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_{max}$

검색결과 1,112건 처리시간 0.033초

강원도 중왕산 지역 다릅나무 임분의 입지 환경과 생장 특성 (Site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Maackia amurensis Rupr. et Max. Stand at Mt. Joongwang, Gangwon Province, Korea)

  • 이돈구;권기철;김영수;엄태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4호
    • /
    • pp.443-452
    • /
    • 2006
  • 다릅나무 임분의 입지 환경과 해발고에 따른 생장량을 비교하기 위해 강원도 평창군 중왕산에서 $30m{\times}30m$ 크기의 조사구 28곳을 선정해서 식생 및 입지 환경 특성을 조사했다. 또한 해발고가 약 100 m 간격으로 있는 5곳의 조사구에서 각 2그루씩 다릅나무를 선발해서 수간석해했다. 다릅나무는 주로 해발 790~1,170 m 사이의 북향의 능선 또는 사면에서 출현했다. 다릅나무의 입지는 A층 깊이가 평균 21.2 cm로 깊고, A층 수분 함량은 35.6%로 높은 편이며, 토양 비옥도가 낮은 지역이었다. 다릅나무와 함께 중요치가 높은 수종은 신감나무, 물푸레나무, 당단풍나무, 고로쇠나무, 느릅나무, 피나무, 사사나무 등이었다. 중왕산 지역의 다릅나무림은 TWINSPAN에 의해 다릅나무-사시나무 군락, 다릅나무-느릅나무 군락(이상 건조형), 다릅나무-피나무 군락, 다릅나무-쪽동백나무 군락(이상 습윤형)으로 나누어졌다. 군락유형별 ha당 개체수는 습윤형 군락이 건조형 군락보다 많았다. 한편, 다릅나무의 연간 수고 생장량은 10년까지 급격한 증가를 보이다가 점차 감소했으며, 초기 수고 생장이 빨라 초기 침입수종의 생장전략을 보여줬다. 또한 다릅나무는 수령 40년 이상에서도 주변목의 고사로 경쟁이 완화되면 재적 생장량이 크게 증가하는 특성을 보였으며, 수령 50년 이후 경제성 있게 수확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됐다.

In vivo comparison of Lu-177-labeled phosphonate compounds as potential agents for bone pain palliation in rodents

  • Chang, Young Soo;Lee, Yun-Sang;Kim, Young Ju;Jeong, Jae Min
    • 대한방사성의약품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3-61
    • /
    • 2015
  • Lutetium-177 ($T_{1/2}=6.71day$) is an adequate radionuclide for therapy, which has both beta emission ($E_{max}=497keV$) for therapeutic effect and gamma emission (113 and 208 keV) for imaging. $^{177}Lu$ labeled ethylenediamine-N,N,N',N'-tetrakis (methylene phosphonic acid) (EDTMP) and 1,4,7,10-tetraazacyclododecane-1,4,7,10-tetraaminomethylenephosphonate (DOTMP) have been proposed as radiopharmaceuticals for bone pain palliation. In this study, we compared radiochemistry and biodistribution of $^{177}Lu$-EDTMP and $^{177}Lu$-DOTMP. EDTMP and DOTMP were synthesized, and 1 mg of each was labeled with $^{177}Lu$ at pH 7~8 with high efficiency (>98%). For comparative biodistribution studies, $^{177}Lu$-EDTMP or $^{177}Lu$-DOTMP were injected into ICR-mice through tail vein, and then biodistribution data were obtained as percentages of injected dose per gram of tissue (% ID/g). Urine excretions of both agents in mice were checked for 7 days. Rat images were also obtained after injection of $^{177}Lu$-EDTMP or $^{177}Lu$-DOTMP. $^{177}Lu$-DOTMP (100% at 1 min) showed faster labeling than $^{177}Lu$-EDTMP (100% at 30 min). Both of them were stable at least for 21 days at room temperature. High bone uptakes were found for both $^{177}Lu$-EDTMP and $^{177}Lu$-DOTMP: 38.0 and 34.1% ID/g at 3 hr, respectively; and 33.2 and 18.8% ID/g at 7 day, respectively. Rapid excretions to urine were found for both agents ($^{177}Lu$-EDTMP: 56%, $^{177}Lu$-DOTMP: 63% at 1 day). Other organs showed very low uptakes. Rat images of both $^{177}Lu$-EDTMP and $^{177}Lu$-DOTMP showed high bone uptakes and low soft tissue uptakes. In conclusion, both $^{177}Lu$-EDTMP and $^{177}Lu$-DOTMP showed high potential as bone pain palliation agents. $^{177}Lu$-EDTMP showed higher bone uptake and slower bone clearance in mice than those of $^{177}Lu$-DOTMP.

