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old people's Perception of Dignifiable Aging

노인의 품위 있는 노화 인식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 김소영 (호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강민희 (호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20.10.12
  • Accepted : 2021.01.06
  • Published : 2021.02.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old people think about 'dignifiable aging'. For the study, the authors have tried to understand and analyze of old people's view on 'classy and gracious aging' through their life experiences. The study focuses on the questions of 'how the participants experience aging', 'how they understand well, classy and successful aging and 'how they explain their ideas of the aging, then analyzes their ideas as types of 'within cases' as well as 'inter cases'. Indepth interview has employed as main methodology of data collection with the analysis of concerned written documents such as on-line and off-line essays as secondary data. The collected data had been basically sorted and analyzed by sorting commonimity and differences. Then they have been classified into the thems that indicate meanings and forms of 'dignified aging': 'ageless mind', 'happiness determined by one's mind', 'responsibility on family', 'desire for learning and social activities'. These meaning-units are added up to the main meaning of '(fullfilled) satisfaction through life-values' mediated by 'acceptance and acknowledgement', 'efforts', 'others' gaze', 'dreams and hopes', '(fullfilled) Satisfaction through life-values' can be achieved by 'sharing with others'. An interesting fact is that the meaning-units can be devided into two groups: 'the real life is the ideal life' which explains the actualization of the ideal in the daily life and 'life, conflict, the ideal' in which the real and the ideal are parellel with constant conflicts. In the conclusion, som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derived from the analysis are described from the v iew of social welfare.

본 논문은 노인들이 생각하는 '품위 있는 노화'의 의미를 알아보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다각적인 관점의 연구를 위해 노년기 연령대에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이 가진 다양한 경험과 삶의 가치를 들여다보고자 하였다. 노인 각 개인이 노화를 어떻게 경험하고 있으며, 그 경험에 따른 '품위 있는 노화'에 대한 개인의 생각을 중심으로 참여자들을 심층면접한 후 면접 내용을 분석하여 이들의 인식과 현실적 맥락을 이해하고자 사례 간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품위 있는 노화'의 의미는 '늙지 않는 마음', '마음먹기에 따라 달라지는 행복', '가족에 대한 책임감', '사회활동과 새로운 학습에 대한 욕구'라는 의미단위로 묶을 수 있었다. 이 의미단위들은 '수용과 인정', '노력', '타인의 시선', '꿈과 희망'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보편적 삶의 가치로 얻는 만족(성취)감'이라는 중심의미로 귀결되었으며, '삶의 가치로 얻는 만족(성취)감'은 '나눔과 베풂'을 통해서 얻어질 수 있는 것이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의미단위들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두 개의 집단으로 구분된다는 것이며, 사례 간 상황분석을 통해 이 두 집단은, 현실 속에서 이상을 실현하는 '이상이자 현실'의 한 형태와 이상과 현실이 평행선을 그리며 실현되지 못하는 '현실, 갈등, 이상 속의 삶'의 다른 한 형태로 정리되었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분석과정에서 도출된 시사점과 제언점을 사회복지적 측면에서 기술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문희, 박정숙. (2016).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포커스 그룹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10), 458-470. doi.org/10.5762/KAIS.2016.17.10.458
  2. 강문희, 박정숙. (2019).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 노인의 성공적 노화 경험: 잔존기능 활용하여 내 집에서 삶 꾸리기. 성인간호학회지, 31(3), 269-282. doi.org/10.7475/kjan.2019.31.3.269
  3. 강신옥. (2009). 노인의 생산적 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공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강인. (2003). 성공적 노화의 지각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0: 95-116.
  5. 강정희, 설연욱. (2012). 중년독신여성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과 준비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7(2):127-151.
  6. 고승덕. (1995). 노인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 추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권중돈, 조주연. (2000).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0(2): 62-76.
  8. 권중돈. (2006). 인간행동이론과 사회복지실천. 학지사.
