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정교육과

검색결과 3,559건 처리시간 0.029초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교육과정 분석 (Analysis of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of College of Education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 박지순;주수언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05-124
    • /
    • 202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사범대학의 가정교육과 교육과정과 382개의 교수요목에 포함된 내용을 키워드 네트워크 방식을 통해 특성을 파악하고 세부 분야별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총 11개 대학의 가정교육과 교육과정과 382개의 교수요목을 분석하기 위해 Krword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키워드 출현 빈도를 분석하고, 키워드 간의 연결 정도와 다양한 중심성 척도를 시각화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교수요목을 분석한 결과는 가족, 중등학교, 의복, 식품, 소비자,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를 나타내는 키워드들이 골고루 나타났으며 '방법', '실제', '변화', '원리' 등과 같은 교수법 및 수업 방식에 관한 키워드가 높은 연결 정도와 중심성 지표를 나타냈다. 둘째, 세부 분야별 분석에서 영역별 핵심키워드가 나타났으며, 키워드들의 주제는 학문기반의 핵심키워드를 반영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가정교육과 교육과정에서 미래지향적이고 융합적인 교육내용을 다룰 수 있는 교육과정으로 전환하는 것에 기여하는데 의의가 있다.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가정생활 분야의 진로교육내용 분석 (Content Analysis on Career Education Included in Family Life Area of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 박예라;심현섭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7-75
    • /
    • 2022
  • 이 연구는 학교 진로교육 목표 및 성취기준 개정안을 바탕으로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이 반영된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가정생활 분야 내용을 분석하여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가정생활 분야에 포함된 진로교육 내용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5 교육과정이 적용된 중·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5종을 선정하여 한국직업능력연구원(2021)에서 개발한 학교 진로교육 목표 및 성취기준 개정안을 교과서 분석을 위한 틀로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2015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가정생활 분야에서 진로교육 내용 반영 수준은 생애 설계와 진로 선택 단원이 87개로 가장 많았고, 청소년의 발달 특성 단원이 36개, 저출산·고령사회와 일·가정양립 단원이 31개 순으로 반영되어 있었다. 가정 교과서에 나타난 진로교육 내용으로는 다양한 직업인의 탐색(24.30%)이 가장 많았고, 미래사회의 변화 탐색(22.74%), 직업세계의 변화 탐색(18.66%) 순으로 많이 반영되고 있었다. 연구 결과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가정생활 분야)에 반영된 진로교육의 수준이 높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가정교과연계 진로교육으로의 적용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한국 가정과교육 연구 논문 분석 (Analysis of The Journal of Korean Home Ecomics Education Research)

  • 윤인경;이정규;김성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5-71
    • /
    • 2005
  • 이 연구는 가정과 교육과 관련 논문을 게재하는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와 한국실과교육학회지를 종합하여 가정과 교과교육과 관련된 논문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 교과교육 관련 논문을 분석하여 최근의 가정과 교육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가정학의 발전 방향을 찾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학회지 발행 현황과 게재된 가정교육과 관련된 논문의 분량에서는 실과교육학회지와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와 같이 양이 증가하고 있으나 대한가정학회지에는 그 반대이다. 연구 영역별 분포와 시대별 변천은 교수$\cdot$학습 방법 및 교재 연구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고, 연구 주제 단원이나 영역은 가정교육과 관련된 논문이 주를 이루고 있다. 연구 유형은 대부분이 조사연구로 연구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1 집단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연구 대상자 구성이 다양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규모는 학회지별로 규모에 차이가 맡았으며, 대상 지역은 1개 지역이 절반 이상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자의 구성은 2인 경우는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고, 학교 및 연구기관별 게재 현황은 중$\cdot$고등학교가 가장 맡았다. 연구비 수혜 상황은 대체로 낮았으며, 참고문헌의 종류는 국.내외 모든 논문을 제시한 논문이 가장 많았고, 참고문헌의 수도 학회지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 PDF

뇌기반 교육원리를 적용한 가정과 공감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Empathy Education Program Using Brain-Based Education Principles in Home Economics)

