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상현실(VR)기반 교육

Search Result 11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VR-based Traditional Korean Musical Instrument Experience for Education (가상현실 기반 교육용 국악기 연주 체험 프로그램)

  • Kim, Chae-Rin;Kim, Kyu-Won;Park, Hye-Jin;You, Yea-Won;Oh, U-R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05a
    • /
    • pp.238-241
    • /
    • 2021
  • 가상현실은 시·공간을 초월하는 경험이 가능하며 아이들의 몰입감과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어 교육 도구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정부는 VR 기기를 전국의 초등학교에 보급하고 있지만, 양질의 교육용 실감형 콘텐츠는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국악기 연주 체험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Unity의 물리 엔진과 Oculus의 햅틱 기능을 이용하여 전통 국악기 중 편경을 실감 나게 연주할 수 있도록 가상환경을 구현하였다. 리듬 게임 형식을 적용하여 아이들의 흥미 또한 유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국악기를 직접 연주하며 해당 국악기에 대한 지식을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Effects of Web-based Virtual Reality Program and Learner's Spatial Perception on Learning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가상현실을 이용한 웹기반 수업과 학습자의 공간지각력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

  • Leem, Jung-Hoon;Lee, Sam-Sung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6 no.2
    • /
    • pp.95-105
    • /
    • 2003
  •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learning effects of Web-based 3-dimensional VR(Virtual Reality) program and a 2-dimensional HTML program, and to find ou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types of web-based instruction program(3-dimensional VR program and 2-dimensional HTML program) and the levels of spatial perception of the learners on learning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an educational aspect. In conclus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achievement and general satisfaction of the learners between the group providing 3-dimensional VR program and the group 2-dimensional HTML program(F=4.85, p<.05). The 3-dimensional VR program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in learning achievement effects between the types of web-based instruction program and the level of spatial perception of the learners(F=32.48, p<.05).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R Content based on Real-Time Clouds Simulation for Meteorology Learning (실시간 구름 시뮬레이션 기반 기상 현상 학습용 가상현실 콘텐츠 설계 및 개발)

  • Kang, Kyung-Kyu;Ryoo, Dong-Wan;Park, Chang-Joon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8.01a
    • /
    • pp.165-167
    • /
    • 2018
  • 최근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콘텐츠 제작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작하고 학습 도구로 활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학습 자료로써 사진이나 동영상과 같은 정적인 콘텐츠의 의존에서 벗어나, 상호작용적인 가상현실 콘텐츠를 학습에 활용하는 연구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학습자가 기상 현상과 같이 입체적이고도 동적으로 변화하는 소재를 가상현실에서 능동적으로 체험한다면, 학습효과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한다. 최신 실시간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과 그래픽스 하드웨어는 기상 현상을 사실적으로 재현할 수 있는 수준으로 이미 발전해 있다. 이러한 최신 기술이 컴퓨터를 활용한 기상학 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볼륨 구름 시뮬레이션을 구현하여 상용 게임 엔진에 탑재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상학 학습용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작하는 방법에 대해서 논한다.

  • PDF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spect of Safety Education Contents based on VR (VR기반 안전 교육콘텐츠 현황과 전망)

  • Lee, Young-Wo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4 no.10
    • /
    • pp.1294-1299
    • /
    • 2020
  • Recently, interest in safety education based on VR has been increasing, but it started rising doubts are growing over its effectivenes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thesis project is to research the current status of safety education contents based on VR and present situations and future prospects for safety education based on VR. As a result of researching about safety education contents using VR, the movement or condition of characters in the contents in the VR environment was very unnatural. Especially, in simulations such as driving a VR device, the controller was skeptical about its efficiency because the operation was different from the actual environment. As a result, we would like to make suggestions and forecasts as follows: First, the production of real and twin environment in VR should be realized. Second, the natural movement of the character should be performed. Third, various controllers should be released in VR devices. Fourth, a realistic scenario should be developed.

Nursing Students and Clinical Nurses' Awareness of Virtual Reality(VR) Simulation and Educational Needs of VR-based Team Communication and Teamwork Skills for Patient Safety: A Mixed Method Study (간호대학생과 병원간호사의 가상현실기반 환자안전을 위한 팀 의사소통과 팀워크 기술에 대한 교육요구의 차이: 혼합연구설계)

  • Hur, Hea Kung;Jung, Ji 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1
    • /
    • pp.629-645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needs of virtual reality(VR)-based communication and teamwork skills for patient safety intended for nursing students and nurses. For this study, mixed method design was used with surveyed data collected 60 nursing students and 123 nurses. And fourteen nurses was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 SPSS/WIN 25.0 and inductive content analysis for focus group interviews were utiliz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wareness of VR and educational needs of team communication, and teamwork skills were above average, and nursing students required higher educational needs than nurses. Teamwork knowledge was moderat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Regarding nurse's communication in hospital, 4 themes of contributing factors and 2 themes of result factors that cause communication difficulties among nurses were derived from the qualitative dat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virtual reality-based simulation program reflecting the educational needs of nursing students and nurses in order to improve team communication and teamwork skills for patient safety required for nursing students and nurses.

