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e-pot’ 합성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4초

코발트 카르보닐 촉매에 의한 브로모벤질 브로미드의 카르보닐화 (II). 알킬(알콕시메틸)벤조에이트의 선택성 합성 (Carbonylation of Bromobenzyl Bromide Catalyzed by $Co_2(CO)_8(II)$. Selective Synthesis of Alkyl(alkoxymethyl)benzoate)

  • 심상철;도칠훈;윤영주;조찬식;우병원;오대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90-95
    • /
    • 1991
  • 할로벤질 할라이드의 선택적 카르보닐화에 대한 방법을 검토하였다. 알킬(알콕시메틸)벤조에이트는 한 반응기에서 두 반응에 의해 완성되며, 일차로 알코올 용매하에서 알콕시 음이온을 할로벤질 할라이드와 반응시키면, 알킬 할로벤질 에테르가 Williamson ether 합성법에 의해 얻어진다. 이차로 Na$_2$CO$_3$, CH$_3$I 및 Co$_2$(CO)$_8$을 첨가하고, 일산화탄소 기류하에서 반응시키면, 알릴할라이드 부분이 카르보닐화되어 알킬(알콕시메틸)벤조에이트를 높은 수득률로 얻을 수 있었다.

  • PDF

아민기로 관능화된 마그네슘-층상규산염을 이용한 섬유유연제 제조 (Preparation of Fabric Softener Product by using Amine-functionalized Magnesium-phyllosilicates)

  • 김성열;최유성
    • 공업화학
    • /
    • 제30권5호
    • /
    • pp.580-58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3-aminopropyl)triethoxysilane을 사용하여 표면을 아민기로 관능화함과 동시에 팔면체와 사면체 구조를 가지는 마그네슘-층상규산염(AF-MgP)을 합성하였다. FT-IR과 XRD 분석을 통해 AF-MgP가 성공적으로 합성되었음과, 입자 표면의 아민기 및 1 : 2 비율의 팔면체와 사면체 구조를 확인하였다. HR-SEM와 EDX 분석을 통해 면섬유 표면에 AF-MgP가 고루 흡착되어 섬유를 코팅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KS 규격에 따른 섬유의 항균력 시험 결과 AF-MgP 입자가 코팅된 면섬유는 피부 상재균에 대해 매우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AF-MgP가 섬유에 항균성을 부여해주는 기능성 나노 소재로서 적용될 뿐만 아니라, 화장품이나 의료 소재 분야에서 응용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생체친화적 재료로 구성된 성형 가능하고 장시간 안정성을 지닌 고성능 전도성 하이드로겔 제작 (Fabrication of a Moldable, Long-Term Stable, High-Performance Conductive Hydrogel Composed of Biocompatible Materials)

  • 이선영;유호천;이은광
    • 공업화학
    • /
    • 제35권5호
    • /
    • pp.390-398
    • /
    • 2024
  • 전극으로 사용할 전도성 하이드로겔을 제작하는 일련의 과정은 한 반응기 내에서 모든 반응이 진행되는 one-pot synthesis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심근도(electromyogram, EMG) 전극과 같은 생체 전극에 활용하기 위한 poly-(hydroxyethyl methacrylate) (pHEMA)/chitosan (CS) 하이드로겔에 phytic acid (PA) 첨가를 통해 함수율을 향상시킨 형태로 제작하였다. PA를 함유하지 않은 pHEMA 하이드로겔의 경우 함수율이 47.8%, PA의 함량이 0.2 mL인 pHEMA/CS/PA-200 (HCP-200) 하이드로겔의 경우 67.8%으로 함수율이 약 2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PA의 함량이 0.025, 0.05, 0.2 mL로 증가할 때 이온 전도도는 각각 0.057, 0.14, 1.5 S/m로 증가하였고, pHEMA 하이드로겔 대비 HCP-200 하이드로겔이 전도도 성능이 104배 큰 수치를 보였다. 이를 이용해 세 농도의 하이드로겔 중 HCP-200을 합성하여 성형 가능성을 확인하고, 이를 활용해 3전극 시스템 ECG, EMG 신호에 대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ECG의 경우 신호 피크의 높이가 기존 전극인 Ag/AgCl과 HCP 겔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EMG 신호 피크가 HCP 겔이 약 4배 높은 값을 보였다.

