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상 작업환경

Search Result 33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on the Gesture Based Virtual Object Manipulation Method in Multi-Mixed Reality

  • Park, Sung-Ju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6 no.2
    • /
    • pp.125-132
    • /
    • 2021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an environment for collaboration in mixed reality and a method for working with wearable IoT devices. Mixed reality is a mixed form of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We can view objects in the real and virtual world at the same time. And unlike VR, MR HMD does not occur the motion sickness. It is using a wireless and attracting attention as a technology to be applied in industrial fields. Myo wearable device is a device that enables arm rotation tracking and hand gesture recognition by using a triaxial sensor, an EMG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Although various studies related to MR are being progressed, discussions on developing an environment in which multiple people can participate in mixed reality and manipulating virtual objects with their own hands are insufficient.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constructing an environment where collaboration is possible and an interaction method for smooth interaction in order to apply mixed reality in real industrial fields. As a result, two people could participate in the mixed reality environment at the same time to share a unified object for the object, and created an environment where each person could interact with the Myo wearable interface equipment.

Role of Viewing Parameters in Minimizing Depth Perception Problem (조망변수 조율을 통한 3 차원 상호작용에서의 깊이 지각 문제 분석)

  • Lee, Dong-Wook;Park, Jin-Ah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608-612
    • /
    • 2006
  • 3 차원 공간상에서의 상호작용이란 특정 공간내의 오브젝트를 그 위치와 좌표축에 따라 조작하는 행위를 말한다. 이러한 3 차원 공간상의 상호작용을 행할 때 발생하는 가장 큰 문제중의 하나는 사용자가 현재 조작하고 있는 커서 또는 포인터의 깊이적 위치를 알기 힘들다는 점이며 흔히 깊이 지각문제(Depth Perception Problem)으로 불리 운다. 본 논문은 깊이 지각문제를 발생시키는 기본적인 요소중의 하나를 가상환경을 표현하기 위해 인공적으로 생성된 조망 절두체라고 고려하고 이에 대해서 논의한다. 이를 위하여 3 차원 입력 장치(SensAble PHANToM(R) OmniTM)를 이용한 간단한 위치지정 작업을 다양한 FOV(Field of View)와 VD(Viewing Direction)의 환경에서 피실험자들에게 수행하게 하였다. 결과적으로, 작업환경내의 FOV 변화는 작업수행의 정확도에 영향을 끼쳤으며, VD 의 경우, 사용자가 실제로 작업환경을 보는 것과 유사한 VD 환경이 효율성의 측면에서 보다 더 높은 작업수행 결과를 보였다.

  • PDF

IFX : FEM/CFD visualization system for Desktop-Immersive environment collaborative work (IFX : 데스크탑 - 몰입 환경 간 협업을 위한 FEM/CFD 가시화 시스템)

  • Yun, Hyun-Joo;Wundrak, Stefan;Jo, Hyun-Jei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661-666
    • /
    • 2007
  • 최근들어 제품을 개발하는 과정 중, 디자이너와 개발자, 의사 결정권자들이 FEM, CFD 시뮬레이션 결과를 리뷰할 때에 가상현실기술을 도입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몰입감을 높여주는 가상현실환경은 모델에 대한 해석 결과물을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돕는다. 데이터의 실제 크기와 같게 혹은 그보다 더 크고 자세한 이미지를 제공하는 가상현실 몰입환경은 사용자가 데스크탑 환경만을 사용할 때 경험할 수 없는 높은 사실감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만족감을 줄 수 있다. 하지만 데스크탑 환경에 비해 해상도가 낮고, 어두운 곳에서 스테레오 안경이나 HMD(Head Mounted Display), Data glove등을 착용해야 하는 불편함과 멀미, 시각적인 피로, 방향감각 상실로 대표되는 가상멀미 등으로 인해 장시간 사용에 어려움이 있다. 데스트탑 환경에서의 데이터 리뷰는 고해상도 이미지 분석은 가능하지만, 입체감이 떨어지기 때문에 리뷰 데이터의 실제감이 떨어진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데스크탑 환경과 가상현실 환경 간의 협업이 가능한 FEM/CFD 가시화 시스템을 제시한다. 본 시스템은 가상현실 몰입환경에서 해석 데이터를 단순히 가시화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데스크탑 시스템과 동일한 3D 인터페이스 구조를 제공한다. 따라서, 해석 결과 분석을 위한 동일한 post-processing 작업이 네트워크로 연결된 원격 공간의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시스템들 사이에서 실시간으로 진행될 수 있다.

