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延安

Search Result 5,30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Research and Analysis on System Condition about for Development of Coastal City Evaluation Management System (연안도시 평가관리시스템 개발을 위한 시스템 현황 조사 및 분석)

  • Han, Chong-Soo;Kim, Han-Tae;Jang, Moon-Yup;Kwon, Je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106-109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복합적 원인으로 인하여 증가하고 있는 재해현상이 해안과 접해 있는 연안도시 지역에서의 발생 확률이 증가하고 있음을 인지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피해발생을 예측 및 대응 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을 위한 국내외 연안도시 평가관리 시스템의 현황의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내외 사례조사를 통하여 연안재해 예측관리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착안점을 도출하여 각 시스템의 운영환경, 주요기능 및 화면구성 등을 분석하여 한국형 연안도시 평가관리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반을 정립하였다.

  • PDF

연안 이용자 안전 확보를 위한 안전장비 착용 의무화에 관한 연구

  • Ha, Min-Jae;Lee, Yeong-Chan;Lee, Su-Jin;Ha, Sin-Yeong;Jeong, Hae-Sang;Guk, Seung-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0.11a
    • /
    • pp.93-95
    • /
    • 2020
  • 주 5일제 근무, 개인 여가문화 확산, 국민 소득 증대 등으로 인해 해양을 레저의 목적으로 이용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용객의 증가에 따라 사고 발생의 개연성도 함께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선박을 이용한 레저활동의 경우에는 안정장비의 착용을 의무화하고 있지만, 연안 해역에서의 해양활동에 대하여는 안전장비 착용 의무화가 시행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안 이용객에 의한 사고통계 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연안 이용객의 안전장비 착용의 필요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분석된 내용을 바탕으로 안정장비 착용 의무화 방안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 PDF

Necessity of Visibility for Safety Facilities in the Coastal Zone (연안역 안전시설물의 시인성 확보의 필요성)

  • Bae, Sang-Won;Sung, Ik-Hyun;Lee, Gyu-Sei;Lim, Nam-Hyou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2a
    • /
    • pp.80-80
    • /
    • 2010
  • 연안역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산업화 및 관광권역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연안역에서 발생하는 잇따른 안전사고로 인해 인적, 물적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피해사례를 분석한 결과, 대다수 사고가 안전시설물이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안전시설물의 시인성이 확보되지 않아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연안역 안전 시설물의 시인성 확보 필요성을 제시한다.

  • PDF

동해 포항연안에서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 손종철;김기태;한경호;황동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428-429
    • /
    • 2001
  • 어류상에 대한 연구는 연안 어족자원의 정량적 평가와 효율적인 자원관리를 위하여 필요하며. 또한 연안어장에 어획량의 지속적인 확보와 자원량 예측평가를 가하기 위하여 자료를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 동해안을 중심으로 지금까지 영일만 연안 정치망 어장에 출현한 어류군집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한 등, 1997), 삼중자망에 채집된 동해 홍해 연안어류의 종조성(황 등, 1997, 영일만 저어류 종조성의 계절 변동(이, 1999) 둥의 연구가 있다. (중략)

  • PDF

충남 연안 키조개, Artrina pectinata의 연령과 성장

  • 임양재;홍승현;황학진;고태승;박영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402-403
    • /
    • 2001
  • 키조개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대만, 인도, 태평양 연안에 널리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남해안의 가막만, 여자만, 장흥연안, 남해도 연안과 서해안의 위도근해, 충남연인 인천의 선갑도 근해 등에서 많이 서식하며 주 분포지역은 충남 연안이다. 이들의 서식수심은 조하대의 얕은 바다로부터 수심 40여 미터의 깊은 곳까지 서식하고 있다. (중략)

  • PDF

The Analysis of Coastal Erosion and Erosion Impact Assessment in the East Coast (동해안 침식 원인분석 및 침식 영향도 평가)