새로운 베스타틴 유사체의 입체선택적 합성 (Stereoselective Synthesis of Novel Bestatin Analogs)

  • 서영란;이수범;김영규
    • 공업화학
    • /
    • 제26권1호
    • /
    • pp.111-115
    • /
    • 2015
  • 두 종류의 새로운 베스타틴(bestatin) 유사체를 $\small{D}$-leucine과 $\small{D}$-valine으로부터 효율적이면서 입체선택적으로 합성하였다. 아미노펩티데이즈 억제제인 베스타틴은 면역조절 효과를 보이며 급성백혈병 치료제로 상품화되어 있다. 주요 중간체인 trans-옥사졸리딘 메틸에스터 2a와 2b는 페닐설포닐나이트로메테인($PhSO_2CH_2NO_2$)과 N-하이드록시 메틸기가 보호기로 도입된 ${\alpha}$-아미노 알데하이드(4a와 4b) 간의 일련의 세 단계 연속반응과 연이은 가오존분해 반응으로부터 20 : 1 이상의 입체선택성으로 합성되었다. 2a와 2b의 가수분해 반응 후에 $\small{L}$-Leu-OMe와의 펩타이드 결합을 통하여 베스타틴의 새로운 유사체인 3a와 3b를 보호기가 도입된 형태로 얻었다. 이소부틸기와 이소프로필기를 갖는 두 종류의 새로운 베스타틴 유사체(1a와 1b)는 해당 ${\alpha}$-아미노알데하이드 4로부터 높은 입체선택성으로 6단계에 걸쳐 각각 51%와 38%의 수율로 합성되었다.

미생물 농약과 유기합성 살균제 혼용에 따른 고추 흰가루병 방제 효과 (Control Efficacy of Mixed Application of Microbial and Chemical fungicides against Powdery mildew of red-pepper)

  • 홍성준;김정현;김용기;지형진;심창기;김민정;박종호;한은정;구형진;최광영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09-416
    • /
    • 2014
  • 본 연구는 고추 흰가루병 방제시 유기합성 살균제의 사용량을 감소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고추 흰가루병 방제를 위하여 3종의 미생물 농약과 6종의 살균제의 혼용처리 효과를 실내, 포트, 포장에서 확인하였다. 실내시험에서 6종의 화학농약 중 Azoxystrobin+Chlorothalonil이 고추 흰가루병에 등록된 3종의 미생물 농약(Bacillus subtilis Y1336, Bacillus subtilis DBB1501, Bacillus subtilis QST-713)의 유효미생물의 생육을 억제 시켰다. 포트검정 결과 9개의 혼용처리구 중 B. subtilis DBB1501+Trifloxystrobin, B. subtilis QST713+Trifloxystrobin 처리구 조합이 흰가루병에 대해서 가장 높은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B. subtilis QST713+Trifloxystrobin 혼용처리조합은 3종의 화학농약(Myclobutanil, Trifloxystrobin, Hexaconazole) 단독처리와 비슷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포장시험에서는 흰가루병 방제를 위하여 미생물 농약(B. subtilis DBB1501, B. subtilis QST713)과 유기합성 살균제(Trifloxystrobin)을 혼용하여 7일 간격 4회 엽면살포 시 70.3%~70.9%의 방제가를 나타내었으며, Trifloxystrobin을 단독처리 하였을 경우에는 72.7%의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미생물 농약과 화학농약의 혼용은 화학농약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는 가능한 방법으로 추천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촉매에 따른 다양한 탄소나노구조체 합성 (Fabrication of various carbon nanostructures by using different catalysts)

  • 최강호;유인준;이희수;이규환;임동찬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33-140
    • /
    • 2010
  • 탄소 섬유소재는 가벼우면서고 강건한 특성과 화학적 안정성 등으로 인해 항공기, 자동차, 레저, 우주항공, 풍력, 연료전지, 방위 산업 등의 분야를 비롯하여 최근에는 다양한 산업용 복합재료 및 보강용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섬유의 기능성 향상 및 다양한 응용 분야 확대를 위하여 물리적, 화학적 특성이 우수한 탄소나노튜브와 같은 다양한 탄소나노구조체를 탄소섬유상에 하이브리드화 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ELP(Electroless plating)법을 이용하여 탄소섬유 표면처리 및 촉매 입자 형성을 동시에 진행하였으며, Thermal CVD법을 이용하여 탄소나노구조체를 형성한 결과, 탄소섬유상 Pd/Ni 복합 촉매의 비율에 따라서 탄소나노튜브, 탄소나노필라멘트 등 다양한 형태의 탄소섬유상 탄소나노구조체가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d촉매의 비율이 높을 수록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wall carbon naotube)의 생성 비율이 높아지고, Ni촉매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증가할 수록 탄소나노필라멘트(Carbon nanofilament)의 생성 비율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비소 오염토양의 안정화를 위한 나노 Fe° 담지 바이오차 적용 연구 (Application of Nano Fe°-impregnated Biochar for the Stabilization of As-contaminated Soil)