제초제(除草劑) bensulfuron과 imazaquin에 대한 1, 8-naphthalic anhydride(NA)의 옥수수와 콩에 대한 약해경감작용기구(藥害輕減作用機構) (Safening Mode of Action of 1, 8-Naphthalic Anhydride on Corn and Soybean Against Herbicide Bensulfuron and Imazaquin)

  • 황인택;최정섭;김진석;조광연;전재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8-15
    • /
    • 1994
  • 1. NA의 bensulfuron 및 imazaquino에 대한 약해경감효과(藥害輕減效果)는 옥수수에 대해서 약해경감효과지수(藥害輕減效果指數)가 각각 10.2, 5.0이였으나, 콩에 대해서는 두 약제(藥劑) 모두 약해경감효과지수(藥害輕減效果指數)가 1.3 정도(程度)로서 미약(微弱)한 효과(效果)를 보여 주었다. 2. 옥수수와 콩에 있어서 NA 처리시(處理時) 내생(內生) GST가 각가(各各) 1.8배(倍), 1.3배(倍) 증가(增加) 되었으나, 증가(增加)된 GST가 관여(關與)하는 GSH-CDNB conjugation 반응(反應)에 대한 bensulfuron 및 imazaquin의 억제활성(柳制活性)은 나타나지 않았다. 3. NA 처리시(處理時) 옥수수에서만 ALS가 증가(增加)되었고, 유출(抽出)된 ALS에 대한 bensulfuron 및 imazaquin의 억제활성(抑制活性)은 낮은 농도(濃度)에서는 차이(差異)를 보였으나, 높은 농도(濃度)에서는 NA처리(處理) 유무에 관계(關係)없이 동일(同一)한, 경향(傾向)이었다. 콩에서는 ALS의 증가(增加)도 없었고, 두 약제(藥劑)의 억제활성(抑制活性)도 NA 처리(處理)에 관계(關係)없이 동일(同一)하였다. 4. NA 처리시(處理時) 옥수수에서는 ACCase가 3.2배(倍) 증가(曾加)되었으나, 콩에서는 거의 증가(增加)가 없었고, 효소작용(酵素作用)에 대한 두 제초제(除草劑)의 영향(影響)은 아주 미약(微弱)하였다.

  • PDF

고로쇠 및 거제수나무 수액 간장의 이화학적 분석 및 관능 평가 (Physicochemical Analysis and Sensory Evaluation of Fermented Soy Sauce from Gorosoe(Acer mono Max.) and Kojesu(Betula costata T.) Saps)

  • 최선영;성낙주;김행자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18-326
    • /
    • 2006
  • 기능성이 보완된 고품질의 간장을 제조하기 위하여 기존의 간장 담금용 용수 대신에 고로쇠 및 거제수나무 수액을 이용하여 간장을 담근 후 120일간 숙성시키면서 간장의 맛과 기능성과 관련이 있는 화학 성분을 분석하였다. 간장 숙성 중 유리당을 분석한 결과 대조군에서는 3종의 유리당(fructose, glucose 및 galactose), 수액 간장에서는 상기 유리당 외에 sucrose가 검출되었다. 간장의 숙성 중 유리당은 불규칙한 함량 변화를 보였으나, 숙성 기간 중 모든 시료군에서 galactose의 함량이 월등히 높았다. 유기산은 butyric acid의 함량이 월등히 높았으며 반면에 fumaric acid는 미량에 분과하였다. 무기물은 모든 시료군에서 K와 P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수액 간장에서 대조군에 비해 Ca, Mg및 Fe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간장 숙성 중 아미노산은 총 15종이 검출되었으며, glutamic acid의 함량(185.6${\pm}$1.0${\sim}$363.0${\pm}$2.7 mg/100 ml)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aspartic acid, lysine 및 leucine의 순이었으며, proline과 arginine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핵산 관련 물질은 대조군과 시료군 모두 숙성 기간에 관계없이 AMP의 함량(7.5${\pm}$0.2 ${\mu}$mol/100 ml이상)이 가장 높았으며, 반면에 inosine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관능검사 결과 고로쇠 수액 간장, 거제수 수액 간장 및 대조군의 순으로 맛이나 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황백(Phellodendri Cortex)으로부터 분리한 지방세포 분화 저해물질 (Adipocyte Differentiation Inhibitor Isolated from the Barks of Phellodendron amurense)