  • Park, Seon Jung;Seo, Heui Jung;Park, Seung Min;Park, Seol Hwa;Ahn, Ike Jang;Seo, Gyeong Si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33 no.6
    • /
    • pp.246-256
    • /
    • 2021
  • Various development projects occurring on the coast cause an imbalance of surface sediments, causing coastal disasters or irreversible coastal erosion. Coastal erosion caused by the influence of various port structures built through coastal development can be directly identified by evaluating changes in the sediment budget, longshore sediment, and cross-shore sediment. In other words, it will be possible to evaluate the causality between coastal development and coastal erosion by classifying regions due to single cause and regions due to multiple cause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sediment classified into the three types mentioned above. In this study, the cause of long-term and continuous erosion was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oastal development history and the Coastal Erosion Monitoring targeting the coast of Gangwon-do and Gyeongsangbuk-do on the east coast. In addition, in order to evaluate the degree of erosion caused by the construction of artificial coastal structures, the concept of erosion impact assessment was established, three methods were proposed for the impact assessment. The erosion impact of Hajeo port was assessed using the results of satellite image analysis presented in the Coastal Erosion Monitoring Report, it was assessed that the development of Hajeo port had an impact of 93.4% on erosion, and that of the coastal road construction had an impact of 6.6%.

Risk Assessment of the Accident Place Types Considering the Coastal Activity Time (연안활동시간을 고려한 장소유형별 위험도 평가)

  • Seo, Heui Jung;Park, Seon Jung;Park, Seol Hwa;Park, Seung M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34 no.5
    • /
    • pp.144-155
    • /
    • 2022
  • The Korea Coast Guard evaluates the risk of major coastal activity places to prevent coastal accidents, and patrols and manages them based on that, but it is not responding properly to the continuously increasing number of coastal accident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despite the gradual expansion of coastal activity places, there is a lack of manpower to manage and supervise them, resulting in blind spots in coastal accident safety management.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prepare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measures that check and supplement the current coastal safety management system. Coastal accidents show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accident causes and places due to differences in the activity characteristics of users according to time. As a result of analyzing coastal accident data (2017~2021), the frequency of daytime accidents is high in the case of sea rock, beach, and offshore, where family leisure activities are frequent. In the case of wharf, tidal flat and bridge, where accidents due to drinking, disorientation, and suicide mainly occur, the frequency of accidents at night is high. In addition, there were more accidents on weekends when the number of users increased compared to weekdays. This trend indicates that the user's temporal activity characteristics must be reflected in the risk assessment of coastal activity places. Therefore, in this study, based on the case of coastal accidents, the characteristics of accidents at coastal activity places according to time were identified, and the criteria were presented for risk evaluation by grading them.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lay the foundation for reducing coastal accidents by efficiently managing and supervising coastal activity places over time using the presented evaluation criteria.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afety Management for Coastal Accidents in Korea (국내 연안사고의 안전관리에 대한 개선방안 제시)

  • Song, Chang-Yo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3 no.7
    • /
    • pp.95-103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safety management improvement measures for domestic coastal accidents. The national coast was classified into five region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safety accidents.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with practitioners, problems of coastal accident safety management were derived and the improvement were sugge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Of the 3,116 coastal accidents in Korea, rock on the shore and central sea accidents accounted for 37.58% and 30.67%, respectively. 2) In order to improve domestic coastal safety management, five measure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private cooperation governance were suggested.

Characteristics of Our Coastal Wind Distribution in Winter (겨울철 우리나라 연안의 바람 분포 특성)

  • Seol,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06a
    • /
    • pp.34-35
    • /
    • 2014
  • 겨울철에 우리나라는 서고동저형 기압 배치에 의한 북서계절풍이 지배적이다. 그리고 수시로 온대저기압이 발달하면서 우리나라 인근을 동진하면서 때때로 악천후를 동반하기도 한다. 지속성이 강한 계절풍은 선박의 안전운항과 기상재해에 큰 원인을 제공한다. 이 연구에서는 최근 20년간(1993-2012년)의 장기간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연안의 관측점 8곳에 있어서의 겨울철 바람 분포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서해 연안에 있어서의 겨울철 풍속은 인천을 제외한 군산 및 목포에서 시간의 흐름과 함께 약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그리고 동해 연안의 관측점 3곳(포항, 울진, 속초) 모두에서 시간의 흐름과 함께 풍속이 약해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남해 연안의 경우는 여수 및 통영에서 시간의 흐름과 함께 풍속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계절풍의 영향이 남해 연안보다 강한 서해 및 동해 연안의 바람이 약해지는 경향을 보이는 것은 겨울철의 전형적인 서고동저형 기압 배치의 변화 등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남해 연안의 풍속에 큰 변화가 없는 것은 계절풍보다는 온대저기압의 영향을 더 크게 받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