  • 최유림;;안혜영;박광진;주완호;양재규;장윤영
    • 환경영향평가
    • /
    • 제29권5호
    • /
    • pp.350-36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전정가지 부산물과 one-pot 합성방법을 이용하여 철 나노입자가 담지된 바이오차인 INPBC(Iron Nano-Particles Impregnated BioChar)를 제조하고 비소 오염토양의 안정화제로써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INPBC는 전정가지 부산물과 Fe(III) 용액을 220℃에서 3시간 동안 수열반응하고 이후 N2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소성하여 제조하였으며 FT-IR, XRD, BET, SEM을 이용하여 INPBC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INPBC의 안정화 성능평가는 국내 E폐광산과 S폐광산의 인근 농경지에서 채취한 비소로 오염된 토양 Soil-E와 Soil-S를 채취하여 4주 동안의 배양실험을 실시하였다. 배양실험 후 토양중 비소의 안정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TCLP와 SPLP 용출시험을 실시하였다. TCLP와 SPLP의 용출시험결과, INPBC의 적용 농도의 증가에 따라 토양 중 비소의 용출농도는 감소하여 안정화 효율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Soil-E의 경우 SPLP 용출액 중 비소의 농도는 먹는물 수질기준치 이하의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안정화 토양의 연속추출시험에서는 쉽게 용출되는 1단계 및 2단계의 분획비율이 감소되고 그 보다 용출이 어려운 3단계 및 4단계의 분획비율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오염토양에 주입한 INPBC의 표면에 존재하는 철 나노입자로 인해 토양에서 용출된 비소가 sorption에 의해 안정화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INPBC의 비소 오염토양의 안정화 효과는 대규모 비소 오염토양의 위해성 저감을 위한 안정화제로서 높은 적용 가능성을 보여 준다.

석탄회(石炭灰)를 이용한 육묘(育苗) 상토용(床土用) 인공(人工) 제올라이트의 제조와 배추 생육에 미치는 효과(效果) (Synthesis of Artificial Zeolite from Fly Ash for Preparing Nursery Bed Soils and the Effects on the Growth of Chinese Cabbage)

  • 김용웅;이현희;윤정한;신방섭;김광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95-106
    • /
    • 1998
  • 매년 석탄화력발전소에서 다량으로 배출되어 나오는 폐기물 fly ash를 효율적으로 재활용하고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서 fly ash를 알카리 처리하여 인공 zeolite를 합성하고 광물학적 특성 및 형태학적 구조를 X-ray, IR, SEM 분석으로 밝혀냈다. 또한 $NH_4{^+}$, $K^+$, $H_2PO_4{^-}$ 이온에 대한 fly ash와 인공 zeolite의 흡착능을 비교하기 위해 반응시간, 시료의 양, 이온의 농도에 따른 흡착량을 조사하였고, 4% PVA(Polyvinylalcohol)용액으로 입자화시킨 인공 zeolite를 다양한 비율로 첨가하여 상토를 제조하고 폿트 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인공 zeolite의 양이온치환용량(CEC)은 $257.7cmol^+kg^{-1}$으로 fly ash의 $7.0cmol^+kg^{-1}$보다 36배나 증가된 값을 보였으며 $SiO_2/Al_2O_3$의 비가 감소하였고, $Na^+$의 양은 증가하였다. 인공 zeolite의 이화학성질, X-ray, IR 분석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천연 zeolite 조성 ($Na_2O-SiO_2-Al_2O_3-H_2O$)과 유사하였다. SEM 촬영 결과 fly ash는 전체적으로 표면에 전혀 공극이 없는 구형의 형태를 지녔으며, 인공 zeolite는 알카리 처리로 인해 다공성이 큰 물질로 변화되어 표면적이 한층 증대된 것을 볼 수 있었다. fly ash와 인공 zeolite 모두 반응시간이 증가할수록, 시료의 양이 증가할수록, 이온의 농도가 높을수록 흡착량이 많았으며 대체적으로 $NH_4{^+}$ 이온이 $K^+$ 이온보다 더 많은 흡착량을 보였으며, fly ash 보다는 인공 zeolite가 이온에 대한 흡착능이 더 우수함을 볼 수 있었다. NPK+토양+입자상태의 zeolite 20%+퇴비 5%구에서 배추의 생육이 가장 좋았으며 시중 상토의 경우 재배기간이 20일이 넘었을 때 엽이 황색으로 변했지만 제조한 상토에서 자란 배추는 이러한 증상을 나타내지 않았다. 폐기물인 fly ash를 알카리 처리하여 양이온치환용량이 증가된 인공 zeolite를 합성하고 여기에 비료 성분 N, P, K를 첨가하여 입자화 시킨 후 이를 상토제조에 이용하는 것이 석탄회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