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상 상호작용

Search Result 91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ractive Augmented Reality Coloring Book (상호작용형 증강현실 색칠공부 설계 및 구현)

  • Cho, Kwangmoon;Kim, Hadong;Lee, Youngho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 /
    • v.1 no.1
    • /
    • pp.5-9
    • /
    • 2015
  • In this paper, we proposed a design of interactive augmented reality coloring book. The proposed method improves user's participation and interest by using real space, augmented reality space, and virtual reality space all together. According to the proposed method, we implemented the PlayingHouse, an interactive augmented reality coloring book. In the future, we expect that AR coloring book could be the category of the library.

Virtual Reality Framework for Realistic Underwater Environment Perception of Immersive Agents (몰입형 에이전트의 사실적인 수중환경 인지를 위한 가상현실 프레임워크)

  • Seong-Hoon Hong;Jong-Hyu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4.01a
    • /
    • pp.391-393
    • /
    • 2024
  • 본 논문에서는 수중에 존재하는 몰입형 에이전트의 움직임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수중 오브젝트들과의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외력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Unity3D와 HTC Vive를 이용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추적하고 수중 물리적 요소인 부력, 저항력, 매그너스 효과를 몰입형 에이전트에 적용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수중에 작용하는 외력을 사실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한다.

  • PDF

Two-hands-based Interface between Users and Virtual Objects (양손을 이용한 사용자와 가상 객체간의 인터페이스)

  • Rhee, Eun Joo;Han, Seiheui;Choi, Junyeong;Park, J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1.11a
    • /
    • pp.232-23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손바닥 위에 증강되는 가상 객체와의 자연스러운 상호 작용을 제공하는 혁신적인 손 기반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본 인터페이스에서는 한 손바닥 위에 다른 쪽 손의 손가락으로 미리 정의된 패턴을 그린 후 그 패턴을 인식함으로써 가상 객체들이 용이하게 선택되도록 한다. 이렇게 선택된 가상 객체들은 계산된 손바닥 포즈를 이용해서 손바닥 위에 증강된다. 손가락으로 그려진 패턴을 효과적으로 검출하기 위해 손가락을 감쌀 수 있는 마커를 사용하여 손가락의 궤적을 추적한다. 넓은 범위의 손바닥 포즈를 계산하고 손가락의 움직임을 인식함으로써 사용자는 다양한 시각에서 손바닥 위의 증강된 가상 객체와 자연스럽게 상호 작용할 수 있다.

  • PDF

A Design of Agent-Based Present Interface for Courseware (캐릭터 에이전트 기반 코스웨어를 위한 인터페이스 설계)

  • Choi, Jin-Yong;Sohn, Won-Sung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1a
    • /
    • pp.275-280
    • /
    • 2008
  • 교수 학습용 디지털 콘텐츠에서 상호작용은 매우 중요하며 이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호작용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하위단계의 프로그래밍 및 시스템 설계를 위한 시간적 경제적 비용이 반드시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에게 프로그래밍이 요구되지 않는 친숙한 'Pencil & Paper' 방식의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제안 인터페이스에서는 디지털 잉크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교수자가 프레젠테이션 하기 위한 상호작용을 분석한다. 또한 교수자를 대신할 가상 프레젠터의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하여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제공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온라인 교육이나 전자 책, 지능형 교육 시스템 등 상호작용이 가능한 교육용 컨텐츠 개발에 확대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Virtual Celestial Learning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Technology (가상현실기술에 기반한 가상천체학습시스템)

  • 정성태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7 no.7
    • /
    • pp.1449-1455
    • /
    • 2003
  •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an effective celestial learning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Our system support a deep immersion and comfortable navigation by using HMD(Head Mounted Display) and 3 dimensional mouse. We make three dimensional celestial image dynamically with OpenGL and display the rendered image to HMD. Students can feel that they are on the space ship and navigate through the celestial body. During the navigation, students can get the information of each planet and solve given problems. Our system shows that virtual reality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ool for training and education.

