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ernization Project of Korean Society and Family Politics: on the Basis of Family Planning Programs

한국 사회의 근대화 기획자 가족정치 : 가족계획사업을 중심으로

  • 김홍주 (한국청년정책연구소 연구위원)
  • Published : 2002.06.01

Abstract

This paper focuses on the process of national family politics through the project of family planning which became one of the main factors that brought the structural change in Korean families after 1960's. The family planning was established under the national project which was tightly driven by the government, and the new families were built artificially and coercibly by the plan rationality. The various and diverse forms of the national family politics were revealed in the process of the project. For example, the image of the modern families was forcedly adopted in order to justify the project, the families in this period were under microscopic surveillance in order to accomplish th e project effectively , etc. Modern nuclear families were derived through the economical and social support on the families only with a few number of children, and the structural change was made through the medical technique and support. Consequently, during the forty years after the project, the size of the families were reduced drastically, various and diverse forms of families were generated, and the modern family action and value were wide spread and generalized. Through the project, the government has been establishing th family patterns and norms which were so suitable to the modernization project that the families were able to be pulled into public sphere. The family problems in this process became very serious. However the government repeatedly forced the families to be the reoresentative of welfare state through new-modern political discourses. The welfare through the family is coerced to replace the weakness of welfare state. However the family is not the subject of the welfare, but the object of the welfare. The governmental family politics must make more efforts to gave the families to be the object to the welfare.

