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未完工干拓地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6초

미완공간척지의 정주생활 실태분석(II) -영농 및 농촌경제- (Analysis on the Setfiement Conditions in the Troubled Reclaimed Areas Under State Control (II) - Farming and Rural Economy-)

  • 최수명;황한철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04-111
    • /
    • 1991
  • In Korea, small-scale reclaimed areas have been suffering from many problems because of the lack of comprehensive developing strategy although considerable investments have been inputed by the public sector since 1970's. For 3 reclaimed sites in Chonnam Province choser as case study areas, the analysis, the second attempt of widely-spanned studies on areal conditions, concentrated on their farming and economic conditions. Its results were as follows ; 1. Although farming pattern has been transferred to the full4ime rice cropping type by the creation of reclaimed paddy field, farming size in the areas has not been increased more than that in existing agricultural areas. This means that agricultural planning should be included in the initial stage of reclamation projects, especially with reference to the substantial enlargement of farming size. 2. Block parcelling of severely fragmented holdings in new and old lands should be carried out, which can make farming activities efficient and farming route shortened. In large-scale reclaimed areas, new village planning could be considered in its central zone for efficent farming. 3. Because soil in the areas contains much more salt and water than that in other areas, new design methodology should be introduced for the efficient use of agricultural machines in reclaimed areas. 4. There are deep-seated economic problems in reclaimed area, which have been caused by very poor level and agriculturally dominated structure of household income. These problems should motivate farmers to give up positive action for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mprovement in farming.

  • PDF

인공위성 화상데이터를 이용한 북한 서해안지역의 농지기반조성 현황조사 (Survey for Farmland Development in Western Coast of North Korea Using Satellite Image Data)

  • 안기원;조병진;서두천;이정철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6-96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북한 서해안 지역의 농지기반조성현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Landsat TM. JERS OPS, SPOT PAN데이터를 주로 사용하는 원격탐사기법과 시대별 진척상황을 추적하기 위하여 발행년도가 다른 지도 등을 이용하였다. 농업시설물을 판독하기 위하여 기하보정, 디지털 모자이킹 , 영상중합, 선형추출, 토지이용분류 등의 기법을 연구하였으며, 이를 응용하여 북한 서해안지역에 계획되어 있는 간척가능지구, 미완공간척지, 수리계획 등을 조사하였다. 확인된 간척가능 면적은 완공 또는 부분 완공되었거나 방조제노선이 계획된 지구를 합한 총면적이 177,766ha로서 북한이 발표한 30만 ha의 59%에 해당된다. 또한, 1994년도 『북한의 동향』에서 발표한 제3차 7개년 계획기간(1987-1993)에 북한정부가 추진한 총 면적 27,100ha의 간척지 개발면적을 조사한 결과, 기 개발된 면적 16,555 ha와 미완공 간척지면적 16,826 ha로 나타났다. 이들 간척지구는 해안지역에 위치하고 자체유역이 작아 용수가 부족한 실정으로 서해안으로 흐르는 압록강, 청천강, 대동강, 예성강 등으로부터 용수공급을 받는 2000리 물길사업과 연계되어 있으나 용수의 과부족은 검토를 요한다.

인공위성 화상데이터를 이용한 북한 서해안지역의 농지기반조성 현황조사 (Survey for Farmland Development in Western Coast of North Korea Using Satellite Image Data)

  • 안기원;조병진;서두천;이정철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5-106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북한 서해안 지역의 농지기반조성현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Landsat TM. JERS OPS, SPOT PAN데이터를 주로 사용하는 원격탐사기법과 시대별 진척상황을 추적하기 위하여 발행년도가 다른 지도 등을 이용하였다. 농업시설물을 판독하기 위하여 기하보정, 디지털 모자이킹 , 영상중합, 선형추출, 토지이용분류 등의 기법을 연구하였으며, 이를 응용하여 북한 서해안지역에 계획되어 있는 간척가능지구, 미완공간척지, 수리계획 등을 조사하였다. 확인된 간척가능 면적은 완공 또는 부분 완공되었거나 방조제노선이 계획된 지구를 합한 총면적이 177,766ha로서 북한이 발표한 30만 ha의 59%에 해당된다. 또한, 1994년도 $\boxDr$북한의 동향$\boxUl$에서 발표한 제3차 7개년 계획기간(1987-1993)에 북한정부가 추진한 총 면적 27,100ha의 간척지 개발면적을 조사한 결과, 기 개발된 면적 16,555 ha와 미완공 간척지면적 16,826 ha로 나타났다. 이들 간척지구는 해안지역에 위치하고 자체유역이 작아 용수가 부족한 실정으로 서해안으로 흐르는 압록강, 청천강, 대동강, 예성강 등으로부터 용수공급을 받는 2000리 물길사업과 연계되어 있으나 용수의 과부족은 검토를 요한다.

  • PDF

인공위성 화상데이터를 이용한 북한 서해안지역의 미완공 간척지 조사 (Investigation on Ongoing Tideland Reclamation Projects in Western Coast of North Korea using Satellite Image Data)

  • 조병진;안기원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75-86
    • /
    • 2001
  • North Korea reported that tideland reclamation projects had been successfully constructed and/or under construction during the period of the third development scheme(1987∼1993), which were 28,400ha in 9 project areas: 8 projects along the western coast and one in the eastern coast. In this study eight projects located in western coast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confirm the detail of works, construction stages and difference from our project formulation methods using the topographic maps published in different years and the recent sattelite image data especially Lansat TM and SPOT PN. Intensity-hue-saturation (IHS) method was adopted to merge two sattelite data for the image enhancement of remote sensing. Construction stages of sea-dikes, land consolidation for paddy and salt pan, reservoir for irrigation and desalinization and the present land use were investigated and estimated the acreage of the development areas. The total gross project areas of 38,105 ha: 16,555 ha completed for paddy or salt pan, 16,826 ha under construction, and 4,724 ha under planning were confirmed, although the area of 27,100 ha in 8 projects were reported to be completed or ongoing on the bimonthly journal of N. Korean Trend published in 1994.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