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스탈황설비

Search Result 4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배연탈황설비

  • 권정순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29 no.3
    • /
    • pp.47-50
    • /
    • 2000
  • 화력발전소 Boiler의 배기가스 중 환경유해성분인 황(SO$_2$) 성분을 제거하는 배연탈황설비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Prediction of Cleaning Time of Desulfurization Absorber in a Oil-Fired Power Plant through the Operation Data (중유화력발전소의 운전자료를 이용한 탈황 흡수탑의 세정시기 예측)

  • Jang, Yeong-Gi;Lee, Jae-Heon
    • Plant Journal
    • /
    • v.11 no.4
    • /
    • pp.38-46
    • /
    • 2015
  • 중유를 연소하는 D 발전소 탈황설비는 운전시간의 경과에 따라 흡수탑 중간층에 석고가 쌓이고 가스분사 파이프 내에 경질석고 스케일이 부착됨으로써 발전설비 및 탈황설비의 정상적인 운전이 어렵게 된다. 흡수탑 내부에 발생된 스케일을 제거하지 않을 경우에는 탈황효율의 저하에 따른 SO2 배출농도의 증가로 발전가능 최대출력의 하향조정이 발생되고 나아가 발전정지를 초래한다. 스케일 제거를 위한 탈황설비 세정은 발전가능 최대출력의 하향조정이 발생하는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탈황설비의 운전 자료를 분석하여 발전가능 최대출력의 하향조정이 발생되기 6주 전은 탈황설비 출구 SO2 농도값이 130ppm을 초과하고 동시에 흡수탑 차압은 380mmH2O을 초과하며, 직전 흡수탑 세정 이후 44주가 경과된 시점이 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흡수탑의 세정시기는 세정준비기간 6주와 발전가능 최대출력 하향이 발생되기 6주 전까지의 운전경과일수 44주를 더하여 직전 세정시점으로부터 50주가 경과된 시점임을 예측하였다.

  • PDF

석탄가스화 합성가스 제조공정 및 발전시스템 기술개발

  • Yun, Yong-Seu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436-445
    • /
    • 2005
  • 석탄가스화는 화석연료인 석탄을 기존의 공해물질 발생을 90% 이상 줄이면서 고효율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3톤/일급 pilot급 석탄가스화 설비에서 생산된 CO와 수소가 주성분인 합성가스를 소형 LPG 엔진과 중형 천연가스 엔진에 연계시켜 발전시스템을 구성하였으며 전기생산까지 구현하였다. 합성가스의 고온 집진과 탈황을 자체기술로 구현하여 합성가스내 $H_2S$와 COS 성분들을 1 ppm 이하 정제와 99% 이상의 고온집진 효율을 확인하였다. 선진국들의 설비 규모에 비해서는 극히 열세인 국내 현황이지만, 고온고압의 석탄가스화로부터 탈황과 집진, 전기 생산까지 전 과정을 pilot 설비규모에서 실증하는 성과를 얻었으며 향후 전체 시스템의 최적화와 연속운전 기술의 개발로 이어진다면 중소형 석탄가스화 부분에서는 선진국과 차별화된 틈새시장 실용화 기술의 확보가 가능할 것이다.

  • PDF

Numerical Analysis of the Energy-Saving Tray Absorber of Flue-Gas Desulfurization Systems (배연탈황설비의 에너지 절약형 트레이 흡수탑에 대한 수치 해석적 연구)

  • Hwang, Jae-Min;Choi, Ssang-Suk;Chung, Jin-Taek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4 no.8
    • /
    • pp.775-782
    • /
    • 2010
  • This study is performed to study the effect of the tray in the absorber of a flue-gas desulphurization (FGD) system by using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 (CFD) technique. Stagnant time of slurry and the pressure drop in the FGD absorber increase when a tray is used in the absorber. Stagnant time of slurry results in an increase in the desulfurization effect and a decrease in the power of the absorber recirculation pump; however, increased pressure drop requires more power of booster fan in the FGD system should be increased. The gas and slurry hydrodynamics inside the absorber is simulated using a commercial CFD code. The continuous gas phase has been modeled in an Eulerian framework, while the discrete liquid phase has been modeled by adopting a Lagrangian approach by tracking a large number of particles through the computational domain. It was observed that the power saved upon increasing the stagnant time of slurry was more than increased power with pressure drop.

Computational Fluid Dynamic Analysis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Desulfurization System for the Wet Flue Gas (습식 배연탈황 시스템의 효율 향상을 위한 전산해석)

  • Hwang, Woo-Hyeon;Lee, Kyung-O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9 no.2
    • /
    • pp.161-171
    • /
    • 2014
  • In this paper the flow dynamics of the flue gas equipment in the desulfurization system was numerically analyzed by simulating the problems for the turbulent and combustion flow from Induced Draft Fan(I.D.Fan) outlet to Booster Up Fan(B.U.Fan) inlet using the commercial CFD software of CFD-ACE+ in CFDRC company for Computational Fluid Dynamic Analysis. The guide vane of this section was examined for the minimum pressure loss and the uniform flow dynamic to B.U.Fan with the proper velocity from I.D,Fan exit to B,U,Fan inlet section at the boiler both the maximum continuous rating and the design base. The guide vanes at I,D.Fan outlet and B.U.Fan inlet were removed and modified by numerical simulation of the CFD analysis. The flue gas at the system had the less pressure loss and the uniform flow dynamics of the flow velocity and flow line by comparing with the old design equipment.

