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숭어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5초

우리나라 숭어과 어류의 어명 및 자원 활용에 대한 고찰 (Review of Fish Name on the Fishes of the Family Mugilidae in Korea and Resource Utilization)

  • 고은영;박종오;이경선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96-105
    • /
    • 2019
  • 숭어과 어류는 연안에서부터 담수역까지 서식하고 있는 대표적인 광염성 어류이다. 이들의 형태적인 유사성 때문에 분류학적인 면에서나 명명법에 있어 많은 논란이 있다. 숭어과 어류 중 국내에서 주로 소비되고 있는 어종은 숭어(Mugil cephalus)와 가숭어(Chelon haematocheilus)로, 일반적으로 숭어와 가숭어를 구별하지 않고 숭어라 불리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학술적인 자료 및 옛 문헌을 조사하여 국내에서 혼용되고 있는 숭어류의 학명 및 어명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하였다. 숭어의 학명은 M. cephalus로 사용되고 있지만, 가숭어는 Chelon, Mugil, Liza 속명이 혼용되고 있다. 숭어류의 어명에 대해 국내사전에는 숭어와 가숭어를 구별하지 않고 있으나, 일어, 영어, 중국어사전에서는 숭어와 가숭어가 명확히 구분되어 있었다. 옛 문헌에서는 숭어류를 '치어' 또는 '수어'라 이르고 있다. 대부분의 문헌에서는 숭어와 가숭어의 구분이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자산어보에서는 가숭어를 치어(참치어)로, 숭어를 가치어로 기록하고 있어 '가(假)'자의 붙임이 현재와 달리 사용되고 있었다. 가숭어는 양식되고 있는 종으로 앞으로 산업적인 활용이 모색되고 있는 단계에서, '가'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고려하였을 때 가숭어라는 어명 대신에 '참숭어'로의 어명 변경을 제안한다.

한강 하구역 가숭어 (Chelon haematocheilus)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Redlip Mullet (Chelon haematocheilus) in the Han River Estuary, Korea)

  • 김민규;최건식;신문경;김병표;한경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3-141
    • /
    • 2015
  • 본 연구는 한강 하구역 가숭어 자원생태의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2013년 6월부터 2014년 5월까지 총 12개월 동안 한강 하구역에서 어획된 가숭어를 구입하여 연령사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가숭어의 주 산란시기는 5월로 추정하였고, 윤문은 1월 (연 1회)에 형성하였다. 체장과 체중의 관계식은 $TW=0.0124SL^{3.0133}$($r^2=0.9931$)였다. 가숭어의 매개변수는 이론적 최대 체장 ($L_{\infty}$)은 61.3 cm, 성장계수 (K)는 가숭어 전체 $0.29yr^{-1}$, 체장이 0일 때 이론적 연령 ($t_0$)은 - 0.05 yr로 추정하였다. 해역별 가숭어의 성장을 비교해 본 결과, 가숭어는 하구역에서 주로 성육을 하며, 연령과 성장매개변수를 제공함으로써 추후 가숭어 자원생태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가숭어, Chelon lauvergnii 종묘생산

  • 강희웅;박인석;이원호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81-282
    • /
    • 2001
  • 본 연구는 현재까지 국내에서 가숭어, Chelon lauvergnii의 성숙 및 인공 종묘 생산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 보고는 매우 미흡한 실정임을 고려, 가숭어의 효과적인 인공 종묘 생산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산란기 특성 조사 및 부화 자어에 대한 rotifer, Artefnia, 배합사료 공급에 따른 성장과 생존을 조사하였다. 또한 rotifer와 brine shrimp, Artemia nauplius를 오징어 간유, 식물성 플랑크톤 건조 분말인 Maxima$^{TR}$ , Chlorella sp.로 각각 영양 강화한 후 치어에 공급시 자어의 성장과 생존에 대한 그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아울러 밀도별 사육 실험을 통한 적정 밀도를 규명하여 가숭어 종묘 생산시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기술을 개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중략)

  • PDF

한국산 Chelon속 (Pisces, Mugilidae) 어류의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 Revision of the genus Chelon (Pisces, Mugilidae) from Korea)

  • 김용억;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50-259
    • /
    • 1998
  • 본 연구는 한국 전 연안에 서식하는 등줄숭어 및 가숭어의 정확한 분류학적 위치를 알고자 그들의 외부형태를 비교 연구하였다. 등줄숭어는 주로 남부 연안에만 출현하며, 몸의 동쪽 정중선을 따라 융기연을 형성하는 특징을 가지는 반면에, 가숭어는 전 연안에서 출현하며 머리가 심하게 종편되어 두 종의 식별이 용이하다. 가숭어를 5집단으로 나누어 계측형질을 비교한 결과 대부분 집단 간에 잘 일치하였지만 군산집단만이 뒷지느러미 높이와 꼬리자루길이에서 다소 차이를 나타내었다. 등줄숭어와 가숭어는 계수형질에서 대부분 중복되어 계수형질에 의한 동정은 어렵지만, 유문수와 체측종렬린수에서 구분된다.