  • 이은진;최새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53-172
    • /
    • 2021
  • 본 연구는 가정과교육에서의 뇌기반 교육원리를 적용한 공감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ADDE(Analysis, Design, Development, Evaluation)의 절차에 따라 공감 및 뇌과학에 관련된 문헌 분석과 2015 개정 기술·가정 교육과정 및 교과서 3종을 분석하여 중학생 대상 가정과 공감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전문가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가정과교육에서의 공감교육을 위한 뇌기반 교육원리는 '모방을 통한 이해', '상상을 통한 추론', '경험을 통한 상호작용', '실천을 통한 내면화'라는 네 가지로 도출된다. 2015 개정 기술·가정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결과, 공감은 가정과의 교과역량인 관계형성능력을 기르는 요소로서 '자신', '타인', '공동체'에서의 관계 차원에서 공감 관련 내용요소들이 다루어졌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전문가 타당도 평가를 분석한 결과 전체 항목의 타당도 평균이 4.88, 타당도 지수(CVI)는 0.98로 프로그램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가정과교육에서의 공감교육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현재 가정과교육에서는 뇌과학을 고려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인데 본 연구는 가정과교육에서의 공감교육을 '뇌과학'과 접목하여 새롭게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중등 가정과 푸드리터러시 함양 식생활교육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교육 요구도 분석 (An Educational Needs Analysis of Home Economics Teachers for Food Literacy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 송윤미;이경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41-59
    • /
    • 2023
  • 본 연구는 가정과 교사의 푸드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식생활교육 요구도 분석하여 푸드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중등 가정과 식생활교육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92명의 가정과 교사를 대상으로 푸드리터러시 교육의 내용 영역과 내용 요소에 대한 중요도와 현재 실행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교육 요구도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푸드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내용 영역과 내용 요소의 우선순위를 파악하였다. 가정과 교사는 제시된 38개 내용 요소 중 34개 내용 요소에 대하여 중요도에 비하여 현재 실행도를 유의적으로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Borich의 교육 요구도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활용하여 교육 요구도가 '매우 높은' 5가지 내용 요소('식량 주권/식량 안보', '식품 관련 쓰레기 저감화', '음식물쓰레기 처리와 재활용', '식품 관련 쓰레기와 분리수거', '원산지 정보')를 도출하였으며, 다음으로 요구도가 '높은' 4가지 내용 요소('유전자 변형 식품', '윤리적 소비', '식품 첨가물', '친환경 농산물')를 확인하였다. 요구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난 내용 요소는 '생산' 영역과 '폐기' 영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나 '생산'과 '폐기' 영역에 대한 교육 요구도 역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가정과 푸드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식생활교육을 위해 식품의 생산과 폐기를 강조하여 다루는 것이 필요하며, 이 외에도 푸드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가정과 식생활교육의 세부 내용 및 콘텐츠 개발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양 및 식품에 대한 지식 습득과 개인 차원의 식품 소비 단계를 중심으로 구성된 기존의 식생활교육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식품의 생산에서부터 폐기까지의 전 과정을 학습할 수 있는 새로운 가정과 식생활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할 수 있다. 또한 중등 가정과 푸드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식생활교육의 기초 연구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가정과 교육에서 지역사회 연계 체험학습의 적용 가능성 탐색 (Exploring the Possibility in Application of Community-Related Experiential Learning to Home Economics Education)

  • 권유진;전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83-98
    • /
    • 2009
  • 이 연구는 이전 연구들을 중심으로 하여 가정교육에 있어서 지역사회 연계 체험학습과 관련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또한 인지적 관심을 향상시키는 것에 목적을 둔다. 가정교육 전문가들은 개인과 가족들과 관련된 지역사회의 요구를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정과 교육과 관련된 지역사회 연계 체험학습에 관한 연구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서는 거의 언급하지 않았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연구문제를 가지고 이전연구들을 분석하여 그 답을 얻고자 노력하였다. 첫째, 지역사회 연계 체험학습의 교육적 의미는 무엇인가? 둘째, 가정과 교육에서 지역사회 연계된 체험학습을 어떻게 개념화할 것인가? 세 번째, 지역사회 연계 체험학습을 가정과 교육에 어떻게 적용시킬 수 있을 것인가? 더불어 이 연구는 지역사회 연계 체험학습을 가정과 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들과 향후 가정교육 연구와 실천을 위한 제언들을 함께 제시하고 있다.

  • PDF

생태전환교육 도입을 위한 가정과 교과서의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 분석 (Analysis of Eco-Citizenship Contents Elements in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the Introduction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 조성미;박미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20
    • /
    • 2023
  • 이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생태전환교육 도입을 위해 2015 개정 가정과교육과정에서 활용하고 있는 중학교 가정과 교과서의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현직 중학교 가정과 교사 6인에게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 분석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S-CVI 값이 0.97로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 분석의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가정과 교과서에서 추출한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 242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5 개정 가정과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영역에 따른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는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에 가장 많았고, '자원 관리와 자립' 영역, '가정생활과 안전' 영역의 순으로 나타났다. 생태시민성 요소의 범주에 따라서는 가치⋅태도, 과정⋅기능, 지식⋅이해 범주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과서 구성 체계별로는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가 그림, 본문, 활동, 보충 자료의 순으로 추출되었고, 출판사에 따라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의 수가 차이가 크게 나타나 교과서 집필진의 인식이나 해석, 집필 방향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이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교과의 생태전환 교육 도입을 위한 생태시민성 교육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생태전환교육이라는 교육과정의 새로운 지향점에 부합하는 생태시민성 교육을 가정교과에서 실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밝히는 동시에 가정교과에서의 생태시민성 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가정교과에서의 저출산.고령사회를 위한 교육과 실천 사례 (Education and Application for low Fertility.Aged Society in Home Economics Education)