  9. 김경원. (2015). 건강중재로 단전호흡을 실천하는 노인여성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동서간호학연구지, 21(2), 94-102. doi.org/10.14370/JEWNR.2015.21.2.94
  10. 김금숙. (2007).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동배. (2008).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화 척도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2: 211-231.
  12. 김미령. (2006). 전기, 후기 여성노인의 삶의 질 및 영향요인 비교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8(2): 197-222.
  13. 김미혜, 신경림. (2005).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후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5(2): 35-52.
  14. 김민정 교수-성공적 노화 이론 [실버아이TV 시니어 포럼]. https://tv.naver.com/v/704237
  15. 김서현. (2018). 남성 독거노인의 '잘 늙어감'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12(3): 33-60. https://doi.org/10.22867/KAQSW.2018.12.3.33
  16. 김서현. (2018). 임대주택 거주 남성 독거노인의 홀로 사는 삶의 의미와 본질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노년학, 38(4): 1015-1033. doi.org/10.31888/jkgs.2018.38.4.1015
  17. 박경숙. (2012). 노인 전문 자원봉사 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박영철. (2016). 노인의 성공적 노화 영향 요인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백지은, 최혜경. (2005). 한국노인들이 기대하는 성공적 노화의 개념 유형 및 예측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3):1-16.
  20. 보건복지부. (2019). 제1차 국민건강보험종합계획(안) <2019~2023>. http://www.mohw.go.kr modules
  21. 사혜지, 이철원, 김민정. (2017). "노인들의 여가참여, 성공적 노화, 그리고 사회적지지의 구조적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6(5): 511-521.
  22. 양진향, 이미자. (2010). 중년여성이 인식하는 성공적 노화의 의미. 질적연구학회, 04: 126-138.
  23. 원형중. (2005). 우리나라 여성노인의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여가정책. 한국여성체육학회지, 19(3): 79-96.
  24. 윤형준. (2010).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요인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윤혜진. (2016). 한국 노인의 여가 및 에이징 웰(aging well)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관광레저연구, 28(7); 201-221.
  26. 이동호. (2009). 한국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대구한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7. 이묘숙. (2012). 노인의 경제상태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신체건강 및 정신건강의 매개효과.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8. 이향란. (2013). 고령자의 생산적 활동, 자아 존중감, 주관적 안녕감에 따른 성공적 노화. 대구한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9. 이형아. (2000). 한국노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연구. 동신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웰다잉문화연구소. https://blog.naver.com/63252114/222076643470
  31. 전은희, 주용국. (2014). 여성 노인의 성공적 노화 척도 개발. 평생학습사회, 10(3): 145-180.
  32. 정순둘. (2007).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관한 인식 비교연구. 한국노년학, 27(4): 829-845.
  33. 정영숙. (2011). Moving Toward Matured Aging.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1(1), 26-44.
  34. 정영숙, 안현의, 유순화. (2005). 성격심리학. 박학사.
  35. 조윤주. (2010). 성공적 노화와 선택과 보상 책략에 의한 최적화의 질적 연구: 사회 활동 참여 노인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8(6): 133-147. doi.org/10.6115/khea.2010.48.6.133
  36. 조은영, 김재호, 박철홍. (2016). 노인의 댄스 활동 참여와 삶의 질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0(4) 165-181.
  37. 최상진, 김기범. (2000). 체면의 심리적 구조. 한국심리학회지: 사회와 성격. 14(1): 185-202.
  38. 최순남. (1994). 인간의 노화현상에 관한연구. 한신대학교 사회복지연구 제2호.
  39. 최재석. (1994).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 서울: 현음사.
  40. 최혜순의. (사)행복교육연구소. https://blog.naver.com/chsgo111/222052826159
  41. 홍현방. (2002). 성공적인 노화 개념정의를 위한 문헌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2. 홍현방, 최혜경. (2003). 성공적 노화정의를 위한 문헌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2): 145-154.