Design and Integration of U Effect System with Multi-sensory Motional Display (다감각의 운동감을 갖는 가상현실 효과 시스템의 설계 및 통합)

  • Yoo, Byoung-Hyun;Han, Soon-H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2005.05a
    • /
    • pp.93-99
    • /
    • 2005
  • 가상현실 시뮬레이터는 교육과 지식의 전달을 위한 도구로 발전하고 있으며, 과학교육 및 문화체험을 위한 첨단과학전시시스템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동역학적 계산을 기반으로 하는 기존의 가상현실 시뮬레이터는 컨텐츠의 변경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효과적인 지식전달 및 흥미 유발을 위해서는 운동감뿐만 아니라 다감각을 동원한 체감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체감형 전시 시스템에 적합한 운동감 생성 방법과, 다감각 동원 가상현실효과 시스템을 설계하고 통합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영상의 시점변화를 기반으로 한 운동감 생성과, 미리 저장된 모션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운동감 효과를 동시에 적용할 수 있으며, 관객의 상호작용에 의한 운동감 효과를 쉽게 추가할 수 있다. 관객의 다양한 감각을 이용한 가상현실 효과를 위하여 체감형 전시 시스템에 적합한 다양한 다감각 효과의 적용 방안을 모색하고, 효율적인 다감각 효과를 선정하여 실제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체감형 전시를 위한 가상현실 효과 시스템의 기본 구조를 정립하였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cenario-based Admission Management VR contents for nursing students

  • Kim, Yu-Jeo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6 no.1
    • /
    • pp.209-216
    • /
    • 2021
  • In this paper, I developed a scenario-based admission management virtual reality (SAM VR) content for practical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and verified the effectiveness. The SAM VR contents used in the study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using Gear VR and smartphone according to the standard practical procedure suggested by the Korea A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and Evaluation. In the 30 experimental groups who received practical training using SAM VR contents, learning flow, learning confide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ter the practical training (p<.001). In the control group, who received practical training in the traditional way, learning confidence increased after the practical training (p<.005), but there was no change in learning flow and learning satisfaction (p>.005). It was verified that the SAM VR contents are effective practical education contents for nursing students' learning flow, learning confide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Development and Applied Effects of VR-based Cooking Serious Game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VR 기반 요리하기 기능성 게임 개발 및 적용 효과)

  • Lee, Tae-Su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21 no.1
    • /
    • pp.67-80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VR-based cooking serious game(VR-Cook)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o validate effectiveness. The VR-Cook was developed using the ASSURE model. Twent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participated to verify effectiveness. Ten stude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s to the control group. The control group received traditional interventions, and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intervention combining traditional intervention with VR-Cook. Evaluations were made at three times, and evaluation data were analyzed with repeated two-way ANOVA. The experimental group has improved more than control group in cooking activities and class attitudes.

웹 환경에서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을 위한 편집 도구 개발 연구

  • Hyun-been Kim;Jun-su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293-295
    • /
    • 2022
  • 기존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콘텐츠는 제작인 완료된 상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법 개정 및 교육 커리큘럼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지 못한다. 따라서 VR 콘텐츠 제작시 편집이 가능한 툴과 편집된 VR 콘텐츠가 바로 실행되는 편집 도구를 구현한다면 훈련 내역의 변경이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VR 콘텐츠에 대안책이 될 것이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VR 콘텐츠의 주요 생성 및 생성된 시나리오의 세부 씬(Scene) 구성을 사용자가 직접 생성하는 편집 도구를 구현하고 VR 장치가 없는 운용 환경에서도 실행이 가능 하도록 Web 기반의 편집 도구를 개발하여 VR 콘텐츠의 편집 및 실행 시 동시처리가 가능하도록 편집 도구를 개발하였다.

  • PDF

Personalized Virtual Storytelling with Responsive Multimedia System (반응형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이용한 개인화된 스토리텔링 기법)

  • Lee, Young-Ho;Oh, Se-Jin;Park, Young-Min;Woo, Woon-Tack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118-123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반몰입형 가상현실 시스템인 반응형 멀티미디어 시스템(RMS: Responsive Multimedia System)을 이용한 개인화된 스토리텔링 기법을 제안한다. 인간은 글, 그림, 영상 기술 등을 이용한 다양한 스토리텔링 기법을 개발해 왔으며, 가상 현실 기술을 통하여 기존의 멀티미디어보다 한차원 높은 수준의 스토리텔링을 가능하게 하였다. 제안된 스토리텔링 기법은 테이블 형태의 다감각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자 정보 처리와 위치기반 이벤트를 결정하는 컨텍스트 인식 응용 모델 (vr-UCAM), 그리고 가상환경 네비게이션과 변화, 캐릭터의 애니메이션을 가능케 하는 가상공간 관리기로 구성된다. 제안된 스토리텔링 기법은 다감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직관적인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컨텍스트 인식 응용 모델을 활용하여 사용자 개인정보를 스토리에 적용하여 개인화된 스토리가 전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가상 환경의 네비게이션, 가상 캐릭터, 날씨 및 환경의 변화 등을 조절하여 실감있게 스토리가 전개되도록 한다. 제안된 스토리텔링 환경을 검증하기 위해 운주사에 얽힌 설화를 기반으로 가상 운주사 체험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를 통해, 반응형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이용한 스토리텔링의 가능성을 검증하였으며, 컨텍스트 인식 응용 모형을 활용한 개인화된 스토리텔링을 선보였다. 제안된 스토리텔링 기법은 문화교육, 에듀테인먼트, 예술 분야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