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秘訓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4초

성인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올바른 비순각 평가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nasolabial angle in adult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장준호;이신재;김태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72-282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구순이 이완되도록 개구한 상태(relaxed lip position)에서 촬영한 측모 두부방사선사진과 일반적으로 채득하는 중심교합위에서 입술을 다문 상태(closed lip position)의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에서 비순각의 변화 양상을 비교하여 안모 분석 시 relaxed lip position의 중요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전치부 반대교합을 보이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성인환자(평균 23.3세) 60명(남자 35명, 여자 2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구순이 이완되도록 개구한 상태에서와 중심교합 상태에서의 비순각 차이를 비교한 결과 유의성 있는 차이가 있었으며, 비순각의 변화량 사이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좀 더 객관적으로 분류하여 분석하고자 군집분석을 통해 제1군(27명, 45%, 구순 이완시 비순각이 감소하는 군), 제2군(30명, 50%, 구순 이완 시 비순각이 증가하는 군), 제3군(3명, 5%, 구순 이완 시 비순각이 예외적으로 크게 증가하는 군)으로 분류하였다. 제1군에서는 상순이 전체적으로 후방 이동되며 비순각은 변화가 없거나 오히려 감소하였으며, 제2군에서는 상순이 후하방 회전되며 비순각이 증가하였다. 제3군에서는 상순이 하순과 하악전치에 의해 상방으로 압박되었다가(compression)이완되며 비순각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구순이 이완된 상태에 대해 중심 교합 시의 비순각의 변화가 다양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정확한 안모분석과 수술-교정 치료 후의 연조직 심미성의 예측을 위해 기록 채득과 분석 시 이완된 구순 위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이러한 자세로 진단용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석일본기』「비훈」에 가점된 한국계 고유명사의 선점(線點) 고찰 (A Study on Line Marks Added to the Proper Nouns of Korean Origin in the Hikun of Shakunihongi)

  • 박미현
    • 일본어문학
    • /
    • 제86호
    • /
    • pp.25-46
    • /
    • 2019
  • 本稿は『釈日本紀』「秘訓」の韓国系固有名詞に加点されている声点のうち 線点の資料価値について論じたものである。研究方法としては中国中古音、日本漢音、日本呉音と対応し、その結果を圏点と比較した。中国中古音と対応した結果、中古音の上声と去声は釈日本紀では平声に加点される傾向が強いことが判明した。これは釈日本紀では低平調で発話されていたことを意味する。 次に日本語の干渉を考察するために日本漢音と日本呉音との対応を調査 した。その結果、日本漢音の上声と去声および日本呉音の去声は釈日本紀において平声点に加点される特徴がある。よって釈日本紀の韓国系固有名詞における線点は日本漢音および日本呉音のどちらかの影響を一方的に受けていないと言える。 以上のように釈日本紀の秘訓における韓国系固有名詞の線点は平声点に 加点される傾向が強いことがわかった。これは釈日本紀の多数を占める圏点と同様な特徴であり、声点資料として線点は圏点と合わせて利用できると言える。また線点は傍訓の一音節の借音字に見られる傾向があり、圏点と意識的に区別していると言える。

비순낭종의 치험례 (NASOLABIAL CYAT; A CASE REPORT)

  • 김일규;조현영;백민규;장금수;박승훈;박종원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0권2호
    • /
    • pp.194-197
    • /
    • 2008
  • 비순낭은 비루관의 상피 잔사에 의해 발생하는 드문 발육성 낭종으로 상순의 종창과 비익부의 음기를 야기시킨다. 치료 방법으로는 구내접근법에 의한 낭종의 완전 절제술로 재발율은 거의 없다. 25세 남환으로 상악골의 흡수를 야기시킨 좌측부 비순낭종을 외과적 완전 절제술로 치료하고 양호한 결과를 얻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비순 피부편을 이용한 구강저 재건 치험 1례 (Reconstrution with Nasolabial Flap Following Excision of Epidermoid Carcinoma of Mouth Floor)

  • 김광문;정영석;장미숙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99-103
    • /
    • 1991
  • 상악치조(alveolus), 구개, 편도부의 종양으로 술후 결손을 재건하기에는 여러 피부편이 이용되어 왔지만 그 중에서 최근 풍부한 피하 혈과 공급과 풍부한 조직량으로 하부 비순 피부편을 이용하는 것이 유용하다.