  • PDF

한국산 숭어과 어류의 분류 (Synopsis of Family Mugilidae (Perciformes) from Korea)

  • 이충열;주동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14-824
    • /
    • 1994
  • 1990년 7월부터 1994년 7월까지 우리나라의 연안에 서식하고 있는 숭어과 어류의 분류학적 위치와 이들의 특징을 재검토하였다. 그 결과 숭어 Mugil cephalus, 가숭어 Liza haematocheilus, 등줄숭어 Liza carinatus. 등 2속 3종으로 분류되었고 지금까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된 알숭어 Mugil japonicus는 Mugil cephalus와 동일종으로 확인되어 Mugil cephalus의 synonym으로 정리하였다. 이들 어류의 속간 중요 분류학적인 형질로서는 뒷지느러미의 연조수, 상악골의 후단 길이와 형태, 설골의 형태 안전골의 형태 상악치의 형태 등에서 잘 구분되었고, 종간 분류학적인 형질로서는 위의 형태, 유문수, 종열 비늘수, 이석의 형태, 체형, 새파수, 전상악의 각도 등에서 독특하게 나타났다. 이들의 서식 지역은 Mugil cephalus와 Liza haematocheilus는 거의 같이 출현하며 우리나라의 전 연안에 서식하고 있으며, Liza carinatus는 남해에서만 출현하고 있었다.

  • PDF

가숭어, Chelon lauvergnii 종묘생산 (Production of Mullet (Chelon lauvergnii) Seedlings)

  • 강희웅;박인석;이원호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97-206
    • /
    • 2000
  • 가숭어, Chelon lauvergnii의 효율적인 인공종묘생산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자어를 대상으로 부화후 70일까지 국립수산진흥원 보령수산종묘시험장에서 일련의 실험들을 수행하였다. 보령수산종묘시험장 인근해에서의 가숭어 산란시기는 5월부터 6월까지로 추정되었다 3가지 먹이공급 계열 (즉, rotifer, Artemia nauplius 및 배합사료공급)을 적용한 실험군의 성장과 생존은 다른 2가지 먹이공급 계열군의 성장과 생존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P<0.05). Maxima$^{TR}$ 로 영양강화한 rotifer로 먹이공급군, 그리고 오징어 간유로 영양강화한 Artemia nauplius로 먹이공급군의 생존율은 유의하게 높았다 (P <0.05). 단위 사육수량 200 l 당 100~600마리를 기준으로 밀도 실험 결과 200 l 사육수당 100마리 자어 밀도군이 가장 높은 성장을 보였으며 (P<0.05),모든 밀도 실험군은 97~98%의 생존율을 보여 차이가 없었다 (P<0.05).

  • PDF

영암호 갑문식어도를 통한 어류의 회유 (The Fish Migration through Fishlock at Youngam Lake)

  • 황종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5호
    • /
    • pp.561-568
    • /
    • 2000
  • 1999년 4월부터 11월까지 전남 영암의 영암호 갑문식어도에서 매주 1회씩 어도로 들어오는어류를 채집한 결과 25종 116,014개체를 채집하였으며, 이중 웅어, 줄공치, 숭어 등 10종이 하천과 바다를 오가며 서식하는 회유성어류로 전채개체수의 99.5%를 차지하였다. 회유성어류중 개체수로는 줄공치, 빙어, 웅어 숭어의 순으로 많이 채집되고 이들 4종이 전 채집 개체수의 99%에 해당하고 나머지 6종은 매우 드물게 채집되었다. 빙어는 63%가 7월 20일, 숭어는 43%가 7월 15일, 웅어는 42%가 5월 10일, 줄공치는 35%가 5월1일에 채집되어 어종별로 뚜렷한 회유시기가 있었다. 회유성 어류중 담수호에서는 웅어, 빙어, 숭어, 문절망둑 등 7종이 채집되고 유입하천에서는 은어, 빙어, 뱀장어 등 10종이 채집되어 어도를 통하여 소상한 회유성 어류가 담수호를 통하여 하천으로 올라가는 것이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