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열시간

검색결과 1,278건 처리시간 0.026초

토션 바재의 마찰용접에 관한 연구(I) -마찰용접기술의 최적화에 대하여- (Study on Friction Welding of Torsion Bar Material(1) -Optimization of Friction Welding Technique-)

  • 오세규;이종두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01-109
    • /
    • 1990
  • The friction welding has more technical and economic advantages than the other welding processes. As this welding process has the characteristics such as curtailment of production time, materials, cost reduction, etc., it has been widely used in production of various mechanical components which have complex shapes. So, this paper deals with optimizing the friction welding conditions and analyzing various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riction welded joints of torsion bar material SUP9A bar to bar.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quantitative relation between heating time($t_{1}$, sec) and total upset(U, mm)can be obtained. The empirical formula obtained is ; U = 3.29$t_{1}$ + 1.6 2) The tensile strength($\sigma_{t}$, kgf/$mm^{2}$) of friction welding joints as post weld heat treated(PWHT) depends upon heating time($t_{1}$, sec) quantitatively and the empirical formula obtained is ; $\sigma$= -5.1$t_{1}\;^{2}$+44.90$t_{1}$+45.2 3) It is certain that the optimum condition for friction welded joints of SUP9A steel bars of diameter 14.5mm is, considering on various properties such as tensile strength, torsional strength, impact energy and strain of the joints after PWTH ; n = 2000rpm, $P_{1}$=8kgf/$mm^{2}$, $P_{2}$=20kgf/$mm^{2}$, $t_{1}$=4sec, $t_{2}$=3sec 4) The tensile strength, torsional strength and hardness were increased with the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carbon equivalent, but toughness was decreased.

  • PDF

달걀 단백질의 Allergenicity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llergenicity of Egg Protein)

  • 정은자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28-236
    • /
    • 1998
  • 달걀의 Allergenicity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자 물리적 처리, 축합 인산염 처리 및 효소처리를 하여 Guinea pig를 이용한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PCA) inhibition 실험과 Non Proteic Nitrogen(NPN)정량을 통한 가수분해율의 측정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달걀의 allergenicity는 가열에 의해 감소하였으며 가열시간이 길수록 단백질 가수분해율 및 PCA inhibition을 증가 시켰다. Ultraviolet 조사와 Microwave 조사는 단백 가수분해율과 PCA inhibition을 증가 시켜서 allergenicity를 저하시켰으며 ultraviolet이 저해효과가 더 컸으며 부화 달걀은 allergenicity를 감소시키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효소처리는 단백질의 가수분해율 및 PCA inhibition을 증가 시키며 allergenicity를 현저히 감소시켰으며 alcalase의 재해효과가 더 컸다. Polyphosphate의 참가는 단백질의 가수분해는 유도하지 않았으나 PCA inhibition을 증가 시키며 allergenicity를 감소시켰다. Allergenicity를 감소시키기 위한 처리를 한 달걀 gel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은 효소처리 시 표면이 밝게 나타나서 단백질이 분해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neutrase가 alcalase보다 밝게 나타났으나 반응시간의 증가에 따라 모든 효소 표면이 밝게 나타났다. Instron에서 달걀 gel의 경도를 측정한 결과 효소와의 반응시간이 길수록 경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산가수분해시 산의 농도가 탈지대두박의 isoflavone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cid Hydrolysis on Isoflavone of Defatted Soybean Flour)

  • 여경은;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916-918
    • /
    • 2002
  • 산가수분해시 산의 농도가 탈지대두박의 isoflavone 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측정한 isoflavone은 daidzin, genistin 등 glucosides와 daidzein, genistein 등 aglycons이었다. 산가수분해는 탈지대두박 분말에 0.25 N-3.00 N HCl을 가하고 $95^{\circ}C$에서 4시간 가열하였다. 그 결과 총 isoflavone은 0.25 N-1.0 N HCl의 범위에서 가열이 진행되면서 증가하여 2시간 후에는 약 40% 증가함을 보였다. 그러나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현저한 감소가 있어 4시간 후에는 52%의 감소가 있었다. 이 결과는 낮은 HCl 농도에서의 증가는 isoflavone isomer가 isoflavone으로 전환되었음을 보여주고 높은 농도에서의 감소는 isoflavone이 분해됨을 보여주고 있다. 가열 중 각각의 isoflavone의 변화는 전체적으로 glucosides는 감소하고 aglycons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특히 2 N HCl에서의 60분 반응시 daidzin과 genistin, glycitin 등 glucosides는 검출되지 않았다.