  • 김경희;안순철;이명선;권오송;오원근;김민수;손천배;안종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03-509
    • /
    • 2003
  • 비만 저해 물질을 탐색하고자 전통의학에서 사용되는 200여 종류의 식용 또는 약용식물을 대상으로 지방세포 분화저해활성을 보이는 생약식물을 선별하여 용매층으로 활성이 이행되는 생약 중 황백(Phellodendri Cortex)을 최종적으로 후보식물로 선정하였다. 황백을 메탄올로 추출한 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ODS RP-18 column chromatography, HPLC 등을 수행하여 지방세포 분화 저해활성을 갖는 화합물 PC-4를 분리하였다. PC-4는 노란색의 분말형태로 메탄올을 용매로 UV 최대흡수치를 조사한 결과, 222, 265, 349, 429 nm에서 최대의 UV의 흡수치를 보였으며 산이나 알카리 조건에서 최대 흡수치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EI-mass spectrum을 측정한 결과, 분자량이 336.1로 예상되었으며 $^1H-NMR,\;^{13}C-NMR,\;DEPT,\;^1H-^1H\;COSY$, HMQC, HMBC NMR spectrum을 통해, PC-4는 isoquionoline alkaloide계열의 berberine으로 동정되었다. PC-4는 지방의 대사에 관여하는 중요한 효소인 fatty acid synthase와 pancreatic lipase에 대한 저해활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지방세포 분화 저해활성은 $1\;{\mu}g/mL$의 낮은 농도에서도 관찰되었다.

Effect of Solubilizing and Microemulsifying Excipients in Polyethylene Glycol 6000 Solid Dispersion on Enhanced Dissolution and Bioavailability of Ketoconazole

  • Heo, Min-Young;Piao, Zong-Zhu;Kim, Tae-Wan;Cao, Qing-Ri;Kim, Ae-Ra;Lee, Beom-Ji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8권5호
    • /
    • pp.604-611
    • /
    • 2005
  • Polyethylene glycol (PEG) 6000-based solid dispersions (SDs), by incorporating various pharmaceutical excipients or microemulsion systems, were prepared using a fusion method, t o compare the dissolution rates and bioavailabilities in rats. The amorphous structure of the drug in SDs was also characterized by powder X-ray diffractometry (XRD) an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The ketoconazole (KT), as an antifungal agent, was selected as a model drug. The dissolution rate of KT increased when solubilizing excipients were incorporated into the PEG-based SDs. When hydrophilic and lipophilic excipients were combined and incorporated into PEG-based SDs, a remarkable enhancement of the dissolution rate was observed. The PEG-based SDs, incorporating a self microemulsifying drug delivery system (SMEDDS) or microemulsion (ME), were also useful at improving the dissolution rate by forming a microemulsion or dispersible particles within the aqueous medium. However, due to the limited solubilization capacity, these PEG-based SDs showed dissolution rates, below 50% in this study, under sink conditions. The PEG-based SD, with no pharmaceutical excipients incorporated, increased the maximum plasma concentration (C$_{max}$) and area under the plasma concentration curve (AUC$_{0-6h}$) two-fold compared to the drug only. The bioavailability was more pronounced in the cases of solubilizing and microemulsifying PEG-based SDs. The thermograms of the PEG-based SDs showed the characteristic peak of the carrier matrix around 60$^{\circ}C$, without a drug peak, indicating that the drug had changed into an amorphous structure. The diffraction pattern of the pure drug showed the drug to be highly crystalline in nature, as indicated by numerous distinctive peaks. The lack of the numerous distinctive peaks of the drug in the PEG-based SDs demonstrated that a high concentration of the drug molecules was dissolved in the solid-state carrier matrix of the amorphous structure. The utilization of oils, fatty acid and surfactant, or their mixtures, in PEG-based SD could be a useful tool to enhance the dissolution and bioavailability of poorly water-soluble drugs by forming solubilizing and microemulsifying systems when exposed to gastrointestinal fluid.