Enhancement of Desulfurization System Efficiency in 1,000 MW Coal-Fired Power Plants (1,000 MW 석탄화력발전소 대기환경오염물질 제거효율 향상을 위한 탈황설비 성능개선)

  • Lee, Young-Su;Moon, Seung-Jae
    • Plant Journal
    • /
    • v.17 no.2
    • /
    • pp.32-41
    • /
    • 2021
  • Recently, air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fine dust have rapidly emerged as national issues, and intensive environmental regulations are being applied to coal-fired power plants. This study introduces the case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desulfurization facilities for removing sulfur oxides and dust, which are the main air pollutant emitters of coal-fired power plants, and conducted four case studie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1,000 MW power plants currently in operation and carried out construction. Liquid ratio was increased by remodeling the absorption tower of desulfurization facilities, and vaporization reaction was promoted by increasing the flow rate of oxidized air. In addition, the gas heater leakage rate was improv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final desulfurization facilities. It is expected that performance improvement work considering harmony with existing facilities will satisfy the regulations(25ppm of sulfur oxides, 5mg/Sm3) that will be applied from 2023, and can be referred to other thermal power plants for review and application.

CFD를 이용한 흡수탑 내 유동 균일효과 연구

  • 이춘만;이호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106-106
    • /
    • 2004
  • 보일러에서 연소된 후 배출된 가스는 탈황목적으로 설치된 흡수탑 내에 유입되어 Slurry Spray Nozzle에서 분사된 Limestone Slurry에 의해 배기가스중의 SO$_2$를 흡수한 다음 반응조로 떨어지게 되지만 분사된 액적의 일부는 배기가스의 압력에 의하여 같은 유동 방향으로 미세한 Mist의 형태로 배기가스와 함께 흡수탑의 Outlet Duct를 통해 빠져나간다. 이 Mist(액적크기 40 $\mu\textrm{m}$이하)에는 고형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데 보통 Chloride농도가 높아 탈황설비 후단 (duct, GGH, Stack)에 plugging, 부식 등의 문제를 유발하므로 Spray Header상부에서 Mist Eliminator를 설치하여 Mist를 제거하도록 한다.(중략)

  • PDF

Desulfurization of hot syngas using zinc oxide sorbent (산화아연을 이용한 고온 탈황 실험)

  • Jung, Kijin;Yoo, Youngdon;Kim, Narang;Kim, Mun-Hyeon;Kim, Jeongheon;Kim, Byunghwa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11a
    • /
    • pp.177.2-177.2
    • /
    • 2011
  • 폐기물 합성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 중 황화합물($H_2S$, COS)이 존재할 경우, 다른 연계 공정을 구성하는 설비의 부식, 합성가스 이용 공정의 촉매 피독 문제, 대기 배출시 환경오염 문제 등을 야기 시키므로 제거가 필요하다. 고온 정제 공정을 적용하여 황화합물을 제거하기위해 산화아연을 이용한 고온 탈황 실험을 수행하였다. 고정층 반응기에 탈황제로 선정한 산화아연을 충진하고, 공간속도 $3,000h^{-1}$, 입구 황화합물의 농도 $H_2S$ 1,000ppm, COS 300ppm일 때 반응 온도 변화에 따른 탈황특성을 살펴보았다. 가스 내부에 $H_2S$가 단독으로 존재할 경우에는 $400^{\circ}C$ 이상에서 모두 제거되었으나, $H_2S$와 COS가 동시에 존재할 경우에는 $450^{\circ}C$ 이상에서 모두 제거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응온도 $500^{\circ}C$에서 산화아연 탈황제를 이용한 실험결과 $H_2S$, COS의 파과시간은 각각 1,217, 1,063 min, 흡착능력은 269.9 mg-$H_2S$/g-sorbent, 124.7 mg-COS/g-sorbent으로 파악되었다.

  • PDF

Flow Analysis and Pressure Loss Calculation in the Ducts of FGD System (탈황설비 배관내 유동장 해석 및 압력손실 계산)

  • 고성모;이진욱;황금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8.05a
    • /
    • pp.21-25
    • /
    • 1998
  • 탈황설비 배관내 연소가스의 삼차원 유동장에 대한 전산해석을 수행하였다. 복잡한 형상으로 주어진 배관내의 유동장 특성을 관찰하고 압력손실을 계산하였다. 특히 안개깃의 설치유무에 따른 유동장 특성 변화 및 압력손실 감소효과를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안내깃의 설치에 따라 유량배분이 적절하게 되고 압력손실이 현저하게 줄어듬을 알 수 있었다. 배관에서의 압력손실을 계산하여 배관설계 및 송풍기 용량 산정의 적절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Evaluation of the Organic Linings at Gas Desulfurization System (탈황 설비용 유기 라이너의 평가)

  • Song, Yo-Seung;Kwan, Hyun-Ok;Jho, Nam-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29 no.11
    • /
    • pp.1178-1182
    • /
    • 2012
  • The organic linings at flue gas desulfurization systems (FGD system) in power plant have the excellent chemical properties but, lose the anticorrosive properties according to the aging with environment conditions. The properties of the organic linings depend on the manufacturing company. Therefore, the basic properties of organic linings for the preestimate of life time should be examined by conducting the aging and the bond strength test according to temperature. The pre-aging samples were compared with the post-aging samples. The temperature conditions of the aging process were 70, 150 and $200^{\circ}C$. The bond strength was calculated and the cross sections of fracture surface were examined by optical microscope and SEM. The $T_g$ was examined by DSC, DTA and TG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