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족만족

검색결과 628건 처리시간 0.023초

노인의 품위 있는 노화 인식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old people's Perception of Dignifiable Aging)

  • 김소영;강민희
    • 한국노년학
    • /
    • 제41권1호
    • /
    • pp.1-24
    • /
    • 2021
  • 본 논문은 노인들이 생각하는 '품위 있는 노화'의 의미를 알아보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다각적인 관점의 연구를 위해 노년기 연령대에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이 가진 다양한 경험과 삶의 가치를 들여다보고자 하였다. 노인 각 개인이 노화를 어떻게 경험하고 있으며, 그 경험에 따른 '품위 있는 노화'에 대한 개인의 생각을 중심으로 참여자들을 심층면접한 후 면접 내용을 분석하여 이들의 인식과 현실적 맥락을 이해하고자 사례 간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품위 있는 노화'의 의미는 '늙지 않는 마음', '마음먹기에 따라 달라지는 행복', '가족에 대한 책임감', '사회활동과 새로운 학습에 대한 욕구'라는 의미단위로 묶을 수 있었다. 이 의미단위들은 '수용과 인정', '노력', '타인의 시선', '꿈과 희망'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보편적 삶의 가치로 얻는 만족(성취)감'이라는 중심의미로 귀결되었으며, '삶의 가치로 얻는 만족(성취)감'은 '나눔과 베풂'을 통해서 얻어질 수 있는 것이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의미단위들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두 개의 집단으로 구분된다는 것이며, 사례 간 상황분석을 통해 이 두 집단은, 현실 속에서 이상을 실현하는 '이상이자 현실'의 한 형태와 이상과 현실이 평행선을 그리며 실현되지 못하는 '현실, 갈등, 이상 속의 삶'의 다른 한 형태로 정리되었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분석과정에서 도출된 시사점과 제언점을 사회복지적 측면에서 기술하였다.

남녀 장애노인의 일상생활만족도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Daily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y by Gender Difference)

  • 송미영
    • 한국노년학
    • /
    • 제31권1호
    • /
    • pp.143-15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장애문제와 노인문제를 동시에 경험하는 취약한 집단인 장애노인을 대상으로 9가지 일상생활만족도와 일상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성별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제1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2008)' 중 만65세 장애노인 386명을 추출하였다. 연구질문을 확인하기 위한 분석방법은 독립표본티검정, 다중회귀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장애노인의 9가지 일상생활만족도 차원 중 6가지 차원이 성별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장애노인의 일상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비교 분석한 결과, 여성 장애노인과 남성장애노인은 일상생활만족도 영향요인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공통적으로 '사회경제적 지위: 하층', '건강상태: 나쁜 편', '만성질병 있음', '가족과 타인의 도움필요', '장애정도: 중증'이 일상생활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로부터 남녀장애노인에 대한 건강지원정책 및 프로그램을 제공, 장애인활동보조서비스 확대, 중증장애노인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정책 및 실천적으로 지원할 수 방안을 제언하였다. 반면에 차별영향 요인은 연령과 교육수준으로 분석되었다. 즉, 여성 장애노인은 연령이 높을수록 일상생활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남성 장애 노인은 교육수준이 무학일 경우보다 중졸과 고졸이상일수록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장기요양대상노인의 비공식적·공식적 자원연계 유형에 따른 서비스 만족도 연구 (A Study on Satisfaction of Service by the Models of Informal-formal Resources Linkages for Long-term Care Elder)

  • 김금열
    • 한국노년학
    • /
    • 제30권4호
    • /
    • pp.1027-1044
    • /
    • 2010
  •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도입으로 공식적 보호가 확대되고 있지만 여전히 장기요양대상노인의 케어에는 비공식적 보호 욕구가 줄어들지 않고 있는 현상에 대해 효과적인 장기요양서비스 제공체계 고찰의 필요성에서 시작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요양대상노인의 비공식적·공식적 자원연계 유형을 도출하고 각 유형에 따른 서비스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서 효과적인 장기요양서비스 제공 모델을 발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비공식적·공식적 자원연계 유형은 장기요양대상노인에게 15가지 케어관련과업을 제공하는 비공식적 보호제공자와 공식적 서비스제공자의 서비스 제공정도를 군집분석으로 구분하였고 각 유형에 따른 서비스 만족도의 차이는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비공식적·공식적 자원연계 유형은 가족수발 중심형, 상호 보완형, 과업 분리형, 공식적 수발 중심형으로 구분되었고 서비스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유형은 상호 보완형 이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점을 논의하였다. 첫째, 비공식적 보호와 공식적 서비스가 상호 보완적으로 제공되기 위해서는 공식적 서비스 제공체계에 비공식적 보호제공자의 역할을 결합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15가지 케어관련과업 중 개인적 및 일상생활지원 과업과 건강보호 과업은 서비스 제공자가 분리되어 있어 의료 및 장기요양서비스의 연계를 위한 통합적 케어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공식적 서비스 제공자가 거의 모든 케어를 제공하는 공식적 수발 중심형은 상대적으로 서비스 만족도가 낮게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장기요양서비스의 효과성 향상을 위해서는 서비스의 양(量)과 질(質)적 차원에서 비공식적·공식적 자원연계 유형을 파악하고 서비스 제공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제언을 하였다.

