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족교육

Search Result 1,79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n Empirical Study of Elderly Volunteering Commitment and Their Life Satisfaction Based on Activity Theory (노인자원봉사자의 봉사활동 헌신과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 활동이론을 중심으로 -)

  • Kim, Mee-Hye;Jung, Jin-Kyung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4
    • /
    • pp.221-243
    • /
    • 2003
  • Activity theory explains that the old people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y as a role-substitute from loss of roles given by work and family.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ir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se activities. Based on this activity theory, this study aims at explore the role substitute of voluntary activities and to analysis whether volunteering commitment has an effect on life satisfaction.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survey questionnaires to the elderly over 55 years old who participated in voluntary activity at 25 Volunteer Centers in Seoul. The Activity theory was operationalized by job or joblessness, family type, achievement type obtained through voluntary activ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Job or joblessness has effect on the activity frequence and activity time. (2) Social achievement after voluntary activity has effect on the duration only (3) And the family type did not have any effect. These three variables of activity theory do not have an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e elderly volunteering commitment was explained by variables other than activity theory such as reward, health, education, sex. And the elderly volunteer's life satisfaction were affected by the family types and their economic statu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Korean elderly voluntary activities could be expained partially by Activity theory. Also for these elder volunteers's life satisfaction, qualitative respects such as achievements through voluntary activity, and concerns and support by agencies are more important than the time they imput in voluntary activities.

  • PDF

The Barangay Integrated Development Approach for Nutrition Improvement of the Rural Poor, BIDANI(a Nutrition-in-Development Network Program) (지역 종합개발계획 접근에 의한 빈농 영양개선사업 -영양ㆍ개발 네트워크 프로그램-)

  • 박양자
    • Korean Journal of Rural Living Science
    • /
    • v.4 no.2
    • /
    • pp.155-162
    • /
    • 1993
  • BIDANI is the action-research program. BIDANI aims to be truly a people's program embodying their own activities and aspiration. BIDANI sees an integrated development approach at the community level with participatory services embodied in a Barangay Integrated Development Plan(BIDP) designed by the people themselves. Community situational analysis is conducted by the people to identify the priority problems and potential resources in the barangay. Participatory planning, using the “bottom up” apporach, is exercised to formulate a BIDP. Proper motivation and advocacy encourage barangay people's participation. Accessibility and efficiency in the use of various services and resources of government and private agencies increase. Family groups who are at high-risk to malnutrition become aware of the importance of nutrition through their participation in development program activities. Integration of political and socio-economic concerns at the lowest level is operationalized. Implementation and sustainability of the program on a wider scale from a model project to a model program is facilitated through institutionalization at the municipal/city level with the mayor as the project director. “Top to bottom” planning through a City/Municipal Integrated Development Program(C/MIDP) interacts with “bottom up” planning at the barangay level. The establishment of a local Training School for Barangay Development(TSBD) in each municipality and city for continuing education of indigenous village workers and barangay people is a vital component for success and viability. The role of non-political entities such as academic institutions and non-government organizations, as catalytic agents of development, is stressed.

  • PDF

Awareness and Use of Fast Food on Elementary School 4th, 5th and 6th Grade Students in Pyeongtaek City (평택시 초등학생의 패스트푸드에 대한 인식과 이용)

