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α-glucosidase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26초

참깨박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α-amylase및 α-glucosidase 저해 활성 (Antioxidant, α-amylase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bility effects of sesame meal ethanol extract)

  • 오영진주;김명현;한영실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5권3호
    • /
    • pp.189-194
    • /
    • 2022
  • 기름을 착유하고 얻어지는 부산물인 참깨박의 활용과 이용가치를 높이기 위해 일반성분(수분, 탄수화물,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무기질을 측정하였고 탈지 처리한 후 70% 에탄올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 및 항당뇨 활성을 분석하였다. 참깨박의 일반성분 함량은 수분 6.51%, 탄수화물 16.22%, 조단백질 46.30%, 조회분 9.88%, 조지방 21.09%로 이었고, 무기질은 K 1128.08 mg/100 g, Ca 1356.27 mg/100 g, Fe 12.29 mg/100 g, P 2022.14 mg/100 g, Cu 2.08 mg/100 g, Mg 643.40 mg/100 g, Na 7.29 mg/100 g 함량을 나타내었다. 탈지 참깨박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84.98 mg GAE/g, 27.63 mg QE/g였으며,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 IC50을 측정한 결과 각각 91.84, 340.09 ㎍/mL, 환원력은 0.87 OD으로 측정되었다. 탈지 참깨박의 α-amylase 및 α-glucosidase 저해 활성 IC50의 측정 결과는 각각 74.31, 16.73 mg/mL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70% 에탄올로 추출한 탈지 참깨박은 우수한 항산화 활성과 항당뇨 활성을 나타내 기능적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참깨를 착유하고 남은 참깨박을 사용하게 되므로 환경보호와 자원순환 측면에 활용가치가 있을 뿐만 아니라 건강기능식품소재로 이용가치가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채취시기가 다른 국내외 녹차잎의 기능성분 함량, 뇌세포 생존 및 대사 효소 활성 조절 효과 조사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green tea cultivars at different harvest periods)

  • 이방희;전세현;정하나;최정;김영민;양광열;남승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427-43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녹차 국내종(보향, 참녹), 외래종(후슌, 야부기다)의 채취시기를 달리하여 테아닌, GABA 등 유용 성분 함량을 분석하였고, 항산화능, α-glucosidase 활성 억제, HMG-CoA 저해도, 세포독성 측정, 뇌 신경세포 보호 효과, 항 스트레스 효과를 조사하여 유용 성분과의 상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테아닌과 GABA 함량은 모든 품종에서 채취시기가 늦어질수록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 아미노산 함량에서는 채엽시기가 늦어질수록 보향 품종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후슌, 야부기다 그리고 참녹은 여름차에서 감소 후 다시 가을차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과 항산화능을 조사했을 때 ABTS는 후슌, 보향, 참녹에서 플라보노이드 농도와 비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재래 녹차와 야부기다는 총페놀의 농도와 비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참녹을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여름차의 활성이 가장 높고 가을차에서 활성이 다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카테킨류 측정에서 EGCg 함량은 카테킨류에서 50% 이상을 차지했고, 총 카테킨 함량과 Ecg, EGCg는 종과 관계없이 채취 시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EGC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품종별 봄, 여름, 가을차를 시료로 하여 측정한 α-glucosidase 저해 활성과 HMG-CoA reductase 저해능은 채취 시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함을 보였고 그 중 가을에 채취한 참녹에서의 저해 활성이 각각 72.93%, 69.78%로 두 저해능 측정에서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또한 뇌신경세포(SH-SY5Y)를 이용한 세포 독성 측정에서 참녹 품종이 96.34%로 가장 높은 세포생존율을 보였고 항스트레스 측정에서 269.2 ng/mL로 가장 낮은 cortisol 함량이 확인되었다.

수확시기별 제주산 영귤의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 비교 (Changes in Phenolic Composition,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Properties of Jeju Citrus sudachi as Influenced by Maturity)

  • 이지은;김지혜;김민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1호
    • /
    • pp.1311-1318
    • /
    • 2015
  • 본 연구는 9월과 11월에 수확한 영귤 미성숙과와 성숙과의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을 비교하였다.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카로티노이드 함량을 분석한 결과 모두 성숙과의 함량이 높았다. 항산화 활성을 DPPH radical, hydrogen peroxide, nitric oxide 소거능, 금속 결합능 및 환원력으로 평가하고 이를 EC50으로 나타낸 결과 금속 결합능을 제외하고 성숙과의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을 통해 항당뇨 활성을 확인한 결과 성숙과가 높은 저해도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출하 시기를 놓친 영귤 성숙과도 건강기능식품 및 의약품 소재로 개발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며 이를 활용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Ice plant (Mesembryanthemum crystallinum) 추출물의 생리 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Mesembryanthemum crystallinum (Ice plant) Extract)