  • PDF

A Virtual 3D Interface System for the Remote Control of Robot Agent (로봇 에이전트의 원격 제어를 위한 가상 3D 인터페이스 시스템)

  • 안현식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2 no.4
    • /
    • pp.85-90
    • /
    • 2001
  • Recently there are lots of concerning on robot agent system working for itself with the trends of the research of bio-mimetic system and intellig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humanized interface system from communicating with the robot agent. In this paper a virtual 3D interface system is proposed based on Internet for remote controlling and monitoring of robot agent. The proposed system is constructed as manager-agent model and a man can order a job at the 3D virtual interface environment of the manager located remotely Then the robot agent detects a 3D profile data from a range finder automatically and the robot moves the object to the new position in real space. The proposed system supports a advanced interface displaying virtual 3D graphics and real moving images and which makes it possible one to manage the robot agent more conveniently.

  • PDF

A Study on Ergonomic Design for Cargo-working Crane Control Room (제품하역기 운전실의 인간공학적 설계에 관한 연구)

  • 송도의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87-91
    • /
    • 2003
  • 포항제철소는 제품의 선적 및 하역업무를 위래 13기의 하역기를 운영 중에 있다. 제품하역기의 운전실태는 1명의 작업자가 탑승하여 제품이 놓여질 선박 내 location을 관리한다. 특히, 중량물을 다루는 만큼 안전사고 방지를 위산 고도의 주의를 요하는 작업이다. 그러나 운전실의 위치가 지상 $13\~24m$에 위치해 있어, 하방 관측을 위해 장시간 머리를 구부려야 하므로 작업피로는 물론 요통 발생 가능성이 높다. 또한, 13기 하역기의 제작사 및 제작 시기에 차이가 있어, User Interfare가 각기 다르다. 주기적으로 하역기를 바꿔 탑승하는 작업자로서는 오조작 가능성이 있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근본적으로는 이동통로 폭의 협소함에 따른 진$\cdot$출입의 문제, 전장품의 부적절한 배치에 따른 작업자 충돌 문제 등, 기본적인 인간공학적 원칙이 반영되지 않은 운전실설계로 제품하역기 작업자의 업무부하가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공학적 설계원칙을 반영하여 제품하역기 운전실을 가상환경으로 제작해보고, 3차원 인제 모형을 실제로 탑승시켜 주요 설계 제약조건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3차원 가상환경 및 인체모형의 제작은 상용 3D Tool인 3ds Max 5와 Anthropos Ergomax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이와같은 방법을 통해, 실제 공사 후에 발견될 문제점에 대한 사전 도출이 가능함은 물론, 보다 인간공학적인 운전실 설계가 이뤄질 수 있었다.

  • PDF

Development of Multiple-Windows Manager using virtual Screen (가상 화면을 이용한 다중 윈도우즈 매니저 개발)

  • Won, Hui-Chul;Choi, Jae-Kyung;Kim, Soon-Cheol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4 no.5
    • /
    • pp.53-59
    • /
    • 2009
  •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problems which can happen during multi-tasking process in the Windows operating system (OS) environment. To cope with the problems, multiple-windows manager program is proposed in this paper. If we use the proposed multiple-windows manager program with three virtual screen, we can obtain the effect like using four Windows OS and thus we can improve the tardy speed and the high complexity for multi-tasking process.

Interface Application of a Virtual Assistant Agent in an Immersive Virtual Environment (몰입형 가상환경에서 가상 보조 에이전트의 인터페이스 응용)