  • Kim, Kyeong-Hyun;Jung, Eun-Hee;Rhie, Seung-Gy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9.09a
    • /
    • pp.79-79
    • /
    • 2009
  • 최근 아동들 사이에서 칼로리가 높고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인스턴트식품이나 패스트푸드 등의 섭취가 증가하는 경향과 함께 비만 등 영양적인 문제점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특히 아동기는 식습관 형성에 중요한 시기이므로 올바른 식품선택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올바른 식생활문화를 형성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평택 초등학교 2개교의 4, 5, 6학년 300명을 대상으로 패스트푸드 섭취실태를 조사하였다. 평균연령은 11.7세, 키는 141.5cm, 몸무게는 36.7kg이였다. 아침 식습관태도 조사에서는 일주일에 5번 이상 아침식사를 한다(여학생 78.1%, 남학생 74.3%)는 답이 가장 많았다. 아침결식 이유는 밥맛이 없기 때문(여 58.2%, 남 54.4%)이 가장 높은 비율이었고, 편식은 여학생의 54.2%, 남학생의 48.9%가 하지 않는다고 하였으나, 편식하는 식품은 나물이나 샐러드 등의 채소류(여 51.1%, 남 61.4%)가 많았다. 간식섭취는 가끔 섭취한다는 답이 여학생 59.8%, 남학생 60.0%로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간식은 부모님이 사주신다(여 32.6%, 남 39.1%)고 하였으며, 여학생은 50.5%가 가족과 함께 먹고 남학생의 경우에는 44.8%가 혼자 먹는다는 결과를 보였다. 간식으로 과일섭취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조사한 결과는 여학생의 33.0%가 2-3일에 2회 이상 섭취한다고 했지만, 남학생은 29.5%가 매일 먹는다고 답을 하여 과일섭취는 모두 딸이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패스트푸드의 이용동기는 맛이 좋아서(남 60.8% 여 55.2%), 다음은 이용이 편리하기 때문이며(남 32.4% 여 40.6%), 주로 이용하는 곳은 분식 및 편의점이었다. 패스트푸드 이용횟수는 월1-2회(남 52.4%, 여 51.6%)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주1회 정도(남 21.9%, 여 32.0%) 이용한다고 하였다. 이용시간은 방과 후 저녁시간을 가장 많이 이용하며(남 47.6%, 여 50.5%), 남 녀 모두 사서 집에서 먹거나(남 44.7%, 여 41.2%), 배달시켜 집에서 먹는다(남 39.8%, 여 37.1%)고 하였다. 가장 좋아하는 패스트푸드는 라면 등의 분식으로 여학생의 40.2%, 남학생의 26.2%가 해당되었고, 그 다음 순서로 남학생은 피자(22.3%)와 치킨(22.3%) 및 햄버거(18.5%), 여학생은 치킨(25.8%)과 도너츠(12.4%)를 더 선호하였다. 패스트푸드 만족도를 3점 척도로 조사한 결과, 맛이 가장 높은 점수(2.42)였으며, 가격(1.98), 위생(1.92) 서비스(2.15)는 보통으로 평가했다. 본 연구 결과, 조사 대상자들의 패스트푸드 섭취는 가끔 먹는 간식과 같은 형태로 당장 우려할 정도는 아니지만,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바와 같이 10대와 20대에 특히 섭취율이 증가함을 감안할 때, 중학생이 되기 전 단계에서 우리음식의 우수성과 패스트푸드 섭취지양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 PDF

Green-Tea Purchase Choice Attributes in Metropolitan Area (수도권 차(茶)소비자의 구매선택속성)

  • Kim, Kyung-Hee;Park, Duk-Byeong;Kim, Mi-He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9.09a
    • /
    • pp.85-85
    • /
    • 2009
  • 차는 세계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음료로 건강에 대한 관심증가와 함께 음용량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국내 차 산업은 중국이나 일본 등에 비해 가격 품질경쟁력, 상품개발 면에서 크게 뒤떨어져 있는 실정이며, 향후 차시장도 전면적인 시장개방의 위협에 직면해 있어 차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경쟁력 있는 수출전략과 함께 국내산업 유지를 위한 전략도 모색해야 한다. 본 연구는 차 소비자의 구매 선택속성을 분석한 것이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남녀 소비자를 대상으로 총 220부의 질문지를 배부하여 최종적으로 189부를 분석하였다. 전체 조사대상자는 여자가 155명(82.0%)이었으며, 연령은 20대가 29명(15.3%), 30대가 52명(27.5%), 40대가 56명(29.6%), 50대 이상은 52명(27.5%)이었다. 교육수준은 대학교졸/재가 91명(48.2%), 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직업은 회사원/공무원이 59명(31.2%), 주부가 59명(31.2%)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월평균 소득은 200만원~300만원 미만이 57명(30.2%)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조사대상자의 차 소비 특성으로는 잎차와 티백, 가루차를 포함해 연평균 차 구매량이 '1~3통'이라고 응답한 사람이 73명(38.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4~6통'이 39명(20.6%), '1통 미만'이 32명(16.9%), '6~10통'은 24명(12.7%), '10통 이상'은 21명(11.1%)으로 나타났다. 차를 마시는 장소는 '사무실이나 학교'가 100명(52.9%)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집'은 83명(43.9%), '녹차전문점이나 찻집'은 6명(3.2%)으로 나타났다. 차를 마시는 상황은 '혼자 마신다'가 72명(38.1%)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친구와 만날 때나 사교모임 시'는 68명(36.0%), '가족과 함께 대화 시'는 31명(16.4%), '사업상대를 만날 때'는 18명(9.5%)으로 나타났다. 차를 음용하는 이유는 '편안한 대화를 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 65명(34.4%)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건강에 좋은 웰빙 음료이기 때문'은 53명(28.0%), '기호음료로서 맛과 향이 좋기 때문'은 42명(22.2%), '정신을 맑게 해주기 때문'은 21명(11.1%), '갈증해소에 좋기 때문'은 8명(4.2%)으로 나타났다. 차 구입 시 정보를 얻는 곳은 '주위사람들'이 77명(40.7%)으로 가장 높았고, '신문이나 잡지, TV 등'은 66명(34.9%), '판매원이나 시음을 통해서'는 33명(17.5%), '인터넷'이 13명(6.9%)으로 나타났다. 차소비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속성은 맛(4.31)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이 향(4.12), 브랜드(3.84), 가격(3.76), 생산지역(3.75), 발효정도(3.72), 색(3.68), 채엽시기(3.69), 포장(3.66), 제조방법(3.56) 순으로 나타났다.