젤라틴화 된 모형식품의 조직특성 (Textural Properties of Gelatinized Model Food system)

  • 장규섭;이성구;장동일;윤한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10-316
    • /
    • 1988
  • 식품과 유사하도록 수분, 전분, 단백질을 조합하여 모형식품을 만들고 가열온도와 가열시간을 변하시켜 가며 만든 gel의 texture를 universal testing machine으로 측정, 비교 분석하였다. 모형식품의 hardness, springiness, cohesiveness, gumminess 및 chewiness는 모두 고형분 함량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80^{\circ}C$, 20분 가열한 모형식품의 수분함량과 hardness에 대한 희 귀 식 은 $H(P_0S_4)=18.6405-3.8201M+0.1959M^2,\;H(P_1S_1)=244.7933-5.692M+0.0332M^2,\;H(P_4S_0)=693.0292-16.6884M+0.1005M^2$이였으며 이때의 상관계수는 각각 $0.996^{**},\;0.998^{**}$$0.998^{**}$이였다. 조직특성치와 가열온도 및 시간관의 상관관계는 모형 식품에 따라 달랐으며 단백질 식품에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고 특성치간의 상관관계는 비례적이나 전분질 식품의 hardness와 cohesiveness는 반비례적이였다. 저고형분 함량에서는 일정수준의 함량이 넘어서면서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순단백질 젤이 전분 제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다. $80^{\circ}C$, 20분간 가열한 모형식품의 harness와 단백질 함량과의 희귀식은 Hardness(고형분 20%)=5.6856-13.5670P+$9.7758P^2$이며 이때의 상관계수는 $0.95^{**}$였다.

  • PDF

급속냉각·가열장치에 따른 사출성형품의 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arpage of Injection Molded Parts for the rapid Cooling and Heating Device)

  • 이민;김태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074-5081
    • /
    • 2015
  • 플라스틱 제품의 휨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은 사출성형 공정에서 일어나는 불균일한 냉각을 균일하게 만들어 플라스틱 제품의 잔류응력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는 균일한 냉각을 위하여 펠티에 소자를 사용하여 급속가열 냉각 장치를 개발하였다. 급속냉각 가열 장치(RCHD)를 제작하여 전통적인 수냉 장치(TWCD)방식과 급속냉각 가열 장치방식에 따른 휨을 비교 분석하였고, 비결정성 수지인 ABS 수지를 사용하였다. 사출성형 조건인 보압시간, 금형온도, 냉각시간, 보압에 따라 휨의 변화량을 측정 비교하였고, 비결정성 ABS 수지에서 급속가열 냉각 장치 냉각방식이 전통적인 수냉방식 보다 휨이 더 적게 발생하고, 위의 결과들로 보아 조금 더 균일하게 냉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 폴리머의 분포 상태를 SEM 사진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전통적인 수냉방식은 폴리머의 분포상태가 조밀하게 분포되어 있고, 급속냉각 가열 방식은 전통적인 수냉방식 보다 넓게 분포되어 있었다. 이것은 냉각이 균일하게 이루어지고, 금형의 온도가 서서히 진행되면서 폴리머의 입자가 커지게 되는데, 이것은 내부응력이 줄어든 것을 의미한다.

