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온(加溫)

검색결과 284건 처리시간 0.02초

Study on the Growth of a Cucumber and the Soil Temperature used by Warming Water Irrigation System (가온관수 시스템을 이용한 지온변화와 오이의 생육성 연구)

  • 김태욱;김진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0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13-119
    • /
    • 2000
  • 시설재배 농가의 유류비(면세유)는 년간 약 4,300억원에 달하며 전체 시설면적의 약 25%에 해당하는 12.5천 ha정도가 가온을 하고 있다. 최근 유가 상승으로 겨울철 시설재배의 면적은 줄어들 것이며 이로 인한 시설재배의 생산량도 크게 감소되어 수입 증가로 인한 외화의 유출을 예측할 수 있다. 시설재배는 연중 생산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나 생산 기술외적인 요인에 의하여 시설재배가 받는 충격을 줄일 필요가 있다. (중략)

  • PDF

Application of Channel Type Aquaculture System in the Complex farming with Tilapia Reaing and Hydroponics (양어수경복합영농어에의 수로형사육시설의 적용)

  • 김기덕;이병일;이준구;홍상근;홍석우;배용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논문 발표요지
    • /
    • pp.103-106
    • /
    • 1998
  • 식생활패턴의 변화로 수산물에 대한 이용이 급증하여 내수면을 이용한 양식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상수원오염우려가 있어 이의 입지도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틸라피아의 경우 틸라피아 성장에 필요한 여름철 고수온기가 짧아서 노지양식이 불리하기 때문에 온실 등의 가온시설을 이용해야 하므로 저온기에 난방비를 최대한 절감하기 위한 가온시설내에서 고밀도 순환여과식으로 사육되고있다. (중략)

  • PDF

Experimental study on soil heating effects for the improvement of root environment (근권환경 개선을 위한 지중가온 효과의 실험적연구)

  • 장진택;손정익;강금춘;유병기;장유섭;이재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7년도 봄 심포지움 및 학술논문발표요지
    • /
    • pp.112-115
    • /
    • 1997
  • 지온은 작물뿌리의 신장, 양분 및 수분흡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토양 미생물의 활동과 토양내 화학작용에 관여하기 때문에 겨울철 시설재배 토양의 온도관리는 기온 관리 못지 않게 중요하다. 근래에 전열선을 이용한 지중가온으로 풋고추와 수박의 수량을 향상시켰으나 실용화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중략)

  • PDF

Effects of Garlic- and Onion-based Formulae and Merit Blue on Budbreak and Maturity of 'Daebong' Grapes (Vitis labruscana B.) in Forcing Culture (마늘 및 양파 제제(製劑)와 메리트청(靑) 처리(處理)가 가온촉성재배시(加溫促成栽培時) '대봉(大峰)' 포도(葡萄)의 발아(發芽)와 성숙(成熟)에 미치는 영향(影響))

  • Kim, Seon-Kyu;Kim, Seung-Heui
    •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
    • 제17권2호
    • /
    • pp.123-126
    • /
    • 1999
  • Effects of garlic juice (GJ), ethanol- (GJAE) and ethyl ether extract of garlic juice (GJEE), onion juice (OJ) and ethanol extract of onion juice (OJAE), garlic juice+Merit Blue (GJ+MB), ethanol extract of garlic juice+Merit Blue (GJAE+MB), onion juice+Merit Blue (OJ+MB), ethanol extract of onion juice+Merit Blue (OJAE+MB), and Merit Blue (MB) on budbreak, flowering, and maturity of plastic house-grown 'Daebong' grapes (Vitis labruscana B.) were studied. MB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other formulae hastened the budbreak, and double application was more effective than single one. Most of the buds sprouted in early forcing, but percent budbreak in late forcing was very poor except for MB application. In early forcing, single application of MB in combination with other formulae was most effective for hastening flowering while the response to double application was not consistent, and even delayed the flowering except for OJAE, MB, and OJ+MB. In late forcing, single application of all dormancy-breaking agents, especially MB in combination with other formulae, hastened the flowering while flowering response to double application was inconsistent, and even delayed the flowering except for OJAE+MB and OJ.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arvest date among treatments and the number of application in early forcing, single and double application of MB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other formulae, especially double application of OJAE+MB hastened the harvest date for 12 days in late forcing cul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