  • 이상률;최현덕;유선녕;김상헌;박슬기;안순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38-645
    • /
    • 2015
  • 본 연구는 ice plant (Mesembryanthemum crystallinum)의 생리활성을 분석하여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Ice plant는 아프리카와 서유럽, 북미, 남미 그리고 호주에서 서식하는 다육식물로 항당뇨, 항산화, 지질 대사 활성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Ice plant를 methanol (MCM), ethanol (MCE), 열수(MCHW), 열수 추출 후 methanol (MCHM)로 추출하여, mushroom tyrosinase, pancreatic lipase, 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 NO 생성, α-glucosidase에 대한 저해 활성을 측정 하였다. MCM, MCE, MCHW, MCHM 추출물의 추출 수율은 0.37%, 0.33%, 0.5%, 0.07%로 나타났다. MCHW 추출물은 DPPH free radical 소거능에 높은 효과를 보였고, MCM, MCE 추출물은 lipase 저해 활성, α-glucosidase 저해 활성, NO 생성 저해활성을 보였다. 그러나 mushroom tyrosinase 저해 활성은 모든 추출물에서 매우 낮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ice plant는 항산화 물질로서 비만, 당뇨, 염증 치료용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울릉도 자생식물인 섬괴불나무(Lonicera morrowii A.Gray) 잎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leaf extract of Lonicera morrowii A.Gray, a plant native to Ulleungdo)

  • 이은호;박혜진;홍은진;술타노브 아크마존;김병오;정희영;강인규;조영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3권4호
    • /
    • pp.443-44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섬괴불나무 잎으로부터 phenol성 화합물의 생리활성 탐색을 통하여 기능성 소재로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인체에 무해한 용매인 열수와 ethanol로 추출 했을 때 열수는 3.53 mg/g, 40% ethanol은 2.82 mg/g의 TPC를 나타내었으며,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 xanthine oxidase (XOas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α-glucosidase 억제효과 및 항균 활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섬괴불나무 잎의 열수와 ethanol 추출물 50-200 ㎍/mL TPC에서 농도의존적으로 DPPH 유리라디칼 소거활성 및 PF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50 ㎍/mL의 저농도에서도 모두 매우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XOase 저해효과에서는 200 ㎍/mL TPC에서 열수와 ethanol 추출물이 각각 76.35, 99.83%의 높은 저해효과 나타냈으며, ACE 저해효과 또한 200 ㎍/mL TPC에서 열수와 ethanol 추출물 각각 79.06, 87.14%의 저해효과를 확인하였다. α-Glucosidase 저해효과를 측정한 결과 200 ㎍/mL TPC에서 열수와 ethanol 추출물 각각 80.45, 63.58%의 저해효과를 보였다. 생육저해환으로 항균활성을 측정 결과 열수 추출물 200 ㎍/100 μL TPC에서 H. pylori, P. acne균에 대해 각각 11.5, 18.5 mm의 clear zone을 형성 하였고, ethanol 추출물 200 ㎍/100 μL 농도에서는 P. acne균에 대해 10 mm의 clear zone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섬괴불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xanthine oxidase (XOas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α-glucosidase 억제효과 및 항균 활성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찔레나무 열매 젖산 발효물의 품질특성 및 생리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Rosa multiflora Thunberg fruit through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 양은영;김명현;한영실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5권4호
    • /
    • pp.375-381
    • /
    • 2022
  • 본 연구는 Lactobacillus plantarum을 이용한 발효물을 제조하여 0, 24, 48, 72시간 동안 품질특성과 생리활성을 분석하였다. 찔레나무 열매 발효물은 발효시간이 길어질수록 pH는 낮아졌고, 당도는 차이가 없었고 총산도는 증가하였다. 생균수는 발효 24시간이 8.59 log CFU/mL로 가장 높았고, 발효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다.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4.85 mg GAE/g, 6.74 mg RE/g로 발효 24시간이 가장 높았다. DPPH 및ABTS radical 소거 활성, 환원력 모두 발효 24시간이 가장 높았다. α-Glucosidase와 α-amylase 저해 활성의 결과, 발효 24시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찔레나무 열매를 젖산 발효하면 발효전보다 생리 활성이 높아짐을 확인하였고, 특히 24시간 발효할 경우 활성이 가장 높아 향후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 활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Fermentation of purple Jerusalem artichoke extract to improve the α-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in vitro and ameliorate blood glucose in db/db mice