  • PDF

우리나라 직장 정신보건제도의 방향과 전망

  • Baek Do-Myeong
    • 대한예방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5a
    • /
    • pp.73-83
    • /
    • 2002
  • 우리 사회에서 일정 정도 이상의 사회와 가정에서의 기능상의 부적응을 초래하는 정신적 문제는 경제활동인구에 있어 가장 흔한 보건의료상의 문제일 것으로 추측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정신보건제도 마련에 있어 가장 극심한 부적응을 보이는 정신적 장애를 지닌 환자를 위주로 수용시설과 지역사회에서의 재활과 관리에 그 초점을 두어 왔다. 즉 직업스트레스와 같은 일시적인 사회심리적 갈등으로 인한 신체증상의 호소나 알을 및 약물중독으로 인한 사고의 발생으로부터 일생동안 관리되어야 하는 지능저하나 학습장애와 같은 만성적인 문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을 보이는 사업장과 지역사회에서의 정신적 문제들 중 그 일부만이 제도적으로 관리되어 왔다. 실제 그 동안 직장 내 정신보건문제에 대한 행정적 관심은 일부 장애인의 취업 문제를 제외하고는 없었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우리 사회의 산업구조와 경제사회적 조건의 변화에 따른 노동내용과 조건상 유연화의 증대가 많은 직장에서 노동강화로 이어진다는 점, 그리고 가족 및 교류집단을 비롯한 전통적인 사회적 지지구조가 와해되고 있다는 점과 정신적 문제로 인한 기능상 부적응의 척도가 한편으로 사회적 가치관의 변화에 따라 계속 그 영역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등에서 직장 내 정신보건 문제는 앞으로 더욱 그 비중이 커질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관심이 요구되는 현재의 시점에서 제도적 접근에 대한 검토 또한 시작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현재까지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정신보건관리의 현황을 단편적으로 파악해 보았을 때, 단지 일부 기업에서 취업시 내지는 부서 배치시 성격검사를 비롯하여 적성검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기업윤리확보 차원에서 비정규적으로 사기앙양을 주목적으로 하는 집단적인 교육이나 단체훈련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정신심리적 문제를 개인적 차원에서 그리고 또한 조직적 차원에서 체계화된 프로그램으로 관리하고 있는 사례는 아직 없다. 앞으로 직장 내 정신보건문제에 대하여 제도적인 접근을 하기 위하여서는 다음과 같은 세가지 조건들이 구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첫 번째로 문제점 그 자체의 내용과 그 규모에 대한 정확한 파악과 예측이 가능하여야 한다. 즉 제도 전체의 운영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개선할 수 있는 기제가 함께 있어야 제도가 실제적인 기능을 할 수 있다는 최소한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 두 번째로 문제점의 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개입내용 및 개입지점의 확보가 가능하여야 한다. 특히 직장 내에서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며, 이는 시범사업과 시장을 통한 소비자, 즉 사업주들의 자발적인 선택을 통하여 검토되고 걸려져야만 한다. 마지막으로 제도 운영의 대상, 특히 정신보건문제를 안고 있는 노동자들의 자발적인 동의가 확보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정신적 문제가 안고 있는 편견과 그로 인한 차별이 가져다주는 문제를 함께 고려하면서 제도가 운영되어야 하며, 이에 있어 제도 운영상 노동자들의 주체적인 참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상 고려되는 직장 내 정신보건문제에 대한 제도적 접근을 담기 위하여서는 프로그램 개발이나 전문가 집단의 양성과 같은 단순한 기술적 접근과 이들의 인허가 및 사업화에 따른 적용기준 및 의무의 설정과 같은 제도적 접근에 그쳐서는 그 실효성을 담보하지 못할 것으로 판단된다. 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정신보건문제에 대한 노사의 공감대를 이루어 내는 것이며, 사회 전반적인 인식의 확산과 더불어 바람직한 관리모습에 대한 사회적 가치관을 도출해 내는 것이 제도적인 접근의 성공을 보장할 수 있는 기반 조건이 될 것이다. 이러한 점에 있어 정신보건문제를 바라보는 기존의 가치관이 부정적이고 고착화된 모습만을 강조하였으나, 이제는 점차 긍정적이 사회활동에 수반되는 역동적인 모습으로서 비추어지는 것이 많아진다는 측면에서 그 전망을 밝게 하여 주고 있다.