더러브렛 경주마에서 혈청 젖산농도 측정에 의한 표준운동능력검사의 적용 (Application of a standardized exercise test by measuring serum lactate concentration in Thoroughbred racehorses)

  • 문규환;김준규;김병선;엄영호;양일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1081-1090
    • /
    • 1999
  • To establish the protocol of a standardized exercise test for evaluating exercise intolerance and degree of fitness in Thoroughbred racehorses, we examined serum lactate concentrations related to exercise intensities using the high speed treadmill. Twelve clinically healthy Thoroughbred racehorses with or without previous training or racing history were assigned to two gorups, fit and unfit group, respectively. The protocol used for the standardized exercise test was consisted of two stages : stage of warm-up and that of acceleration. During the warm-up, the horses exercised 5 min at 1.8m/s and 3 min 3.4m/s without inclination. At the acceleration stage, exercise test was performed at 10% slope and the speed was increased from the initial 5m/s to the maximal speed which each tested horse could keep up with. The speed was increased with incremental steps of 1 m/s every minute. During the last 15 sec of each step,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or serum lactate determination. $V_{max}$(maximal treadmill speed which tested horses could keep up with) of the fit group ($10.93{\pm}0.33m/s$, mean${\pm}$SE, n = 6) was higher than that of the unfit group ($9.52{\pm}0.23m/s$, mean${\pm}$SE, n = 6). Serum lactate concentrations increased exponentially according to exercise intensities. $V_{La4}$(speed producing a serum lactate concentration of 4mmol/l) of the fit group, $6.45{\pm}0.26m/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unfit group, $5.45{\pm}0.23m/s$. $La_{peak}$(peak plasma lactate concentration during the exercise test) was lower in the fit group ($20.34{\pm}1.62mmol/l$ at 1 min after maximal intensity exercise) than in the unfit group ($24.78{\pm}1.09mmol/l$ at 2 min after maximal exercise step). $t_{50%}$(time required for the recovery of lactate concentration to be one-half of $La_{peak}$ after maximal exercise) of the unfit group and the fit group were 40.0 and 18.0 min, respectively. Therefore, the protocol of the incremental standardized exercise test utilized in this study seems to be reliable for the assessment of fitness and exercise intolerance for the Thoroughbred racehorses.

  • PDF

콩 생식생장단계별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Riptortus clavatus)흡즙에 의한 콩 종실 피해 (Soybean Seed Injury by the Bean Bug, Riptortus clavatus (Thunberg) (Hemiptera: Alydidae) at Reproductive Stage of Soybean (Glycine max Linnaeus))

  • 정진교;윤종탁;임대준;박종호;김욱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99-306
    • /
    • 2005
  • 콩 생식생장 단계별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를 접종하거나, 침으로 꼬투리를 치르는 인위적 가해를 통해 콩 종자 피해를 조사하였다. 착협기에 톱다리개미허리노리재 성충을 섭식시켰을 때, 빈 꼬투리와 종자로 전혀 발육하지 못한 판형종자의 생성비율이 종실비대성기에서의 가해보다 높은 것이 관찰되었다. 종실비대성기에 섭식시켰을 때는 종자모양은 거의 정상적이나 종피에 피해흔적이 뚜렷한 종자 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종자모양이 많이 변형되거나 불완전하게 성숙한 기형종자의 비율은 처리 사이에 차이가 없었고 다른 종자형태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착협시 피해에서 생성된 판 종자의 83%, 종실비대성기에 생성된 피해흔적이 있는 종자의 91%에서 종자 표면 위에 실험곤충의 빨대피막이 관찰되었다. 개화기 섭식은 피해종자 생성에 거의 영향을 주지않았다. 종실비대성기와 성숙기에 침을 이용하여 콩 꼬투리를 찔러 물리적인 가해를 하였을 때, 수확기에 건전한 종자들을 발견할 수 없었고, 피해gms적이 있는 종자의 비율이 기형종자 보다 많았다. 종실비대성기에 침으로 찌른 회수가 많은 경우 판형종자와 기형종자의 비율이 증가하였고, 피해흔적 종자 비율은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는데 무게감소 비율은 적게 찌른 경우 보다 상대적으로 켰다. 그러나 성숙기 인위적 가해에서는 수확종자의 무게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Design and Fabrication of the 0.1${\mu}{\textrm}{m}$ Г-Shaped Gate PHEMT`s for Millimeter-Waves

