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는 모래

검색결과 344건 처리시간 0.027초

국내 하천의 조도계수 특성 분석 (Analysis of Roughness Coefficients of Domestic Rivers)

  • 김용전;이찬주;김지성;김원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853-1857
    • /
    • 2008
  • 본 연구는 국내하천을 대상으로 하천의 단면 형상 및 수위, 유량자료를 실측하여 유량 변화에 따른 조도 계수를 산정하고, 하상 재료와 하천 규모에 따른 조도계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실측 자료는 다양한 유량 변화 자료를 얻을 수 있는 2007년 6월에서 9월 사이에 이루어졌으며, 대상 하천의 조도계수는 미국 지질조사국의 NCALC 모형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조사 지점은 하상재료가 거석으로 이루어진 섬진강(곡성), 호박돌로 이루어진 평창강(방림), 달천(괴산), 홍천강(서면), 금강(현도1, 현도2)과 자갈 모래로 구성된 금강(이원) 지점, 모래하천인 내성천(평은) 그리고 도시하천인 탄천(복정)으로 총 9개 지점에서 이루어졌다. 조사 결과 모든 하천의 조도계수는 유량 증가에 따라 감소하면서 일정한 값으로 수렴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하상 입경과 규모에 따라 서로 다른 범위의 조도계수를 나타냈다. 가장 큰 조도계수의 범위를 보이는 곳은 하상재료가 큰 섬진강(곡성)과 홍천강(서면), 달천(괴산) 지점이었으며, 모래하천인 내성천(평은)과 도시하천인 탄천(복정)은 가장 작은 조도계수의 범위를 보였다. 또한, 하상 재료 특정입도($d_{16}$, $d_{50}$, $d_{84}$, $d_w$)가 흐름저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Limerinos에 의해 제안된 상대조도를 분석한 결과, 하상재료의 특성이 상이하게 다른 섬진강(곡성)과 내성천(평은), 탄천(복정)을 제외하고 하상재료와 상대조도 사이에서의 관계식을 산정할 수 있었다.

  • PDF

잡초생장(雜草生長)에 미치는 볏짚, 보리짚의 Allelopathic Effect (Allelopathic Effect of Barley and Rice Straw on Weed Growth)

  • 이춘우;김창석;장영희;연규복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22-127
    • /
    • 1991
  • 볏짚과 보리짚의 생리활성물질(生理活性物質)이 상추 발아(發芽) 및 포장(圃場) 잡초발생(雜草發生) 및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볏짚 분말(粉末)을 모래와 혼합(混合)하여 상추를 발아(發芽)시켰으며, 포장(圃場)에서 볏짚과 보리짚을 여러수준으로 피복(被覆)하여 잡초(雜草) 생육(生育) 억제정도(抑制程度)를 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연 아래와 같다. l. 볏짚분말(粉末)을 모래와 혼합(混合)하여 상추 발아(發芽)시 발아(發芽)가 억제(抑制)되어 발아억제물질(發芽抑制物質)의 존재(存在)를 추론(推論)할 수 있었다. 2. 볏짚 피복(被覆)시 $m^2$ 당 500g 이상(以上)이면 뚝새풀의 생장(生長)에 35% 이상(以上) 억제효과(抑制效果)가 있었다. 3. 보리짚을 $m^2$당(當) 200g 피복(被覆)할 경우 피와 바랭이의 생장(生長)을 억제(抑制)하였으며, 300g이상(以上) 피복(被覆)하연 97%의 억제효과(抑制效果)가 있었다. 4. 또한 보리짚 피복(被覆)시 화본과(禾本科)>사초과(沙草科)>광엽(廣葉) 잡초(雜草) 순(順)으로 억제효과(抑制效果)가 있었다.

  • PDF

섬유/모래로 보강된 미연소탄소탄소 고함량 플라이애쉬의 지반공학적특성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of Fly Ash Containing High Content of Unburned Carbons Reinforced with Fibers and Sand)

  • 윤보영;이창호;추현욱;이우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3권4호
    • /
    • pp.35-46
    • /
    • 2017
  • 미연소탄소 함량이 높은 플라이애쉬(High carbon contents fly ash, HCFA)는 콘크리트 혼화재로의 사용이 부적합하여 대부분 매립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연소탄소함량이 높은 플라이애쉬의 지반공학적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폴리프로필렌섬유(Polypropylene fiber, PP fiber)와 모래로 보강하여 일축압축시험과 벤더엘리먼트가 설치된 일차원 수정 압축실험을 진행하였다. 섬유의 보강효과로 섬유비가 증가함에 따라 일축압축강도(UCS), 일축압축강도시의 변형률과 동일 간극비 상에서의 최대전단탄성계수(Maximum Shear Modulus, $G_{max}$)가 증가하였다. 모래로 보강된 경우 혼합물의 UCS는 다소 증가하였으나 UCS 시의 변형률은 모래비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모래입자는 HCFA 입자간의 접촉을 방해하여 혼합물의 $G_{max}$를 감소시켰다. 그러나 20% 이상의 모래비에 대하여 동일 에너지로 다짐하였을 시, 조밀한 상태로 조성되며 그로 인한 보강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섬유나 모래로 보강된 HCFA의 압축지수(Compression index, $C_c$)는 보강재의 종류와 관계없이 주로 초기 간극비에 의해 결정되었다.