  • Wang, Zhiqiang;Hwang, Seung Hwan;Lee, Sun Youb;Lim, Soon S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0권3호
    • /
    • pp.282-287
    • /
    • 2016
  • BACKGROUND/OBJECTIVES: Jerusalem artichoke has inhibitory activity against ${\alpha}$-glucosidase and decreases fasting serum glucose levels, which may be related to its fructan content. The biological activity of fructan can be influenced by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Thus, in this study, the inhibitory effects of original and fermented purple Jerusalem artichoke (PJA) on ${\alpha}$-glucosidase were compared in vitro. Additionally, the anti-diabetes effect of Lactobacillus plantarum-fermented PJA (LJA) was studied in a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animal model (C57BIKsJ db/db). MATERIALS/METHODS: The water extract of PJA was fermented by L. plantarum, and two strains of Bacillus subtilis to compare their anti-${\alpha}$-glucosidase activities in vitro by ${\alpha}$-glucosidase assays. The anti-diabetes effect of LJA was studied in a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animal model (C57BIKsJ db/db) for seven weeks. During the experiment, food intake, body weight, and fasting blood glucose were measured every week. At the end of the treatment period, several diabetic parameters and the intestinal ${\alpha}$-glucosidase activity were measured. RESULTS: The LJA showed the highest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in vitro. In the in vivo study, it resulted in a significantly lower blood glucose concentration than the control. Serum insulin and HDL cholesterol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and the concentrations of triglycerides, non-esterified fatty acids, and total cholesterol were significant lower in mice treated with LJA after seven weeks. In addition, the intestinal ${\alpha}$-glucosidase activity was partially inhibited.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LJA regulates blood glucose and has potential use as a dietary supplement.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Saponins Isolated from Vernonia gratiosa Hance

  • Pham Van Cong;Hoang Le Tuan Anh;Le Ba Vinh;Yoo Kyong Han;Nguyen Quang Trung;Bui Quang Minh;Ngo Viet Duc;Tran Minh Ngoc;Nguyen Thi Thu Hien;Hoang Duc Manh;Le Thi Lien;Ki Yong Le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6호
    • /
    • pp.797-805
    • /
    • 2023
  • Species belonging to the Vernonia (Asteraceae), the largest genus in the tribe Vernonieae (consisting of about 1,000 species), are widely used in food and medicine. These plants are rich sources of bioactive sesquiterpene lactones and steroid saponins, likely including many as yet undiscovered chemical components. A phytochemical investigation resulted in the separation of three new stigmastane-type steroidal saponins (1 - 3), designated as vernogratiosides A-C, from whole plants of V. gratiosa. Their structures were elucidated based on infrared spectroscopy (IR), one-dimensional (1D) and two-dimensional nuclear magnetic resonance (2D NMR), high-resolution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HR-ESI-MS), and electronic circular dichroism analyses (ECD), as well as chemical reactivity. Molecular docking analysis of representative saponins with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was performed. Additionally, the intended substances were tested for their ability to inhibit α-glucosidase activity in a laboratory setting. The results suggested that stigmastane-type steroidal saponins from V. gratiosa are promising candidate antidiabetic agents.

α-Glucosidase inhibitory caged xanthones from the resin of Garcinia hanburyi

  • Jin, Young Min;Kim, Jeong Yoon;Lee, Soo Min;Tan, Xue Fei;Park, Ki Hu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1호
    • /
    • pp.81-86
    • /
    • 2019
  • A yellow resin (gamboge) from Garcinia hanburyi has been widely used as folk medicine due to its antibacterial and antitumor activities. We isolated four ${\alpha}$-glucosidase inhibitory compounds from the methanol extract of gamboge. The compounds (1-4) were identified as gambogoic acid (1), moreollic acid (2), gambogic acid (3), and 10-methoxygambogenic acid (4), respectively through spectroscopic data including 2D-NMR and HREIMS. All compounds were examined in the enzyme inhibition assay against ${\alpha}$-glucosidase to identify their inhibitory potencies and kinetic behavior. All compounds (1-4) showed enzyme inhibition against ${\alpha}$-glucosidase, but the activity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methoxy group on C-10 of ring A and pentenyl pyran moiety of ring D. For example, compound 1 ($IC_{50}=41.4{\mu}M$) bearing pyran ring eight times effective that 4 ($IC_{50}=350.6{\mu}M$) having geranyl group itself. Most active compound was found out to be gambogoic acid (1) which was analyzed most abundant metabolite in gamboge by LC-ESI-MS/MS. In kinetic study, compounds 1 and 2 were proved as noncompetitive inhibitors.

오미자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아질산 소거능 및 α-Glucosidase 저해 효과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ing Activity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of Water Extract from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 조혜은;최영주;조은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81-486
    • /
    • 2010
  • 오미자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DPPH radical 소거능과 SOD 유사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DPPH법을 통해 측정한 오미자 열수 추출물의 radical 소거능은 2.5 mg/mL에서 49.0%로 나타났으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SOD 유사활성은 5 mg/mL 농도에서 69.2%로 비교적 높은 SOD 유사활성을 보였다. 통풍과도 관련이 있는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측정 실험에서는 오미자 열수 추출물 1mg/mL에서 88.8%의 높은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오미자 열수 추출물의 혈당 강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alpha$-glucosidase 활성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1 mg/mL의 농도에서 86.2%의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냈다.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실험에서는 오미자 열수 추출물 1mg/mL의 경우 pH 1.2와 3.0에서는 각각 54%와 42%, pH 6.0에서는 34%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오미자 열수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효과, xanthine oxidase 저해효과, 혈당강하 효과 및 아질산염 소거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