  • Giri Na;Jinmo Kim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30 no.1
    • /
    • pp.1-10
    • /
    • 2024
  • In immersive virtual environments including mixed reality (MR) and virtual reality (VR), avatars or agents, which are virtual humans, are being studied and applied in various ways as factors that increase users' social presence. Recently,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apply generative AI as an agent to improve user learning effects or suggest a collaborative environment in an immersive virtual environment. This study proposes a novel method for interface application of a virtual assistant agent (VAA) using OpenAI's ChatGPT in an immersive virtual environment including VR and MR. The proposed method consists of an information agent that responds to user queries and a control agent that controls virtual objects and environments according to user needs. We set up a development environment that integrates the Unity 3D engine, OpenAI, and packages and development tools for user participation in MR and VR. Additionally, we set up a workflow that leads from voice input to the creation of a question query to an answer query, or a control request query to a control script. Based on this, MR and VR experience environments were produced, and experiments to confirm the performance of VAA were divided into response time of information agent and accuracy of control ag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rface application of the proposed VAA can increase efficiency in simple and repetitive tasks along with user-friendly features. We present a novel direction for the interface application of an immersive virtual environment through the proposed VAA and clarify the discovered problems and limitations so far.

Virtual Reality based Total Station Training Content Development (가상현실 기반 토탈스테이션 훈련 콘텐츠 개발)

  • Im, Tami;Kim, Sang-Youn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8 no.4
    • /
    • pp.631-639
    • /
    • 2017
  •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virtual training contents has been increasing along with the emphasis on the experience and practice in engineering education. Virtual training makes repeatable sessions possible within safe learning environment which is very similar with real work place. This feature is very helpful to learners when they manipulate real machines back at work after studying with the virtual training cont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otal Station and GPSS surveying" virtual training content focusing on both theory and surveying practice within various circumstances and to explore learners experience. Results show high interest, immersion, perceived learning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to the content.

Interaction Human Model and Interface for Increasing User's Presence and Task Performance in Near-body Virtual Space (가상 근신(近身) 공간에서의 작업 성능과 사용자 존재감 향상을 위한 상호작용 신체 모델과 인터페이스)

  • Yang Ungyeon;Kim Yongwan;Son Wookho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04.11a
    • /
    • pp.975-978
    • /
    • 2004
  • 본 논문에서 우리는 가상현실 시스템의 구축에 있어서, 사용자의 직접 상호작용 (direct interaction)을 기본으로 하는 근신 공간(near-body space) 작업에서 사용자의 존재감 (Presence) 향상과 작업 성능 향상을 위하여, 사용자와 공간적 및 감각적으로 일치된 가상 인체 모델의 구현을 중심으로 현재의 기술 현황 및 연구 개발 방향에 대하여 기술한다. 이상적인 가상현실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 고려되어야 할 요소를 멀티모달 상호작용과 실감 일치형 인터페이스 개발 방법론의 관점에서 보면, 사용자가 접하는 가상 공간의 시각적 모델(visual perception)과 자기 동작 감각적(proprioceptive) 모델의 일치가 중요하다. 그러므로, 시각적으로 사용자의 움직임과 일치된 자신의 신체가 가시화 되어야 하고, 자연스러운 근신 공간 직접 상호작용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사실적인 햅틱 피드백 요소가 중요하며, 공간적 정보를 표현 함에 있어서 동기화 된 사실적 청각 피드백 요소의 지원이 중요하다. 앞의 주요 3 가지 감각 인터페이스 방법(sensory channel, modality)는 현재의 불완전한 인터페이스 기술의 한계를 고려하여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 응용 환경에 최적화된 적용 방법이 연구되어야 한다.

  • PDF

A Study on Modularization of a Decommissioning Information Evaluation System (해체 정보 평가 시스템의 모듈 연구)

  • Park, Hee-Seoung;Kim, Sung-Kyun;Lee, Kyne-Woo;Oh, Won-Jin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05.05a
    • /
    • pp.305-308
    • /
    • 2005
  • 해체 준비 작업부터 해체 후 처리까지 가상의 디지털 해체 환경에서 해체 활동의 예측에 필요한 모듈별 기능들을 요소별로 검토 분석하였다. 해체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의 기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모듈을 확립하기위해 해체 데이터베이스와 3D CAD 를 연동시키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3 차원 dosimetric mapping 기술로 방사능 오염 분포를 입체적으로 묘사할 수 있는 모듈과 제염 해체 단위 작업별 평가식과 가중치 값을 이용하여 해체 작업자수와 해체 시간을 평가할 수 있는 모듈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가상의 해체 환경에서 연구로 및 원자력 시설 해체시 경제성과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해체 일정과 해체 비용을 평가할 수 있는 단위 모듈들의 기능을 활용하여 해체 통합 관리 시스템의 설계 기준과 요구 조건 및 기능을 도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