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족계획

검색결과 407건 처리시간 0.022초

가족계획 사업이 출산율 저하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Family Planning Program in Lowering Fertility)

  • 김영일
    • 노동경제논집
    • /
    • 제37권2호
    • /
    • pp.105-121
    • /
    • 2014
  •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후진국의 폭발적인 인구 증가는 세계적인 근심을 야기했다. 하지만 출산율을 낮추려는 가족계획 사업의 효과는 이러한 정부 계획이 내생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측정하기 힘들다. 이 논문은 고정효과 모형을 써서 가족계획 사업의 출산율 저하에 대한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밝혀내고자 한다. 고정효과 추정에 따르면 가족계획 사업이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은 극히 미미하다. 그 중 1인당 소득이 높은 편인 국가들만이 유의한 음의 효과를 보여준다.

  • PDF

자연적 가족계획의 윤리와 인간가치

  • 맹광호
    • 한국가톨릭병원협회지
    • /
    • 제19권
    • /
    • pp.28-31
    • /
    • 1988
  • 다음 글은 금년 6월 19일부터 24일까지 세계보건기구가 태국수도 방콕에서 개최한 국제회의-"가족계획의 윤리와 인간가치:개인과 사회의 권리와 책임에 관한 국제대화"-에 부진 교황성하의 연설문가운데 일부분, '자연적 가족계획의 윤리와 인간가치'부분을 발췌한 것입니다. 방콕회의를 위한 교황성하의 연설문은 오늘날 전세계에 유행하고 있는 갖가지 가족계획에 관하여 그들의 윤리문제와 인간가치문제를 제기하면서 각국 지도자들이 올바른 인구 및 가족계획관을 갖도록 촉구하고 있는데 여기 소개하는 부분은 교회가 단지 세계적 인구문제에 대해서 깊은 관심을 갖고 있을 뿐 아니라 가장 윤리적이고 인간가치를 높히는 자연적 가족계획방법을 구체적인 대안으로 제시하면서 각국이 이를 보다 널리 보급하고 관심있는 의료인, 과학자들이 이를 좀 더 연구할 것을 권하고 있는 것입니다.

  • PDF

인구문제와 가족계획(2)

  • 나건영
    • 과학과기술
    • /
    • 제9권4호통권83호
    • /
    • pp.31-32
    • /
    • 1976
  •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인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도 15년전부터 가족계획사업이 활발히 진행되어 피임, 불임시술 등이 나날이 보급되어 가고 있다. 온 국민이 가족계획사업에 지식을 갖고 협력해야겠다.

  • PDF

한국 사회의 근대화 기획자 가족정치 : 가족계획사업을 중심으로 (Modernization Project of Korean Society and Family Politics: on the Basis of Family Planning Programs)

  • 김홍주
    • 한국인구학
    • /
    • 제25권1호
    • /
    • pp.51-82
    • /
    • 2002
  • 본 논문은 60년대 이후 한국 가족의 구조적 변동을 가져온 핵심 요인으로 가족계획사업을 통한 국가의 가족정치(family politics) 과정을 주목하였다. 국가의 용의주도한 기획 아래 가족의 '계획'이 이루어졌으며, '계획합리성(plan rationality)'에 의해 인위적이고 강압적으로 새로운 가족이 만들어진 것이다 가족계획사업의 진행과정에서 국가의 가족정치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사업의 정당성 확보를 위해 근대 가족의 이미지를 동원하는가 하면, 사업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미시적 감시망 속에 가족을 묶어두기도 했다. 소자녀가족에 대한 경제적 사회적 지원을 통해 근대 핵가족을 유도하기도 했으며, 의료적 기술을 통해 강압적인 구조변동을 이끌기도 했다. 이에 따라 사업 이후 40년 동안 우리 가족은 규모의 축소와 구성의 단순화, 전반적인 근대적 가족행동 및 가치의 증가를 경험하게 되었다. 사업을 통해 국가는 가족을 공적 영역으로 끌어내고. 근대화 기획에 걸맞는 가족 유형과 규범을 만들어 갔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나타난 가족 문제는 아주 심각하다. 그럼에도 국가는 다시 신자유추의 정치담론을 통해 가족을 국가복지의 대리인이 될 것을 강요하고 있다. '가족을 통한 복지'로 국가복지의 취약성을 대신하려 한다. 가족은 복지의 대상이지 복지의 주체가 아니다. 국가의 가족정치는 바로 이러한 복지 대상으로서 가족을 만들어 가는 노력으로 바뀌어져야 한다.