  • PDF

Emotional Availability of working mothers and their 24~48 month-olds in child care centers (취업모와 자녀의 정서적 가용성에 관련된 변인 연구:보육시설에 다니는 24-48개월 아동을 중심으로)

  • Han, Sung Hee;Lee, Young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
    • v.6 no.1
    • /
    • pp.23-45
    • /
    • 201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level of emotional availability of working mothers and their 24~48month-olds (67 dyads: 33 boys and 34 girls) in child care center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child emotional availability and the related variables of working mothers and their children. Emotional Availability Scales (EA, 3rd edition) developed by Biringen, Z., Robinson, J., & and Emde, R.N. (1998) was used. Mother's work-family conflict,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maternal depression, temperament of child, personal background were measu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level of mother-child emotional availability was above in the middle leve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other-child emotional availability by maternal educational level and family income level, an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mother-child emotional availabilit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other-child emotional availability by the starting point of child care experience. Mother-child emotional availability were significantly explained by family income level,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the starting point of child care experience.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Items on Psychosocial Assessment among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ocial Workers (호스피스·완화의료 사회복지사의 심리사회적 사정항목에 대한 중요도 인식)

  • Kim, Won-Chul;Hwang, Myung Jin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v.17 no.4
    • /
    • pp.259-269
    • /
    • 2014
  • Purpose: This preliminary study is aimed at developing standardized tools for psycho-social assessment of patients in needs for hospice/palliative care. To accomplish the purpose, investigators examined effects of perceptions of social workers on the importance of psycho-social domains of assessment in hospice/palliative care settings. Moreover, investigators paid attention to variances of perceptions of social workers' along with types of institution and credentials of those family settings. Methods: A form of questionnaire was first explored from an initial interview assessment of 10 government-certified hospice care providers and a literature review, second constructed with eight domains and 80 items, and sent by e-mail to 55 institutions and hospitals providing hospice/palliative cares in Korea. Lastly, a total of 31 agencies returned with a completed responses and consent form (56% response rate). SPSS program (version 18.0) was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Study found that social workers perceived patients' family background (m=4.53, 5-point scale) as the most important assessment domain, whereas economic conditions (4.06 point) the least important. Social workers' perception varied by credentials (i.e., license types, training, full-time position, types of care facility). Conclusion: Based upon study findings, investigators can conclude strong needs for developing a assessment tool that measures multiple domains (i.e., psychological, social and ecological aspects) of patients. A standardized assessment tool should be structured with 2 axis (center/core and expanded/peripheral) and tailored for institution type. Second, professional trainings must be provided by strengthening legal institutionalization and fostering qualified social workers with full responsibilities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patients.