수도(水稻)에 대(對)한 합성규산물질(合成珪酸物質)의 효과(效果) (Effect of The Fused Siliceous Materials on Rice Plant)

  • 이윤환;한기학;임선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4권3호
    • /
    • pp.183-189
    • /
    • 1971
  • 규산재료(珪酸材料)인 강사(江砂) 및 석영(石英)과 농용(農用) 소석회(消石灰)의 혼합(混合) 용융물(溶融物)에 대(對)한 규산질(珪酸質) 비료(肥料)로써의 효과(效果)를 구명(究明)코져 유효규산함량(有效珪酸含量)이 낮은 답토괴(畓土壞)에서 수도(水稻)에 대(對)해서 천연(天然) 규회석(珪灰石)을 대조(對照)로 시비처리(施肥處理)하여 시험(試驗)한 결과(結果) 1. 모래용융물(溶融物)이 석영용융물(石英溶融物)에 비(比)하여 N/2 염산가용규산함량(鹽酸可溶珪酸含量)이 높고 2% 구연산 가용규산함량(可溶珪酸含量)은 석영용융물(石英溶融物)이 모래용융물(溶融物)보다 높았다. 2. 벼의 규산흡수량(珪酸吸收量)은 석영용융물(石英溶融物)에서 가장 크고 모래용융물(溶融物)과 규회석(珪灰石)은 거의 같았으며 이용율(利用率)은 천연(天然) 규회석(珪灰石)이 가장 높고 석영용융물구(石英溶融物區)가 모래용융물구(溶融物區)보다 높았다. 3. 정조수량(正租收量)은 규산물질(珪酸物質)의 시용(施用)으로 수량구성요소중(收量構成要素中) 수당입수(穗當粒數), 등숙률(登熟率) 및 천입중(千粒重)의 증가(增加)로 증수(增收)되었으며 공시재료중(供試材料中) 석영용융구(石英溶融區)에서 가장 크게 증수(增收)하였으며 대조구(對照區)${\fallingdotseq}$모래용융물(溶融物) 100kg/10a<천연규회석(天然珪灰石)${\fallingdotseq}$모래용융물(溶融物) 300kg/10a${\fallingdotseq}$석영용융물(石英溶融物) 100kg/10a<모래용융물(溶融物) 500kg/10a${\fallingdotseq}$석영용융물(石英溶融物) 300kg/10a<석영용융물(石英溶融物) 500kg/10a의 순서(順序)이었다.

  • PDF

부산모래의 상태정수와 콘저항치 상관관계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Parameter and Cone Resistance of Busan Sand)

  • 김승한;이문주;최성근;홍성진;이우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123-131
    • /
    • 2007
  • 일련의 CID 삼축압축시험과 실내콘관입시험을 통하여 부산모래에서의 상태정수와 정규화된 콘저항치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삼축압축시험결과를 토대로 부산모래의 한계상태선을 도출하였으며 3개의 한계상태정수는 $M=1.39(\phi_{cs}=34^{\circ}),\;\Gamma=1.07$$\lambda=0.068$인 것으로 산출되었다. 부산모래의 상태정수와 정규화된 콘저항치의 상관관계는 $(q_c-p)/p'=27.6\exp(-10.9\Psi)$의 식으로 표현되었으며, 이는 응력이력에 관계없이 동일함을 확인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해 얻은 다른 모래시료의 정규화된 콘저항치 기울기 m 및 $\Psi=0$에서의 절편값 $\kappa$를 비교 분석한 결과, 부산모래는 유사한 $\lambda_{ss}$ 값을 갖는 모래시료 중 가장 큰 $\kappa$값을 보였으나, m과 $\kappa$$\lambda_{ss}$와 갖는 관계는 기존에 발표된 자료와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고결모래의 강도특성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on Strength Characteristics of Cemented Sand)