건강검진 후(後) 건강수치 읽기 - 2013년 새해맞이 우리가족 연령대별 건강계획 세우기

  • 김정운
    • 건강소식
    • /
    • 제37권1호
    • /
    • pp.32-33
    • /
    • 2013
  • 새해를 맞아 흔히 세우는 계획의 주제로는 무엇이 있을까? 저축, 금연, 여행, 자격증, 학습 등 그 종류도 다양하다. 하지만 이런 많은 계획을 세우기에 앞서 꼭 챙겨야 할 것이 있다. 바로 모든 계획의 밑바탕이 되는 '건강 계획'이다. 성장기인 10대부터 청장년층을 넘어 노년기까지, 우리가족의 연령대별 건강계획을 세워보자.

  • PDF

기혼 여성 관리자의 가족친화제도 운영 인식과 후속출산계획 간의 관계: 가족친화적 상사지원인식 및 일·가정 양립 갈등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Friendly Policies and the Childbearing Intentions of Female Managers: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Friendly Supervisor Support and Work-Family Conflict)

  • 강하라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5권2호
    • /
    • pp.25-39
    • /
    • 2021
  • 본 연구는 기혼 여성 관리자의 가족친화제도 운영 인식이 후속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과 가족친화적 상사지원인식과 일·가정 양립 갈등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여성관리자패널 데이터의 7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명 이상의 자녀를 두고 있는 여성 관리자 480명을 연구 대상자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혼 여성 관리자의 가족친화제도 운영 인식은 후속출산계획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가족친화적 상사지원인식과 일·가정 양립 갈등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조직이 가족친화제도를 운영하는 것에 더해 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지지하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이에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저출산 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정책적, 실천적 개입을 제안하였다.

둘째 출산 계획의 결정요인과 가족내 성 형평성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Gender Equity within Family and Second Birth)

  • 박수미
    • 한국인구학
    • /
    • 제31권1호
    • /
    • pp.55-73
    • /
    • 2008
  • 이 글은 한국사회 가족내 성 형평성과 둘째 출산과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한국 사회 초저출산 현상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정책적 이론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는 데 연구목적이 있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5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전국 결혼 및 출산동향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조사 당시 한 자녀를 둔 20-34세 기혼 여성의 둘째 출산 계획에 대한 로짓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대상 516명 가운데 둘째 출산을 할 의향이 있는 여성들은 54.7%, 282명이었다. 분석결과 여성들의 둘째 출산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는 '자녀 터울 조절'과 '원하는 자녀 구성' 등 가족주기상의 가족계획으로 나타났다. 총가구원수가 많을수록 (90% 유의도 수준), 첫째 자녀의 성이 여아일수록 둘째 출산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여성들의 둘째 출산 계획에, 가족내 부부의 '성 형평성 요인'은 기혼 취업 여성에게서만 의미 있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기혼 취업 여성의 경우 남편의 가사노동시간이 증가할수록 둘째 출산에 더욱 적극적이었다. 그러나 전업주부의 경우 남편의 가사노동시간이나 가사분담률과 같은 부부간성 형평성 정도는 그들의 둘째 출산 계획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았다. 전업주부의 경우 둘째 출산 시기를 앞당김으로써 자녀양육기간을 단축하고 이후 재취업을 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국 가족내 성 형평성 여부가 둘째 출산 계획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기혼취업여성이나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전업주부여성 모두 일과 가족생활의 양립이 어려운 상황에서 개별적인 생애전략을 취하고 있으며 일 가족생활 양립을 위한 가족내 성 형평성 증대와 사회적 지원이 요구된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