  43. Katz, S., and Calasanti, T. (2014). "Critical perspectives on successful aging: Does it "appeal more than it illuminates?". The Gerontologist 55(1): 26-33. doi.org/10.1093/geront/gnu027
  44. Abraham, J. D., & Hansson, R. O. (1995). Successful Aging at Work: An Applied Study of Selection, Optimization, and Compensation Through Impression Management.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50B(2), P94-P103. doi.org/10.1093/geronb/50b.2.p94
  45. Baltes, P. B., & Baltes, M. M. (1990).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successful aging: The model of selective optimization with compensation. Successful Aging, 1-34. doi:10.1017/cbo9780511665684.003
  46.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doi.org/10.1037/0033-295x.84.2.191
  47. Bandura, A. and Walters, R. H. (1963). Social Learning and Personality Development,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48. Brandtstadter, J., & Rothermund, K. (1994). Self-percepts of control in middle and later adulthood: Buffering losses by rescaling goals. Psychology and Aging, 9(2), 265-273. doi.org/10.1037/0882-7974.9.2.265
  49. Creswell. J. W. (2015). 질적연구방법론. 학지사.
  50. Dillaway, H. E., & Byrnes, M. (2009). Reconsidering Successful Aging.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28(6), 702-722. doi.org/10.1177/0733464809333882
  51. Featherman, D. (1992). Development of Reserves for Adaptation to Old age: Personal and Societal Agendas, 135-168 in Cutler, N. E., Gregg, D. W. and Lawton, M. P. (eds), Aging, Money, and Life Stisfaction: Aspects of Finalcial Gerontology, New York, NY: Springer Publishing Co.
  52. Fisher, B. J. (1995). Successful Aging, Life Satisfaction, and Generativity in Later Lif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41(3), 239-250. doi.org/10.2190/ha9x-h48d-9gyb-85xw
  53. Growing Old: The Process of Disengagement. By Elaine Cumming and William E. Henry. New York: Basic Books, 1961. 293 pp. $6.75. (1962). Social Work. doi.org/10.1093/sw/7.3.122
  54. Havighurst, R. J., & Tobin, S. S., Neugarten, B. L. (1961). Life Satisfaction Rating Scales. PsycTESTS Dataset. doi.org/10.1037/t06514-000
  55. Havighurst, R. J. (1965). Robert J. Havighurst. The Bulletin of the National Association of Secondary School Principals, 49(298), 61-66. doi.org/10.1177/019263656504929805
  56. Henry, W. E. (1964). "The Theory of Intrinsic Disengagement." P.F. Hannsen, ed., Age with Future. Copenhagen: Munksgard.
  57. Lemon, B. W., Bengtson, V. L., & Peterson, J. A. (1972). An Exploration of the Activity Theory of Aging: Activity Type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In-movers to a Retirement Community. Journal of Gerontology, 27(4), 511-523. doi.org/10.1093/geronj/27.4.511
  58. Liang, J., & Luo, B. (2012). Toward a discourse shift in social gerontology: From successful aging to harmonious aging. Journal of Aging Studies, 26(3), 327-334. doi.org/10.1016/j.jaging.2012.03.001
  59. Ryff, C. D. (1982). Successful Aging: A Developmental Approach. The Gerontologist, 22(2), 209-214. doi.org/10.1093/geront/22.2.209
  60. Singleton, J. F., Forbes, W. F., & Agwani, N. (1994). Stability of Activity Across the Lifespan. Activities, Adaptation & Aging, 18(1), 19-27. doi.org/10.1300/j016v18n01_02
  61. Stake, R. (n.d.). Stake and Responsive Evaluation. Evaluation Roots, 204-217. doi.org/10.4135/9781412984157.n13
  62. Stone, R. G. (1996). Gerontology manual. Warner Tacoma, WA: Univ. of Puget Sound.
  63. Strawbridge, W. J., Cohen, R. D., Shema, S. J., & Kaplan, G. A. (1996). Successful Aging: Predictors and Associated Activities.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44(2), 135-141. doi.org/10.1093/oxfordjournals.aje.a008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