A Study on Self-Leadership and Job Involvement of Multicultural Family Home-Visit Instructors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지도사의 셀프리더십과 직무몰입에 관한 연구)

  • Chae, Jin-Young;Kim, Hera;Hwang, Hae Shin;Kwon, Ki Nam;Kang, Bogjeong;Suh, Joo Hyun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 /
    • v.37 no.6
    • /
    • pp.83-94
    • /
    • 2016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self-leadership and job involvement based on the education levels, majors, and teaching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family home-visit instructors and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on job involvement. Methods: 668 home-visit instructors participated in the online survey from 140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n Seoul, 6 metropolitan cities, 9 provinces, and other cities and counties.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percentages, Pearson's correlations, one-way ANOVA, $Scheff{\acute{e}}$ post-hoc test, and stepwise multi-regression using SPSS 21.0. Result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structors who were high school graduate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self-leadership than the other groups. There was on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reward of self-leadership based on their majo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involvement based on the education level and major. The greater their home-visit teaching experiences, the higher their scores in self-leadership and job involvement. Second,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model showed that self-expectation, self-goal setting, constructive thinking, and rehearsal of self-leadership explained 49% of the total variance in job involvement. Conclusion: Even though the high school graduate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self-expectation, rehearsal, and constructive thinking of self-leadership than the other groups, over-generalization should be avoided because the sample size was relatively small. Based on the finding that greater home-visit teaching experiences was associated with higher self-leadership and job involvement, it would be necessary to improve working condition to prevent instructors from changing jobs. These findings stress the importance of providing opportunities for home-visit instructors to develop leadership, thus improving job involvement.

Validation of RESPECT-Music With a Korean Sample (한국판 음악 기능 척도의 타당화와 정서적 적응과의 관계)

  • Lee, Jung Yun;Kim, Minhee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 /
    • v.14 no.2
    • /
    • pp.45-7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RESPECT-Music, which measures personal, social and cultural function of music, an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asured RESPECT data and the data measured from other scales for emotion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two separate groups of undergraduate student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ith sample A (N=212)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es with sample B (N=296) were conducted. The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generated 10 factors as influential factors in music use, which was the similar results to the original scale: background, values, focus, dancing, family bonding, cultural identity, political attitudes, venting, emotional expression and social bonding. In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is 35-item measurement was found to obtain adequate internal consistency and reliability. In addition, the correlations were found with other scales measuring emotional adjustment. Specifically, RESPEC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cales for positive affect, reappraisal, negative mood regulation and repair. Among the generated factors as music function, dancing was highly correlated with emotional adjustment, while political attitude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adjustment. The results indicate that music use in our everyday lives is intercorrelated with the intrapersonal and interpersonal motives and emotional adjustment, while the function of music that influences cultural identity was not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emotional adjustment.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suggested.

Investigating a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Consumption of Korean TV Programs in China: Focused on Globalism, Proximity, and Modernity (중국내 한국 TV 프로그램 소비에 대한 이론적 배경 연구: 국제성, 근접성, 현대성을 중심으로)

  • Kim, Sojung;He, Qij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4
    • /
    • pp.675-690
    • /
    • 2016
  • The current study attempts to empirically identify a theoretical background that effectively explains Korean pop-culture consumption in the Asian Pacific region; particularly, in China.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s how globalism, proximity, and modernity, which have been suggested in literature as key theoretical backgrounds for the Korean wave, influence China's motivation to consume the Korean wave and its subsequent consumption of Korean TV programs (e.g., dramas, variety shows, etc.).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motivation to consume the Korean wave is positively related to globalism and proximity. Modernity, however, is found to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the motivation to consume the Korean wave. That is, the more one holds international values, the more one perceives Korea as similar to China, and the more one holds traditional values, the more motivation one shows to consume the Korean wave. The study also finds that the motivation to consume the Korean wav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onsumption of Korean TV programs. In the revised model, the study suggests that proximity, followed by globalism, has the strongest positive relationship with motivation. Such a finding suggests that a proximity approach could serve as a better theoretical perspective to explain the phenomenon of the Korean wave in China. Regarding the relationships of the demographic/socio-economic variables and the motivation to consume the Korean wave, females, rather than males, the higher the family income one gains, and the lower education level one has had, the more motivation one will show to consume the Korean w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