A study on Materialization of Virtual Reality for Environmental Interface (환경인터페이스를 통한 가상의 현실화에 관한 연구)

  • Kang, Yoon Jeo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6
    • /
    • pp.545-551
    • /
    • 2023
  •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environment interface as a method of bringing the virtual environment in the interface to reality, and explain the experience of the virtual that can be sensed in the real environment. Expanded experience by discussing the transparency of the interface and interactivity that expands synesthesia as a condition for an interface to express virtual without distinction from the real environment, and establishing a discussion on the composition and inevitability of an environment interface that satisfies these conditions The environment interface is discussed as a tool for realizing the interface that extends from the real environment, the expansion of cognition into the environment by interaction, and the virtual for immersion into the environment due to these conditions.

A Viewpoint Dependent Stereoscopic Display of a Building Within Semi-Immersive Virtual Environments (반몰입 가상환경에서 시점에 따른 건물의 입체 가시화)

  • 이선민;최수미;김명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235-237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수평형 프로젝션 시스템인 상호작용형 워크벤치와 수직형 프로젝션 시스템인 프로젝션 월을 기반으로 하는 반몰입 가상환경을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시점에 따라 변하는 건물 모델을 입체적으로 가시화 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상호작용형 워크벤치는 일반적인 수직 디스플레이와 달리 수평면/경사면 디스플레이가 가능하고, 프로젝션 월은 널은 디스플레이 환경을 제공하므로 소규모의 공동작업에 용이하며 두 시스템 모두 반몰입감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환경에서 주사용자의 위치와 시점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건물 모델을 실제 배경 영상과 합성한 결과를 제시한다.

  • PDF

Constructing the Heterogeneous Shared Virtual Environment Using LAN (LAN 기반 다기종 공유가상환경 구축)

  • 김기범;박성원;유효선;이선민;김명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c
    • /
    • pp.642-644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LAN 기반 환경에서 반물입 혹은 몰입형 가상현실 장비의 대표적인 형태인 수평형, 수직형, 정방형 시스템들을 연동하여 복합 공유가상환경을 구축하였다. 또한 간단한 인터랙션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공유가상환경 내에 위치한 사용자가 서로 다른 형태의 인터랙션 장비를 이용하여 가상객체와 실시간 상호작용 할 수 있도록 하고, 그 결과를 가상환경 내에 있는 사용자가 공유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존의 연구가 동기종간의 공유가상환경을 구축하거나 이기종간의 단방향 인터랙션을 지원하는데 비해 본 논문에서는 다기종간의 공유가상환경 구축 및 실시간 상호인터랙션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 PDF

Visual Guider : Space Perception Aid Tool in Immersive Virtual World (비쥬얼 가이더 : 몰입형 가상세계에서의 공간지각 보조도구)

  • Cho Eun;Park Joo-Young;Kim Myoung-Hee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2B no.1 s.97
    • /
    • pp.39-46
    • /
    • 2005
  • In immersive virtual reality system, since virtual worlds do not supply users with sufficient spatial information af real world does, the users frequently experience clumsiness and roughness while manipulating virtual objects. To overcome this problem, we propose Visual Guider in this paper as a tool for enhancing user's visual space perception in immersive virtual worlds. The Visual Guider aids users to recognize exocentric distances between different scene points and egocentric distances from the observation point to other points in the scene fast and precisely. Its concept is imported from the rectangular grids frequently used in two-dimensional windows applications. We applied the proposed technique to an experimental virtual space implemented in $CAVE^(TM)-like$ system and tested its effectiveness while users grasp and move virtual objects.

Effect of the sampling time of high-frequency ZOH and a physical damper on stable haptic interaction (고주파 영차홀드의 샘플링 주기와 물리적 댐퍼가 안정적인 햅틱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Lee, Kyungn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2
    • /
    • pp.649-654
    • /
    • 2019
  • Stable haptic interaction with virtual environments is essential not only for the safety of the user but also for improving the immersion of the user. If the coefficient of a virtual spring is increased, the system becomes unstable. Therefore, the coefficient of the virtual spring is limited. The haptic system with the high-frequency zero-order-hold (HF-ZOH) is proposed to enhance the stability margin of a virtual spring.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 among the sampling period of HF-ZOH, the coefficient of the physical damper, and the maximum stable margin of the virtual spring is analyzed. The lager the coefficient of the physical damper is, the shorter the sampling period of the HF-ZOH is, the larger the stable region of the virtual spring becomes. If the ratio N is larger than 40, the stable region of the proposed method is about three times to eight times that of the previous method, according to the coefficient of the physical damper. Hence the method enables to improve the user's realism in virtual environ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