  • 전미경;오경선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95-116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저출산 고령사회' 대비를 위하여 가정교과의 역할을 탐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저출산 고령사회 대비 가정교과 교육의 내용요소를 찾고, 정부에서 진행 중인 저출산 고령사회 대비 정책에서 가정교과 교육이 수행할 수 있는 역할과 실천방안을 강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서울 중구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부모와 자녀가 함께 듣는 '가정'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저출산 고령사회 대비하기 위하여 가정교과는 선택으로서의 결혼, 가족생활역량의 강화, 건강한 가족문화 형성, 더불어 사는 이웃의 교육내용이 강조되어야 한다. 둘째, 이러한 교육내용은 '결혼 출산 양육에 대한 사회책임 강화', '일과 가정의 양립 가족친화적 사회문화 조성', '건강하고 보호받는 노후 생활 보장' 등의 새로마지플랜2010 사업과 서울특별시교육청의 저출산 고령사회 시행 계획에 포함된 '가족 친화 및 효문화 함양 교육 강화', '저출산 고형사회 관련 학교교육 강화', '양성평등 사회 조성 가치관 교육 강화' 등의 내용과 일치하였다. 셋째, 서울 중구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부모와 자녀가 함께 듣는 가정 수업"을 실시한 결과 참가자들의 긍정정적 반응을 얻었고, 사회교육 현장에서도 중추적 역할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가정교과는 청소년들의 '저출산 고령사회'에 대한 의식을 함양시키고 이에 대한 가치판단과 자기 주도적 해결 능력을 양성할 수 있으며,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저출산 고령사회 대비 교육이 실천가능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 PDF

가정과교육 관련 박사학위논문 연구동향 (Research Trend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Ph. D. Dissertation)

  • 유인영;배현영;이종희;민은혜;최미선;조재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39-252
    • /
    • 2008
  • 2008년 2월말 현재 국내에서 가정과교육관련 박사학위 논문은 20편이 발표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교육을 발전시키고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지금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가정과교육관련 박사학위 논문의 주제별, 방법별 연구 동향을 분석해 보고 이에 터하여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2008년 4월 한 달간 국립중앙도서관, 국회도서관, 한국교육학술정보연구원, 가정교육전공 박사를 배출할 수 있는 고려대 동국대 서울대 중앙대 한국교원대학교 도서관 등의 홈페이지를 검색해서 나온 논문 중에서 일반적인 가정 내에서의 교육이나 일반 가정학 교과내용을 제외한 가정교육 학위논문 총 20편이다. 가정과교육 관련 박사논문의 연구주제는 가정과교육의 주요개념 및 관점, 가정과 교육과정, 가정과 교수 학습, 가정과 교사역량, 기타 5가지로 분류하였다. 가정과교육 관련 박사논문의 연구방법은 조사연구, 문헌연구, 사례연구, 교육자료 개발, 평가도구 개발, 측정, 적용 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교육관련 박사학위 논문들은 교육과정에 제시된 목표나 성격을 규명하거나 교사의 역량 강화 등 가정과 교육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주제가 많았다. 그 다음은 가정교과의 교육과정이나 교수 학습에 관한 주제가 뒤를 이었다. 둘째, 가정과교육관련 박사학위 논문에서 사용한 연구방법은 연구주제와 관련이 깊었다. 연구방법별 동향에서는 문헌연구와 조사연구가 가장 많았고, 자료개발이나 도구개발, 사례연구 등의 연구방법은 상대적으로 적은 부분을 차지하였다. 셋째, 연도별 경향을 보면 90년대 박사학위 관련 논문이 5편에 불과했으나 2000년 이후 현재까지 15편으로 증가하여 최근에 가정교육 관련 박사학위 논문이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었다. 현재 박사학위 과정을 수료했거나 재학 중인 가정과 교사 수를 감안해 볼 때 가정과교육 박사학위 논문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지금까지 발표된 박사학위 논문을 정리한 이 연구 결과는 앞으로 진행될 학위논문 준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