다층모형 분석을 활용한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 지표들의 변화궤적 연구: 남녀 차이 검증을 중심으로 (Gender Differences in Trajectories of Successful Aging Indicators: Findings from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 이현엽;이혜수
    • 한국노년학
    • /
    • 제39권4호
    • /
    • pp.977-99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다층모델(Multilevel modeling) 분석을 통해, 노년기 연령 증가에 따른 9개의 성공적 노화지표들(만성질환의 개수, 우울증, 일상생활 능력, 도구적 일상생활 능력, 인지기능, 사회경제적 활동 참여, 이웃과의 접촉 빈도, 건강에 대한 주관적인 만족도, 삶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의 개인 내 변화궤적을 분석하고, 이러한 변화에 있어 학력의 효과를 통제한 후 남녀 간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연구 변수들은 고령화 연구 패널조사를 통해 수집된 1차 년도(2006년) ~ 6차 년도(2016년) 자료에서 도출되었으며, 65세 이상(2006년 기준) 노인인구 중 여섯 번의 패널조사에서 모두 응답한 2,058명(남성: 822명, 여성: 1236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65세 때에 남성 노인은 여성 노인보다 낮은 만성질환의 개수와 낮은 수준의 우울증상, 높은 일상생활 능력, 높은 인지기능, 활발한 사회경제적 활동 참여, 높은 주관적인 건강 및 삶의 만족도를 나타냈다. 그러나 65세 이후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남녀 모두 신체적, 인지적 기능은 감소하고 만성질환의 개수 및 우울증은 증가하였으며, 사회적 활동의 참여가 줄어들고, 개인의 건강과 삶에 대한 주관적인 만족도도 전반적으로 감소하였다. 대부분의 성공적 노화 지표들은 비선형의 변화를 나타냈으며 특히 70대 중반 이후부터 현저하게 증가 또는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들의 건강한 삶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정책 및 보건적 개입이 70대 중반 이후부터 더 심도 있게 진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호스피스 케어인식도와 시설이용 만족도에 관한 연구 -수도권 중심으로- (A study on hospice care awareness and user satisfaction with intensive care unit facilities -Centering on capital district-)

  • 김문돌;조성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57-164
    • /
    • 2014
  • 본 연구 목적은 호스피스 케어인식도, 이용에 대한 만족도, 호스피스인식도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하는 호스피스 요양시설에 입원한 중증질환자와 가족 160명을 대상으로 2013년 3월 10일부터 7월 3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WIN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빈도분석, 카이스케어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호스피스 케어인식도에서 연령과 종교, 결혼 상태에 따른 케어인식도가 유의미하게 파악되었다. 그리고 중증질환자의 호스피스 시설이용만족도에 대한 결과는 호스피스 시설이 도시보다 농촌을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병실선호 형태는 침대가 온돌방 보다 만족도가 높았다. 본 논문의 시사점은 향후 시설이용 의향이 있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난 결과로 볼 때 호스피스 제도개선 정책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수술 중 정보제공을 통한 환자 부모 및 가족의 만족도 증진 (Improvement of Parent and Family Satisfaction by Offering Informational Interventions throughout Surgery)

  • 홍희정;이명애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90-104
    • /
    • 2000
  • Background :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effects of information on the satisfaction of parents and families whose children underwent elective surgery in the Pediatric Operating Room. Methods : We measured parent and family satisfaction with information given before and after offering informational intervention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510 patients parents and families whose children had undergone elective surgery in the Pediatric Operating Room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South Korea. The data collection ran from May 3. 1999 to May 30. 1999 and from September 6, 1999 to September 30, 1999. The research instrument consisted of four categories (pre-operative period, intra-operative period, post-operative period, others) and 24 questionnaires. SPSS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Before surgery, the satisfaction with the following was increased: the explanations of the necessary preparation for the surgery (6.0%), the time the patient would enter the operating room (20.6%), the operative procedure (2.0%), and the use of the waiting room (10.0%). 2. During the operation, the satisfaction with the situation board (15.1%), public announcements in the waiting room (8.4%), and the answering of the families questions (12.2%) was increased. however, the satisfaction with the surgeons explanations of the surgical outcomes decreased by 8.3%, even though the frequency of these explanations increased by 5%. 3. After surgery, the satisfaction with the following was increased: the explanations of patient's status of recovery(10.3%) the time the patient would be moved from the recovery room (17.6%), how the patient would be transferred to the ward (19.2%), and post-operative care (6.3%). Conclusion : Based upon the above findings, we concluded that pre-, intra-, and post-operative informational interventions wer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satisfaction of the parents and families of children undergoing elective surgery.

