE model which was developed by Green and Kreuter. Data were drawn from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for Community-centered rehabilitation" conducted by a public health center located in the O province in 2011 and 186 of 190 disabled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Data were analyzed using Direct effects on quality of life arose from latent variables depicting the epidemiological factor (depression)and reinforcing factor (family support, professional support), while indirect effects arose from the behavioral fact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predisposing factor (self-efficacy), and enabling support (resource availability, accessibility). This model explained 85.5% of the variance in quality of life among rural disabled individuals. These findings may have shed some light on the necessity of including strategies to reduce depression and to strengthen supports from family and healthcare professionals when performing rehabilitation programs to improve quality of life in home-dwelling disabled people in rural areas. Furthermore, it suggested that it would be useful to develop specific strategies and tactics which might increase self-efficacy and to expand linkages between public health centers and other professional institutions such as hospitals for community-centered rehabilitation service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Mediating Effect of Interest in Elderly Job Project and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Z and X Generation's Social Support and Retirement Readiness (MZ·X세대의 사회적지지와 노후준비도 관계에서 노인일자리사업 관심도와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Kim, Geon-hui;Hong, Sang-Ook
    •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
    • v.7 no.4
    • /
    • pp.63-74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est in the elderly job project and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retirement readiness of the MZ·X generation. This survey conducted reliability and frequency analysis, t/f-verification,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analysis of reliability and frequency using SPSS 27.0 and AMOS 27.0 programs on the collected data of 359 MZ and X generations of G, Y, and A cities in D and G provinces.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relationship statistic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interest in the employment project for the elderly, social support, resilience and readiness for old age.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retirement readiness, the degree of interest and resilience of the elderly job project were partially mediated.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MZ and X generations' interest in and resilience in the job projects for the elderly, the provision of emotional, evaluative, informational, and material support systems as a social support system and the elderly in government agencies such as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 realistic policy of job business policy is needed.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Items on Psychosocial Assessment among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ocial Workers (호스피스·완화의료 사회복지사의 심리사회적 사정항목에 대한 중요도 인식)

  • Kim, Won-Chul;Hwang, Myung Jin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v.17 no.4
    • /
    • pp.259-269
    • /
    • 2014
  • Purpose: This preliminary study is aimed at developing standardized tools for psycho-social assessment of patients in needs for hospice/palliative care. To accomplish the purpose, investigators examined effects of perceptions of social workers on the importance of psycho-social domains of assessment in hospice/palliative care settings. Moreover, investigators paid attention to variances of perceptions of social workers' along with types of institution and credentials of those family settings. Methods: A form of questionnaire was first explored from an initial interview assessment of 10 government-certified hospice care providers and a literature review, second constructed with eight domains and 80 items, and sent by e-mail to 55 institutions and hospitals providing hospice/palliative cares in Korea. Lastly, a total of 31 agencies returned with a completed responses and consent form (56% response rate). SPSS program (version 18.0) was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Study found that social workers perceived patients' family background (m=4.53, 5-point scale) as the most important assessment domain, whereas economic conditions (4.06 point) the least important. Social workers' perception varied by credentials (i.e., license types, training, full-time position, types of care facility). Conclusion: Based upon study findings, investigators can conclude strong needs for developing a assessment tool that measures multiple domains (i.e., psychological, social and ecological aspects) of patients. A standardized assessment tool should be structured with 2 axis (center/core and expanded/peripheral) and tailored for institution type. Second, professional trainings must be provided by strengthening legal institutionalization and fostering qualified social workers with full responsibilities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patients.

Main Function, Management Difficulties and Activating Conditions of the Cooperative Child Care Sharing Center Based on Field Cases (현장 사례로 본 공동육아나눔터의 주요 기능과 운영상 문제 및 활성화 조건)

  • Lee, Seung-mie;Kim, Seon-mi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 /
    • v.26 no.1
    • /
    • pp.59-73
    • /
    • 2022
  • This qualitative study focused on the activation of cooperative child care sharing centers'. Eight centers nationwide were selected as example cases in accordance with region (large city, small and medium-sized city, county unit), opening time, operating institution, location, full-time care for dual-income children, and participation in the 2020 care community pilot project. Co-researchers visited each center together to observe the site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head of the center or dedicated staff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triangle verification and transcribed : the data were then grouped into 12 categories and 34 subcategories. From this, the following three topics were derived: the main functions, operational difficulties, and activation conditions. In conclusion, four suggestions are made: 1. proper relationship with the Family center, the cooperative childcare sharing center, and the local care communities 2. activation plan through "solution of operational difficulties" 3. "extension" of the cooperative child care sharing center 4. the role of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y Family, local governments, and Family Centers.

The Barangay Integrated Development Approach for Nutrition Improvement of the Rural Poor, BIDANI(a Nutrition-in-Development Network Program) (지역 종합개발계획 접근에 의한 빈농 영양개선사업 -영양ㆍ개발 네트워크 프로그램-)

  • 박양자
    • Korean Journal of Rural Living Science
    • /
    • v.4 no.2
    • /
    • pp.155-162
    • /
    • 1993
  • BIDANI is the action-research program. BIDANI aims to be truly a people's program embodying their own activities and aspiration. BIDANI sees an integrated development approach at the community level with participatory services embodied in a Barangay Integrated Development Plan(BIDP) designed by the people themselves. Community situational analysis is conducted by the people to identify the priority problems and potential resources in the barangay. Participatory planning, using the “bottom up” apporach, is exercised to formulate a BIDP. Proper motivation and advocacy encourage barangay people's participation. Accessibility and efficiency in the use of various services and resources of government and private agencies increase. Family groups who are at high-risk to malnutrition become aware of the importance of nutrition through their participation in development program activities. Integration of political and socio-economic concerns at the lowest level is operationalized. Implementation and sustainability of the program on a wider scale from a model project to a model program is facilitated through institutionalization at the municipal/city level with the mayor as the project director. “Top to bottom” planning through a City/Municipal Integrated Development Program(C/MIDP) interacts with “bottom up” planning at the barangay level. The establishment of a local Training School for Barangay Development(TSBD) in each municipality and city for continuing education of indigenous village workers and barangay people is a vital component for success and viability. The role of non-political entities such as academic institutions and non-government organizations, as catalytic agents of development, is stressed.

  • PDF

Bilingual Teaching-Learning Plan for Migrant Youths Based on the Waldorf Program (발도르프 프로그램을 준용한 중도입국 청소년의 이중언어 교수-학습 방안)

  • Moon, Kyung-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1a
    • /
    • pp.161-164
    • /
    • 2019
  • 한국 사회는 빠르게 다문화 사회로 진입되고 있어 인구 구성과 집단이 다양해 질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다양한 형태의 가족 중 중도입국 청소년들의 비율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대부분의 중도입국 청소년들은 준비가 전혀 이루어진 않은 상태에서 우리나라에 입국하는 실정이므로 언어장벽에서 진로장벽에 이르기 까지 매우 취약한 여건과 불안정한 환경에 처해 있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는 물론 각급 교육기관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서비스가 지원되고 있으나 사업 간의 중복성과 일부 비효율적인 전달체계와 운영, 예산과 인력 낭비로 인하여 효과성을 낮추는 경향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중도입국 청소년들의 발달주기, 학령주기, 한국어 구사 능력에 따라 개인의 능력에 따른 맞춤형 언어교육으로 올바르게 성장하도록 도움을 주는 방안을 제시한다. 제시한 내용은 이중언어 교육방법과 발도르프 교육 프로그램을 준용한 교수-학습 방안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