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α-glucosidase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33초

강원도 자생 산채 추출물의 α-Amylase, α-Glucosidase, Lipase 효소 저해활성 탐색 (Screening of α-Amylase, α-Glucosidase and Lipase Inhibitory Activity with Gangwon-do Wild Plants Extracts)

  • 김희연;임상현;박유화;함헌주;이광재;박동식;김경희;김성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308-315
    • /
    • 2011
  • 연구는 강원도 자생 산채류의 다양한 약리 기능 중 ${\alpha}$-glucosidase, ${\alpha}$-amylase, lipase 효소 저해활성이 우수한 식물소재를 탐색하는데 있다. 강원도 양구, 평창, 태백에서 자생하고 있는 산채 90종을 채집하여 물과 에탄올로 각각 추출하였다. 항비만 활성 탐색은 ${\alpha}$-amylase, ${\alpha}$-glucosidase, lipase 저해활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산채 90종 중 ${\alpha}$-amylase 활성 저해능이 높은 식물로 에탄올 추출물 3종, 물추출물 2종, ${\alpha}$-glucosidase 활성 저해능이 높은 식물로 에탄올 추출물 13종, 물 추출물 3종, lipase 활성 저해능이 높은 식물로 에탄올 추출물 7종, 물 추출물 1종이 선발되었다. 향후 본 연구결과는 비만과 당뇨 등 대사성 질환에 대해 예방 혹은 치료 효과가 있는 기능성식품으로 개발하는데 있어 좋은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여주씨에서 분리한 Vicine과 α-Eleostearic Acid의 α-glucosidase 저해효과 (α-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of Vicine and α-Eleostearic Acid from the Seeds of Momordica charantia)

  • 육흥주;노건민;최정숙;권오경;홍수영;강상수;조계만;박동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7-63
    • /
    • 2015
  • 최근 들어 여주의 혈당개선의 약리학적 효능이 보고됨에 따라 기능성 채소로 각광받고 있다. 주로 여주 과실만이 식용으로 쓰이지만 여주씨 또한 다양한 가공과정을 거칠 경우(건여주 혹은 건조분말, 환, 엑기스 등) 필연적으로 함께 섭취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과실이외의 특히, 연구결과가 미비한 여주씨에 대해 생리활성물질의 구명 및 혈당개선의 효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다양한 추출물 및 단일 활성성분의 혈당개선 in vitro검증법인 ${\alpha}$-glucosidase에 대한 저해효과를 측정하였고, 활성을 나타내는 추출물 또는 활성성분과의 상관관계를 구명하였다. 구체적으로는 95% 에탄올 추출물 및 비극성 용매 등에 다량 추출되는 생리활성물질인 ${\alpha}$-eleostearic acid는 우수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IC_{50}=43.4{\mu}g/mL$). 또한 효소저해제의 함량을 HPLC를 통한 정량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여주씨에 함유된 기능성성분의 혈당개선 식 의약 소재로의 응용가능성을 연구하였다.

화살나무(Euonymus alatus)로 부터 α-glucosidase 저해 물질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α-glucosidase Inhibitors from Euonymus alatus)

  • 김신덕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11-315
    • /
    • 2017
  • 화살나무 가지로부터 activity based fractionation에 의해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 물질 compound 1-4을 분리하였고, $^1H$ NMR, $^{13}C$ NMR, $^1H-^1H$ COSY와 HMBC 등의 spectral data에 의해 구조를 결정하였다. Compound 1-4는 모두 flavonol 물질로 ${\alpha}$-glucosidase에 대해 $IC_{50}$ 값이 각각 25.3, 17.1, 47.3과 $35.1{\mu}M$로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acarbose 보다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화살나무의 혈당 저하 기능의 유효성분으로 처음 동정된 Compound 1-4는 ${\alpha}$-glucosidase에만 특이적 활성을 갖는 물질로 당뇨병 치료제로의 개발 가능성이 높은 물질로 사료된다.

야생버섯 메탄올추출물의 혈전용해 활성과 α-Glucosidase 저해 활성 (Fibrinolytic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Wild Mushroom Methanol Extracts)

  • 김준호;이은진;석순자
    • 한국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28-132
    • /
    • 2007
  • 오대산에 자생하는 야생버섯 60종의 메탄올추출물을 이용하여 혈관계 질환과 당뇨병의 치료에 효과 있는 버섯을 확인하기위해, 혈전용해 활성과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을 확인한 결과 11종의 버섯이 혈전용해 활성을 나타냈고, 6종의 버섯이 50% 이상의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을 나타냈다. 뽕나무버섯류가 4.2 plasmin units의 가장 큰 혈전용해 활성을 나타냈으며, 독우산광대버섯, 미치광이 버섯류, 민자주방망이버섯이 2.3 plasmin units, 애괄대버섯은 2.1 plasmin units, 흰보라끈적버섯은 2.0 plasmin units 의 높은 혈전용해 활성을 나타냈다.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 측정결과 노란다발버섯이 98.5%의 가장 큰 저해 활성을 나타냈고 비단그물버섯과 점마개버섯도 60% 이상의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뽕나무벗섯류와 노란다발버섯은 혈관계질환 치료용 의약이나 기능성 식품으로 개발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Euglena gracilis 추출물의 면역조절 및 생리활성 분석 (Immunomodulatory Effects of Euglena gracilis Extracts)