  • PDF

편측성 구순열 환자의 이차수술후의 비순 폭경의 변화 (NASOLABIAL CHANGES BEFORE AND AFTER SECONDARY OPERATION IN THE PATIENTS WITH CLEFT LIP)

  • 민병일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8권2호
    • /
    • pp.217-223
    • /
    • 1996
  • In order to evaluate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secondary operations in the patients with cleft lip objectively using full face photographs, the author analyzed results of improvement on nasal width and mouth width and asymmetry of nostril. 1. The ration of asymmetry of thenostril is changed from average 1.24 preoperatively to average 1.08 postoperaively : 61.2% is improved postoperatively. 2. The ratio of nasal width compared with intermedial canthal distance is changed from average 1.15 preoperatively to average 1.10 postoperatively : 3.8% is reduced posteroperatively. 3. The ratio of mouth width compared with intermedial canthal distance is changed from average 1.08 preoperatively to average 1.03 postoperathvely : 4.1% is reduced posteroperatively.

  • PDF

한국인에서의 분절골 절단술 후 연조직 변화의 평가 (Evaluation of Soft Tissue Change after Segmental Osteotomy in Korean)

  • 박재억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975-979
    • /
    • 1998
  • 하악 전치부 근첨하 골전단술을 동반한 상악 변형 분절골 절단술 목적은 양치조성 혹은 양악 전돌 환자로부터 가장 좋은 치료 결과를 얻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두부방사선 계측 분석과 정면 사진을 비교 분석해 술 후 연조직 변화를 조사하였다. 구순 전돌이 효과적으로 감소되었으며 비순각은 증가하였다. 코가 약간 넓어졌으나 결과는 비교적 양호하였다. 절단된 골분절의 혈액공급은 잘 유지되었다. 이것은 많은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비교적 간단한 수술법이다.

  • PDF

아시아 성인 연조직 측모의 비교분석 (SOFT TISSUE PROFILES OF YOUNG ORIENTAL ADULTS)

  • 정규림;박영국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81-889
    • /
    • 1997
  • 이 연구는 정상 교합과 양호한 안모를 가진 169명의 남자와 174명의 여자 아시아 각국 인을 대상으로 연조직 측모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100명의 한국인, 100명의 중국인, 72명의 월남인 및 71명의 일본인으로부터 촬영된 측모두부방사선사진 상에서 9개의 계측점을 설정하고 전산 입력한 뒤 6 개의 연조직 계측 항목에 대한 측정을 시행한 후 통계 처리하였다. 분산 분적에서 중국인의 총 측모(GI'-Pr-Pg')는 한국인이나 월남인에서 보다 적은 돌출도를 보였다(P<0.01). 중국인의 안면평면측모(GI'-Sn'-Pg') 역시 월남인 보다 적은 돌출각을 나타내었다(P<0.01). 홀더웨이의 하순각(Pg'-LS:N-B)은 월남인에서 가장 컸고 다음으로 중국인, 한국인, 일본인의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월남인의 상순은 중국인에서보다 리???츠의 심미적 기준선에 더 많이 근접하였고 한국인과 일본인에서의 상순은 기준선보다 후방에 위치하였다. 한국인과 일본인의 하순은 심미적 기준선에 근접한 반면 중국인과 월남인의 하순은 기준선 보다 2 mm 전방에 위치하였다. 한국인과 월남인의 비순각은 중국인과 일본인에서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간의 성차는 기본적으로 코의 높이에서 상이하였고 이로 인하여 여자에서의 총 측모각과 비순각이 남자보다 크게 나타났다(P<0.001). 이러한 결과는 아시아 각국인 들의 연조직 측모에 대하여 단일 표준치에 의한 분석 평가가 적절하지 않으며 각 인종별 표준치 설정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