  • Lee, Seong-Dae;Kim, Sung-Chan;Lee, Bok-Hyoung;Sul, Woo-Suk;Lim, Byeong-Ok;Dan-An;Yoon, yong-soon;kim, Sam-Dong;Shin, Dong-Hoon;Rhee, Jin-koo
    • Journal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제1권1호
    • /
    • pp.73-77
    • /
    • 2001
  • We studied the fabrication of GaAs-based pseudomorphic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s(PHEMT`s) for the purpose of millimeter- wave applications. To fabricate the high performance GaAs-based PHEMT`s, we performed the simulation to analyze the designed epitaxial-structures. Each unit processes, such as 0.1 m$\mu$$\Gamma$-gate lithography, silicon nitride passivation and air-bridge process were developed to achieve high performance device characteristics. The DC characteristics of the PHEMT`s were measured at a 70 $\mu$m unit gate width of 2 gate fingers, and showed a good pinch-off property ($V_p$= -1.75 V) and a drain-source saturation current density ($I_{dss}$) of 450 mA/mm. Maximum extrinsic transconductance $(g_m)$ was 363.6 mS/mm at $V_{gs}$ = -0.7 V, $V_{ds}$ = 1.5 V, and $I_{ds}$ =0.5 $I_{dss}$. The RF measurements were performed in the frequency range of 1.0~50 GHz. For this measurement, the drain and gate voltage were 1.5 V and -0.7 V, respectively. At 50 GHz, 9.2 dB of maximum stable gain (MSG) and 3.2 dB of $S_{21}$ gain were obtained, respectively. A current gain cut-off frequency $(f_T)$ of 106 GHz and a maximum frequency of oscillation $(f_{max})$ of 160 GHz were achieved from the fabricated PHEMT\\`s of 0.1 m$\mu$ gate length.h.

  • PDF

저열량균형식, 운동 및 행동수정에 의한 비만여성의 치료에 관한 연구 (Treatment of Obese Women with Low Calorie Diet, Aerobic Exercise and Behavior Modificaiton)

  • 장경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10-516
    • /
    • 1995
  • 체지방이 30% 이상으로 비만이라 판정되는 20~62세의 지원자들에게 저열량 균형식, 무리하지 않은 유산소 운동 및 개인별 비만의 원인을 교정하고 평생체중을 조절하기 위한 영양상담과 교육을 포함한 행동수정을 통해 5주 동안 비만을 치료하고 성인병과 관련된 위험 요인들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활동량, 식습관, 식이섭취조사를 실시하여 개인별 비만의 원인을 진단한 후 잘못된 식생활을 교정할 수 있도록 주 3회의 영양상담과 매주 1회의 영양교육을 실시하였다. 식이요법은 1일 1끼의식사와 3회의 조제식이를 통해 열량이 1200kcal 정도가 되고, 양질의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은 성인 권장량의 100~150% 이상이 되도록 하였다. 식전에 식이섬유와 물을 복용하고 식사 기간은 20분 이상으로 천천히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투긴음식, 가공식품, 패스트 푸두, 술, 청량음료, 달고 기름진 음식, 짜고 자극적인 음식 등은 제한하였다. 주당 3~5일간 1시간 정도의 가벼운 유산소 체조를 실험대상자 저원이 모여서 실시하였다. 먹은 식품, 활동, 운동, 감정상태, 피로여부 등을 일지로서 기록하게 하여 삼담을 통해 교정하고 관찰하여 긍정적인 내적동기를 갖도록 교육하였다. 비만치료 기간 중 탈락한 수는 총 16명 중 5명 (31.3%)이었으며, 비만도는 대상자의 대부분이 경증이고, 불규칙적인 식사, 빨리 먹는 습관, 과식, 짜게 먹는 습관, 야식, 음주 등의 비만의 원인이 되는 습관들을 가지고 있어 식습관 점수는 개선이 요구된다고 진단되었다. 5주동안의 비만치료로 체중은 평균 4.8kg(주당 0.96kg)이 감량 되었으며, 체지방, body mass index, 허리, 팔, 둔부의 둘레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혈압, 공복시의 혈당, 혈액증의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은 변화가 없었으나, LDL-콜레스테롤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