대두의 동결처리에 의한 두부의 텍스쳐 특성의 증진 (Improvement on Textural Properties of Soybean Curd by Freeze Denaturation of Soybeans)

  • 백상호;김명곤;윤세억;주현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67-272
    • /
    • 1996
  • 동결이 대두의 익힘속도를 촉진하고 맛을 증진시켰던 사실로부터, 동결이 대표적 대두가공품인 두부의 가공공정과 품질에 어떠한 영향을 이치는 지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동결 대두로 제조한 두부는 비동결 대두로 제조한 두부보다 견고성, 껌성, 씹힘성이 각각 3배 정도 높았으며, 응집성과 탄성은 비슷하였다. 관능특성에 있어서도 동결은 두부의 맛과 풍미를 증진시켰다. 또한 대두 곤죽의 가열시 간을 단축(5분${\longrightarrow}$-2.5분) 하였을 경우 비동결 대두로 제조한 두부는 텍스쳐 특성이 열약하였으나 동결 대두로 제조한 두부는 가열시간에 관계없이 우수하였다 대두의 동결은 두부제조시 대두단백질의 가열변성을 용이하게 해주며, 대두단백질간의 응집체 형성과 응집체의 $Ca^{++}$과의 가교형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두부중의 조단백질 함량은 동결여부, 가열시간에 관계없이 거의 동일하였으나 지방질 함량은 동결구에서 낮았으며 수율에 있어서도 동결구에서 낮았다. 이와같이 동결구의 지방질 함량과 수율이 낮은 것은 동결구에서는 지방질이 whey중으로 보다 많이 유출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 PDF

가열온도에 따른 당용액의 카라멜 생성물의 Polyphenol Oxidase에 대한 저해효과 (Inhibition Effects of Caramelization Products from Sugar Solutions Subjected to Different Temperature on Polyphenol Oxidase)

  • 이귀주;안선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041-1046
    • /
    • 2001
  • Fructose, glucose, sucrose 용액에 촉매를 가하지 않고 15$0^{\circ}C$, 17$0^{\circ}C$, 20$0^{\circ}C$에서 각각 가열하고 반응에 따른 카라멜 수용액의 색소형성, pH의 변화, 환원성 및 PPO에 대한 저해효과를 측정하고 이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기 카라멜화 생성물 및 갈색색소의 형성은 가열온도가 높고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증가하였으며, 세 당들 간에는 fructose>sucrose>glucose 카라멜 수용액 순서로 증가하였으며 (p<0.005) 반면에 pH는 감소하였다. 특히 20$0^{\circ}C$에서 가열한 당용액들은 pH 3.32~3.50 범위를 나타내었다. 카라멜 수용액의 환원성 및 PPO에 대한 그들의 저해효과는 가열 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서 각각 증가하였으며, 15$0^{\circ}C$와 17$0^{\circ}C$에서는 fructose>sucrose>glucose 카라멜 수용액 순서로 증가하였다(P<0.001). 그러나 20$0^{\circ}C$에서는 초기 단계에서는 fructose의 환원성이 가장 높았으나 후반부에서는 sucrose의 환원성이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형성된 CP의 차이에 기인된 것이라 생각된다. 카라멜 용액의 환원성은 reductones 화합물의 형성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또한 20$0^{\circ}C$에서 60분 가열한 sucrose 카라멜 수용액이 PPO활성을 34.6% 감소시켜 저해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로부터 카라멜 수용액의 PPO에 대한 저해효과는 카라멜 수용액의 환원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 PDF

핫스템핑 공정에서 가열온도 및 유지시간을 고려한 22MnB5의 단일겹치기 저항 점용접 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Resistance Spot Weld Condition for Single Lap Joint of Hot Stamped 22MnB5 by Taking Heating Temperature and Heating Time into Consideration)

  • 최홍석;김병민;박근환;임우승;이선봉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4권10호
    • /
    • pp.1367-137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핫스템핑 소재로 사용되는 보론합금강판 22MnB5의 단일 겹치기 점용접에서 용접부의 강도 향상을 위한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최적화 과정은 다구찌 실험계획법에 의해 행해졌으며 공정변수는 전류, 가압력 및 통전시간으로 선정하였고, 잡음인자로서 핫스템핑 시 소재의 가열온도와 유지시간을 고려하였다. 가열조건에 따라 22MnB5 표면의 알루미늄 도금층과 모재 간의 확산반응에 의해 화합물층 두께에 산포가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산포는 너겟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용접부의 인장전단강도를 목적함수로 하였을 때, 이러한 가열조건에 강건한 최적의 용접 조건은 전류 8kA, 가압력 4kN, 통전시간 18cycle로 선정되었다. 최적 조건의 검증 결과 용접부의 인장전단강도 는 32kN으로서 요구되는 규격인 23kN보다 크게 증가되었다.