  • PDF

기혼여성이 지각한 가족 내 역할 인식 및 부부친밀감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일-가정양립 인식의 매개효과: 잠재성장모형 및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연구 (Mediating Effects of Work-Family Balance on the Relationship of Role Recognition in the Family, Marital Intimacy and Job Satisfaction of Married Women: Using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and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 한혜림;이지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5권3호
    • /
    • pp.263-274
    • /
    • 2017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verify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s of work-family balance on the relationship of role recognition in the family, marital intimacy and job satisfaction of married women, and to introduc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s by using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and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The subjects were married women from the third year data of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y. Structural equational models were conducted with Amos ver. 21.0.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s of latent growth modeling is the rate of change of work-family balance mediated between the rate of change of role recognition in the family and the rate of change of job satisfaction, and the rate of change of work-family balance mediated between the rate of change of marital intimacy and the rate of change of job satisfaction. Second, when us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the more role recognition and marital intimacy of third year were the more work-family balance of fourth year, job satisfaction of fifth year. In both models, work-family balance mediated between role recognition in the family, marital intimacy and job satisfaction.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mediating effects of work-family balance can be found that there was a longitudinal effects.

중년 여성의 건강과 생활양식에 대한 주관성 연구 (Subjectivity on Health and Lifestyle among Middle-aged Women -Q Methodological Approach-)

  • 이시은;김진경;김분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786-4797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 여성의 건강과 생활양식에 대한 주관성을 파악하고 유형별 특성을 기술하며, 건강과 생활양식과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으로,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서울시에 거주하는 40세~60세 중년 여성 30명에게 건강에 관한 진술문 29개와, 생활양식에 관한 진술문 27개를 분류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C Quanl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중년 여성의 건강과 생활양식은 각각 네 가지의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건강과 생활양식과의 특성 및 관련성이 확인되었다. 건강 유형은 '건강 염려형', '일상생활 관리형', '언행 불일치형'과 '조기 관리형'이다. 생활양식 유형은 '직업 중심형', '자기규범 가치형', '현재 만족형'과 '종교 중심형'이다. 본 연구는 중년 여성과 가족 및 나아가 국민의 건강과 생활양식을 향상시키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으며, 개별화된 간호중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이론적 기틀을 제공하였다.

중년기 남성의 개인내적 변인, 가족 변인 및 직무만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sonal Psychological Variables, Family Variables, and Job Satisfaction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 Men)

  • 우선혜;김정민;조한솔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4권6호
    • /
    • pp.15-26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ersonal psychological variables(cognitive flexibility, emotion dysregulation, subjective health condition), family variables(marital satisfaction,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and job satisfaction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 men. For this research,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550 middle-aged men residing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mong 352 questionnaires collected, 327 were selec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by average,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21.0.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middle-aged men's social-demographic variables, the level of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differed significantly. Second, cognitive flexibility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dition, emotion dysregulation, job satisfaction,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ubjective health condit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gnitive reconstruction training or problem-solving intervention could be useful fo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 men.

간호대학생의 DNR에 대한 융합적 인식 및 윤리적 태도 (Convergence Awareness and Ethical Attitudes about DNR of Nursing Students)

  • 오윤정;이은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63-72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DNR에 대한 융합적 인식 및 윤리적 태도를 파악하여 DNR 환자간호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 G광역시 4년제 간호대학생 306명을 대상으로 2016년 6월 1일부터 2016년 7월 10일까지 설문조사하였고, SPSS 23.0 Program을 이용하여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DNR에 대한 인식은 DNR의 필요성, 환자와 가족의 의지에 의한 DNR 결정, 문서화된 지침서의 필요성에 찬성하였다. 윤리적 태도는 환자의 의지에 의한 결정, 치료범위, 설명 여부, 지침에 따른 결정에 찬성하였고, 주치의에 의한 결정, 기본간호 제공 감소에는 반대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윤리적 태도는 학년, 임상실습경험, 윤리가치관에 대한 교육경험, DNR에 대한 교육경험, 삶에 대한 만족도, 죽음에 대한 가치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DNR 결정에 관한 기준 및 지침을 마련하기 위한 지속적인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