  • 유선녕;박보배;김지원;황유림;김상헌;김선아;이태호;안순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83-19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compound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Euglena gracilis를 hot water로 추출하고(HWE), 그 잔존물을 methanol로 추출(HWME)한 후,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에 처리하여 면역활성을 측정하였다.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에서 HWE 처리로 IL-1β와 TNF-α가 농도의존적으로 증가되었고, lipopolysaccharide에 의해 유도되는 IL-6와 TNF-α 생성이 HWME 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α-glucosidase,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PTP1B), tyrosinase, xanthine oxidase (XO),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등에 대한 저해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E. gracilis HWE 추출물에서는 α-glucosidase, tyrosinase, ACE에서 약한 억제 활성을 보였으나, HWME 추출물에서는 PTP1B와 XO에서 유의적인 억제활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E. gracilis 추출물의 면역조절 활성 뿐 만 아니라 당뇨와 심혈관 질환에 대한 유의적인 억제활성을 통해 다양한 건강기능성 식품의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HepG2 세포에서 아마란스 종자 에탄올 추출물이 포도당 흡수 조절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maranth seed extracts on glycemic control in HepG2 cells)

  • 박소진;박종군;황은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4권6호
    • /
    • pp.603-617
    • /
    • 2021
  • 혈당 조절에 유익한 천연 식품을 발굴하고 그 효과를 밝혀보고자 본 연구에서는 아마란스 종자에 주목하여 몇 가지 혈당조절 연관 지표의 증감 정도를 알아보았다. 아마란스 종자의 색과 발아 여부에 따라 효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발아 흑색 아마란스는 germinated black amaranth (GBA), 비발아 흑색 아마란스는 black amaranth (BA), 발아 황색 아마란스는 germinated yellow amaranth (GYA), 비발아 황색 아마란스는 yellow amaranth (YA)로 구분하였고 각각의 시료는 80% 에탄올 추출물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α-amylase 및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GBA, BA, GYA, YA 순으로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α-amylase 저해 활성 실험에서 GBA는 양성 대조물질인 acarbose와 거의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어 높은 저해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HepG2 세포에서 포도당 흡수를 측정한 결과 모든 추출물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GBA > BA > GYA > YA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50 ㎍/mL 농도에서 GBA는 인슐린과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GBA를 농도별로 처리한 HepG2 세포에서 ACC, GLUT-2, GLUT-4, IRS-1, IRS-2 mRNA 발현 정도는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아마란스 종자는 혈당 조절 및 개선에 효능이 있다고 평가되며 특히 발아한 흑색 종자가 혈당 조절 효능이 높게 나타남을 보여 혈당 조절에 유익한 효능을 가지는 식품 소재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충북산 산채 4종(배암차즈기, 일당귀, 명월초 및 삼백초)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Nutritional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4 Wild Vegetables (Salvia plebeia R. Br, Angelica acutiloba, Gynura procumbens and Saururus chinensis Baill) Cultivated in Chungbuk Province)

  • 엄현주;정유영;권누리;김기현;연은솔;윤향식;류용재;김인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98-406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d on the nutritional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four wild vegetables namely Salvia plebeia R. Br., Angelica acutiloba, Gynura procumbens and Saururus chinensis Baill for the development of representative wild vegetables in Chungbuk. Salvia plebeia possessed the highes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beta-carotene, but exhibited the lowest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compared to the other three vegetables. Angelica acutiloba showed high crude protein content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but contained low total polyphenol content,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beta-carotene compared to the other three vegetables. Gynura procumbens showed high mineral content, beta-carotene, vitamin K1 content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but showed the lowest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radical scavenging ability compared to the other three vegetables. Saururus chinensis showed high crude fiber content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but contained the lowest mineral and vitamin K1 content. To conclude, it is suggested to use Salvia plebeia or Saururus chinensis as antioxidant food materials and Angelica acutiloba and Gynura procumbens as food materials and sources of α-glucosidase inhibitors. In particular, it is believed that Saururus chinensis, which possessed high content of crude fiber, is suitable for low-calorie food materials such as diet products.