  • 이문주;최성근;추현욱;조용순;이우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12호
    • /
    • pp.75-8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고결시 상재구속압(${\sigma_{sit}}'$), 상대밀도, 그리고 입자특성이 고결모래의 점착력과 고결결합 파괴구속압(${p_i}'_{(BP)}$)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400kPa 까지의 구속압으로 압밀된 고결모래에 대한 배수전단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결과 동일 상대밀도와 석고함유율로 고결된 모래의 점착력과 ${p_i}'_{(BP)}$${\sigma_{sit}}'$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결정되어, ${\sigma_{sit}}'$이 고결모래의 강도특성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상대밀도나 고결정도가 증가할수록 고결모래의 점착력과 ${p_i}'_{(BP)}$는 증가하였으며, 상대밀도가 점착력에 미치는 영향보다 ${p_i}'_{(BP)}$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입자특성이 다른 세 종류의 모래시료에 대한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시료 입경이 작을수록 입자사이의 접촉점이 증가하여 점착력과 ${p_i}'_{(BP)}$가 크게 결정되었다.

염분이 모래와 벤토나이트 혼합토의 응력 변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dium Chloride on Stress-Deformation of Sand Bentonite Mixture)

  • 안태봉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3권2호
    • /
    • pp.17-28
    • /
    • 1997
  • 이 연구에서는 화학액으로서 해안가에서 쉽게 영향 받는 염분을 사용하였다. 염분 용액으로 포화된 모래 벤토나이트 혼합토를 사용하여 압밀 비배수 삼축압축 시험을 실시하였다. 변형과 강도정수를 삼축압축시험을 통하여 구속응력과 염수의 농도 변화에 따라 구하였다. 실험 결과 영수로 포화된 흙과 벤토나이트의 점착력은 염수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며 내부마찰각은 변화가 없고 탄성계수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2001년 강화지역의 황사/비황사시 $PM_{10}$ 중 중금속 농도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lic Elements of $PM_{10}$ for Asian Dust and Non-Asian Dust Period of 2001 at Ganghwa)

  • 하재성;여현구;강창희;한진석;선우영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01-502
    • /
    • 2003
  • 매년 우리나라를 찾아오는 황사는 주로 중국 북부의 황토 지대에서 바람에 의하여 하늘 높이 불어 올라간 무수의 모래 먼지가 서서히 강하하는 현상 또는 강하하는 모래 먼지를 말한다(최재천 등, 2001). 황사는 동아시아 지역에서 태평양을 가로질러 하와이까지 수송되면서 국제적으로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으며,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에서 발생한 사하라 먼지(Sahara dust)가 대서양을 가로질러 플로리다반도에서 관측됨으로서 세계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에는 황사의 농도뿐만 아니라, 황사 중에 포함된 중금속의 농도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전병일, 2003).(중략)

  • PDF

금강수계에서 하상재료에 따른 어류의 서식 및 분포 (Inhabitation and distribution of fish to stream bed in the Geum river basin)

  • 김정곤;허준욱;박진우;김경훈;우효섭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494-498
    • /
    • 2010
  • 금강수계에서 2007년 10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17개 지점을 대상으로 어류 모니터링과 하상재료를 조사하였다. 하상재료는 사립자 크기에 따라 6단계(실트, 모래, 가는자갈, 굵은자갈, 호박돌 및 전석)로 나누었으며, 각각 3개 지점씩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모든 지점에서 채집된 어류는 10과 49종 7,316개체였다. 하상재료 중 실트~굵은자갈에서 피라미(Zacco platypus)가 가장 높은 출현율을 보였으며, 호박돌~전석에서는 참갈겨니(Zacco koreanus)가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물다양도 및 우점도는 가는자갈~굵은자갈에서 최적 상태를 보였으며, 정량적서식지평가(QHEI)와 생물보전지수(IBI)는 하상재료가 커짐에 따라 점수가 증가하여 최적 상태를 나타내었다.

  • PDF

굳지 않은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공기량, 유동성 및 블리딩 특성 (Air Content, Workability and Bleeding Characteristics of Fresh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 심재일;양근혁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559-566
    • /
    • 2010
  • 굳지 않은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다양한 특성에 대한 경량굵은골재 최대크기와 천연모래 치환율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15배합의 경량골재 콘크리트가 배합되었다. 또한 굳지 않은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유동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경량골재의 내부구조와 공극의 분포 및 시간에 따른 흡수 특성 등이 측정되었다. 실험 결과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초기 슬럼프는 천연 모래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전경량 콘크리트의 슬럼프는 배합 후 30~60분 사이에 초기 슬럼프의 80%가 감소하였다.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공기량과 블리딩 량은 경량굵은골재 최대크기와 천연 모래 치환율에 중요한 영향을 받았다. 경험식인 ACI 211과 콘크리트표준시방서는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공기량을 과소평가 하였으며, 천연 모래 치환율의 감소할수록 그 과소평가 정도는 증가하였다. 이 연구에 의해 제안된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공기량과 블리딩율에 대한 예측모델은 실험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