Colloidal Gas Aphrons의 제조와 안정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reparation of Colloidal Gas Aphrons and Stability)

  • 윤미해;조대철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70-677
    • /
    • 2007
  • 비이온성 및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제조한 CGA(cllodial gas aphron)의 안정성을 고찰하였다. 실험에서 이용한 계면활성제는 SDS(Sigma-Aldrich, Co.), Triton X-100, Tween 80, Quillaja Saponin이다. CGA발생장치를 이용하여 단일 성분의 계면활성제 및 혼합 계면활성제에 의한 CGA를 제조하였고, 농도, 온도, 시간에 따른 CGA의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단일 성분 CGA의 경우, Saponin이 143분의 지속시간을 보여 가장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었고 Triton X-100, SDS, Tween 80순으로 안정성이 높았다(상온). CGA제조시 계면활성제 용액을 $70^{\circ}C$로 가열한 경우, SDS가 가장 높은 안정성을 보였으며(116분) Saponin은 상온에 비해 안정성이 낮아졌다. (105분). 혼합 계면활성제일 경우, 두 계면활성제의 중간 수준의 안정성을 보였으며, SDS+Saponin 조합이 139분으로 가장 안정성이 컸다. 가열한 혼합 계면활성제에서는 Saponin+Triton X-100 조합이 가장 안정성이 낮아 53분에 불과했다. CGA는 초기 평균 입경이 약 140 ${\mu}m$ 였다가 융합이 일어나면 그 크기가 약 190 ${\mu}m$로 상승하고 이후 붕괴하는 양상을 띠었다. 가열하여 제조한 CGA에서는, Saponin이 포함된 경우 상온에 비해 그 크기가 감소하였으며, 타 계면활성제에서는 일반적으로 그 크기가 증가하였다. 요약하면 CGA는 가열 했을 때 보다는 상온일때, 분자간 상호작용이 크게 작용하는 혼합 계면활성제보다 단일 계면활성제일 경우, CGA 지속시간이 길어져 안정성이 높아졌다.

말쥐치육 단백질의 효소적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Plastein의 합성 및 그 물성 , 3. Plastein의 기능성 (Synthesis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Plastein from the Enzymatic Hydrolysates of Filefish Protein. 3. Functional Properties of Plasteins)

  • 김세권;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82-590
    • /
    • 1987
  • 말쥐치육 단백질의 가수분해물로 합성한 plastein을 식품단백질원으로서 고도이용 가능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그의 기능성을 FPC 및 egg albumin과 비교 검토하였으며, 아울러 SEM에 의한 plastein 형상도 관찰하였다. 용해도는 plastein이 FPC 보다 용해도가 월등히 높았고, Glu-papain plastein은 pH변화에 관계없이 용해도가 $95\%$이상으로 높았으나 Leu-papain plastein의 용해도는 매우 낮았다. 가열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FPC는 용해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Glu-papain plastein은 가열시간에 관계없이 용해도가 $81\%$이상이었다. 분산성은 Glu-papain plastein과 protease plastein이 egg albumin의 그것과 비슷하였으나 ekfms plastein은 다소 분산성이 낮았다. 보수력은 FPC가 egg albumin보다 낮았으며, 지방흡수력은 Leu-papain plastein이 1.88ml/g으로 가장 높았고, 다른 plastein은 egg albumin의 그것과 비슷하였다. 유화성은 Leu-papain plastein이 $61.2\%$로 가장 높았으나 Glu-papain plastein은 $50.7\%$로 가장 낮았다. 유화안정성도 이와 같은 경향이었다. 포말성은 Leu-papain plastein과 Glu-papain plastein이 각각 $373\%,\;360\%$로 egg albumin의 $130\%$ 보다 우수하였다. 포말안정성은 모든 plastein이 50시간 이후에 소실되어 egg albumin의 36시간에 비해 높았다. 점도는 모든 plastein이 egg albumin에 비해 낮았다. SEM을 통해 본 plastein의 형상은 처리한 효소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으며, Glu-papain plastein과 Leu-papain plastein은 다른 plastein에 비해 특이한 부드러운 형상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