Antidiabetic Effect of Standardized Chrysanthemum rubellum Hydroethanolic Extract by Targeting α-Glucosidase and the PTP-1B Signaling Pathway for Alleviating Diabetes in Experimental Model

  • Bichitrananda Tripathy;Nityananda Sahoo;Sudhir Kumar Sahoo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19-326
    • /
    • 2023
  • Objectives: The study's goal was to find out whether Chrysanthemum rubellum extract has anti-diabetic properties by concentrating on α-glucosidase and the PTP-1B signaling pathway. C. rubellum flowers were used for extraction using Methanol/water (80/20) as solvent. Methods: LC-MS techniques was used to check the presence of phytoconstituents present in C. rubellum extract. In vitro antidiabetic activity was evaluated using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and PTP-1B signaling pathway. On Streptozotocin (STZ)-induced rats with diabetes, the in vivo antidiabetic efficacy was assessed using a test for oral glucose tolerance. Results: The phytoconstituents identified in the extract of C. rubellum were apigenin, diosmin, myricetin, luteolin, luteolin-7-glucoside, and Quercitrin as compound 1-6, respectively. Results showed that diosmin exhibited highest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i.e. 90.39%. The protein level of PTP-1B was lowered and the insulin signalling activity was directly increased by compounds 1-6. The maximum blood glucose levels were seen in all groups' OGTT findings at 30 minutes following glucose delivery, followed by gradual drops.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the extract's glucose levels were 141 mg/dL at 30 minutes before falling to 104 mg/dL after 120 minutes. The current study has demonstrated, in summary, that extract with phytoconstituents reduce blood sugar levels in rats. Conclusion: This finding suggests that extract may reduce the chance of insulin resistance and shield against disorders like hyperglycemia.

사상체질 약물의 항당뇨효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Inhibitory Activity of Sasang Medicines on Diabetes)

  • 이영옥;정성일;조훈석;김정인;임화재;김정상;김종원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962-96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inhibitory activity of Sasang medicines on diabetes. Reduce 36 kind of medicines to powder, abstract add 100 times methanol. Examine inhibitory activity on α-amylase and α-glucosidase in vitro. Thirty six oriental herbs were screened for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carbohydrate digesting enzymes in vitro. Methanol extract of Pleuropterus multiflorus Turez, Ephedra sinica, Moutan cortex Radicis, Magnolia obovata, Alpinia officinarum, Amomi Semen, Rubus coreanus, and Cinnamomi cortex inhibited yeast α-glucosidase activity and extract of Moutan cortex Radicis and Rubus coreanus inhibited porcine α-amylase activity by more 50%. Rubus coreanus showed the strongest inhibition against both α-glucosidase and α-amylase. Therefore, Rubus coreanus was the most effective medicice of 36 kind of medicines.

패션프루트 부위별 추출물의 in vitro 항산화와 α-amylase 및 α-glucosidase 저해 활성 (The in vitro antioxidant, α-amylase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bility of different parts of passion fruit (Passiflora edulis) extract)

  • 전주영;김명현;한영실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5권4호
    • /
    • pp.261-267
    • /
    • 2022
  • 본 연구는 패션프루트 껍질, 과육, 씨의 다양한 기능성과 식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패션프루트 부위별 일반성분, 무기질 등의 영양성분과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등의 항산화 활성, α-glucosidase 와 α-amylase 저해 활성 등을 측정하였다. 패션프루트 부위별 일반성분을 측정한 결과 수분 4.78-8.20%, 탄수화물 68.33-73.23% 단백질 8.78-13.63%, 지방 1.19-11.60%, 회분 1.51-8.80%이었다. 패션프루트 부위별 무기질 함량은 껍질에서 K, Ca, Na, Fe이 높게 나타났고 과육에서는 P, Mg이 높게 나타났다. 패션프루트 부위별 항산화 활성을 분석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껍질 17.57 mg GAE/g, 과육 3.41 mg GAE/g, 씨 116.99 mg GAE/g이었고, 총 플라보노이드는 껍질 6.28 mg RE/g, 과육 0.17 mg RE/g, 씨 21.34 mg RE/g이었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IC50)은 껍질 124.67 ㎍/mL, 과육 1597.74 ㎍/mL, 씨 28.15 ㎍/mL로 나타났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IC50)은 껍질 579.74 ㎍/mL, 과육 4126.29 ㎍/mL, 씨 83.00 ㎍/mL로 나타났다. 패션프루트의 씨, 껍질, 과육 순으로 항산화 활성이 좋게 나타났으며, 특히 씨가 높은 활성을 보였다. α-Glucosidase 저해 활성(IC50)은 껍질 5.59 mg/mL, 과육 3.80 mg/mL, 씨 0.06 mg/mL이었고 α-amylase 저해 활성(IC50)은 껍질 63.16 mg/mL, 과육 31.90 mg/mL, 씨 1.02 mg/mL로 나타나 씨가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기능성이 확인된 패션프루트의 과육과 부산물인 껍질과 씨는 버려지는 자원으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으며, 기능성이 향상된 식품으로서 발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과일 부산물의 활용은 환경 친화적인 면에서도 다양한 개발과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