본 논문은 60년대 이후 한국 가족의 구조적 변동을 가져온 핵심 요인으로 가족계획사업을 통한 국가의 가족정치(family politics) 과정을 주목하였다. 국가의 용의주도한 기획 아래 가족의 '계획'이 이루어졌으며, '계획합리성(plan rationality)'에 의해 인위적이고 강압적으로 새로운 가족이 만들어진 것이다 가족계획사업의 진행과정에서 국가의 가족정치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사업의 정당성 확보를 위해 근대 가족의 이미지를 동원하는가 하면, 사업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미시적 감시망 속에 가족을 묶어두기도 했다. 소자녀가족에 대한 경제적 사회적 지원을 통해 근대 핵가족을 유도하기도 했으며, 의료적 기술을 통해 강압적인 구조변동을 이끌기도 했다. 이에 따라 사업 이후 40년 동안 우리 가족은 규모의 축소와 구성의 단순화, 전반적인 근대적 가족행동 및 가치의 증가를 경험하게 되었다. 사업을 통해 국가는 가족을 공적 영역으로 끌어내고. 근대화 기획에 걸맞는 가족 유형과 규범을 만들어 갔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나타난 가족 문제는 아주 심각하다. 그럼에도 국가는 다시 신자유추의 정치담론을 통해 가족을 국가복지의 대리인이 될 것을 강요하고 있다. '가족을 통한 복지'로 국가복지의 취약성을 대신하려 한다. 가족은 복지의 대상이지 복지의 주체가 아니다. 국가의 가족정치는 바로 이러한 복지 대상으로서 가족을 만들어 가는 노력으로 바뀌어져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가족계획연구원(1971), '가족계획연보'
  2. (1973), '가족계획의 실제'
  3. 권태환 . 김두섭(1990), <<인구의 이해>> 서울대학교 출판부
  4. 공세권 외(1985), <<한국가족계획사업>> 가족계획연구원
  5. 김미현(1993), '한국 가족정책에 나타난 국가-가족관계,' 연대 정치학과 석사논문
  6. 김윤태(1999), "발전국가의 기원과 성장," '사회와 역사' 56집
  7. 김은실(1999), '한국 근대화 프로젝트의 문화논리와 가부장성,' '당대비평', 가을호, 삼인
  8. 김흥주(1994), '한국 농민가족의 변화에 관한 연구: 농민의 가족전략을 중심으로,'고려대 박사학위논문
  9. 대한가족계획협회(1972), '가족계획사업평가세미나 보고서'
  10. 대한가족계획협회(1980), '한국 가족계획사업의 현황과 전망'
  11. 박찬웅(1998), '국가능력과 국가 개입방식에 대한 제도론적 접근,' '한국사회학' 32집 겨울호
  12. 보건사회부(1970), '1970년도 가족계획실천지침'
  13. 손애리(1999), '1960-1970년대 한국의 출산통제정책 연구,' 고대 사회학과 석사학위논문
  14. 송호근(1999), '한국사회의 구조: 종합적 고찰과 분석과제,' 김일철 외, '한국사회의 구조론적 이해', 아르케
  15. (2000), '박정희 정권의 국가와 노동,' '사회와 역사' 58집, 문학과 지성사
  16. 신극범 편(1976), '인구교육', 교육출판사
  17. 안호용 . 김흥주(2000), '한국가족변화의 사회적 의미,' '한국사회' 3집
  18. 양재모(1986), '우리 나라 인구정책의 종합분석,' '한국인구학회지', 제9권 제1호(한국인구학회)
  19. 윤상우(2001), '동아시아 발전국가론의 비판적 검토 -한국의 경험을 중심으로-,'-'경제와 사회' 여름호(통권 50호)
  20. 이미경(1989), '국가의 출산정책 -가족계획정책을 중심으로-,' '여성학논집' 6호(이화여대)
  21. 이해영 . 권태환 편(1978), '한국사회 : 인구와 발전', 인구및발전문제연구소(서울대)
  22. 이효재J(1960), '서울시 가족의 사회학적 고찰,' '한국문화연구원논총' 제1집
  23. (1972), '한국인의 아들에 대한 태도와 가족계획,' '한국문화연구원논총' 제12집
  24. 이흥탁(1987), '인구학', 법문사
  25. 장경섭(1993), '중국 농촌의 경제개혁과 인구문제,' '지역연구' 2권 2호
  26. 장경섭(1993), '가족 . 국가 . 계급정치,' '한국사회사연구회논문집' 제39집( '한국근현대 가족의 재조명'), 문학과 지성사
  27. 정일준(1999), '안보국가에서 발전국가로,' '경제와 사회' 여름호(통권 42호)
  28. 조형근(1997), ''어린이기'의 등장과 근대적 가족모델의 등장,' 조형근, '근대성의경계를 찾아서', 샛길
  29. 조혜인(1978), '유고와 자본주의,' '사회와 역사' 제53집, 문학과 지성사
  30. 조희연(1997), '동아시아 성장론 검토 : 발전 국가론을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36호, 한울
  31. 최봉영(1998), '유교 문화와 한국 사회의 근대화,' '사회와 역사> 제53집, 문학과지성사
  32. 최재석(1964), '한국가족의 전통적 가치의식,' <<아세아연구>> 7-2
  33. (1982), '현대가족연구', 일지사
  34. 한국보건사회연구원(1990), '정부가족계획사업평가'
  35. 한국사회학회 편(1972), '한국가족계획 연구활동에 관한 사회학적 평가,' '세미나보고서'
  36. 한국인구보건연구원(1986), '예비군 가족계획 실태조사 보고'
  37. 허은령(1987), '인구정책의 결정 및 집행에 관한 연구 : 가족계획사업을 중심으로,'서울대 행정대학원 석사논문
  38. 홍문식(1998), '출산력 억제정책의 영향과 변천에 관한 고찰', '한국인구학'21권 2호
  39. 홍문식 . 서문희(1986), '예비군 가족계획 실태보고,' 한국인구보건연구원
  40. Apter, David(1965), The Politics of Moderniza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1. Amsden, Alice(1989), Asia's Next Giant: South Korea and LateIndustrializ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이근달 역, 1990,'아시아의 다음 거인: 한국의 후발공업화', 시사영어사)
  42. David, Kingsley & Judith Blake(1956), 'Social Structure and fertility : anAnalytic Framework,' Economic Development and Cultural Change 4(3)
  43. Evans, Peter(1995), Embedded Autonomy: States and Industrial Transformation, Princeton: Princeton Univ. Press
  44. Foucault, M.(1975), Surveiller et Punir, Gallimard, 1975 (오생근 역, 1994, '감시와 처벌', 나남)
  45. Felski, Rita(1995), The Gender of Modernity, Harvard University Press
  46. Gittins, Diana(1985), The Family in Question: Changing Households and Familiar Ideologies. London: Macmillan (안호용 . 김흥주 . 배선희 옮김. 1997. '가족은 없다 - 가족이데올로기의 해부'. 일신사)
  47. Onis, Ziya(1999), 'The Logic of the Developmental State,' ComparativePolitics 24(1)
  48. Somerville, Jenniffer(1992), 'The New Right and Family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22
  49. Tilly, Chales(1978), From Modernization to Revolution. New York: RandomHouse
  50. Wade, Robert.(1990), Governing the Market: Economic Theory and the Role of Government in East Asian Industrialization, Princeton: Princeton Univ.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