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Maackia amurensis Rupr. et Max. Stand at Mt. Joongwang, Gangwon Province, Korea

강원도 중왕산 지역 다릅나무 임분의 입지 환경과 생장 특성

  • 이돈구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
  • 권기철 (국립산림과학원) ;
  • 김영수 (국립산림과학원) ;
  • 엄태원 (상지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산림과학과)
  • Received : 2006.05.29
  • Accepted : 2006.07.21
  • Published : 2006.12.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ite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Mackia amurensis stand in natural forest of Mt. Joongwang, Pyongchang-Gun, Gangwon-Do, Korea. The 28 sample plots ($30m{\times}30m$) were established to examine the vegetation and site characteristics for M. amurensis stand. Stem analysis was performed on two sample trees for each of the 5 plots situated at intervals of 100 m by altitude. M. amurensis trees were mainly distributed at the ridge and the slope facing north, with altitudes ranging from 790 to 1,170 m. The M. amurensis grew at relatively deep A-layer of soil with high moisture but infertile. Dominant species with M. amurensis were Quercus mongolica, Fraxinus rhynchophylla, Acer pseudo-sieboldianum, A. pictum subsp. mono,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Tilia amurensis, and Populus davidiana. TWINSPAN classified four communities in Mt. Joongwang area; M. amurensis-P. davidiana community (xeric type), M. amurensis-U. davidiana var. japonica community (xeric type), M. amurensis-T. amurensis community (moist type), and M. amurensis-Styrax obassia community (moist type). According to the community type, trees per ha were more abundant in the area of the moist types than the xeric types. Height growth of M. amurensis increased with increasing ages until 10 years, and then decreased thereafter, especially at altitude of 1,020m. M. amurensis showed rapid early growth of height and volume, indicating possible high biomass production under enough light. Growth of M. amurensis increased greatly at about 40 years if released from severe competitions. The rotation age of natural M. amurensis stand was expected for above 50 years.

다릅나무 임분의 입지 환경과 해발고에 따른 생장량을 비교하기 위해 강원도 평창군 중왕산에서 $30m{\times}30m$ 크기의 조사구 28곳을 선정해서 식생 및 입지 환경 특성을 조사했다. 또한 해발고가 약 100 m 간격으로 있는 5곳의 조사구에서 각 2그루씩 다릅나무를 선발해서 수간석해했다. 다릅나무는 주로 해발 790~1,170 m 사이의 북향의 능선 또는 사면에서 출현했다. 다릅나무의 입지는 A층 깊이가 평균 21.2 cm로 깊고, A층 수분 함량은 35.6%로 높은 편이며, 토양 비옥도가 낮은 지역이었다. 다릅나무와 함께 중요치가 높은 수종은 신감나무, 물푸레나무, 당단풍나무, 고로쇠나무, 느릅나무, 피나무, 사사나무 등이었다. 중왕산 지역의 다릅나무림은 TWINSPAN에 의해 다릅나무-사시나무 군락, 다릅나무-느릅나무 군락(이상 건조형), 다릅나무-피나무 군락, 다릅나무-쪽동백나무 군락(이상 습윤형)으로 나누어졌다. 군락유형별 ha당 개체수는 습윤형 군락이 건조형 군락보다 많았다. 한편, 다릅나무의 연간 수고 생장량은 10년까지 급격한 증가를 보이다가 점차 감소했으며, 초기 수고 생장이 빨라 초기 침입수종의 생장전략을 보여줬다. 또한 다릅나무는 수령 40년 이상에서도 주변목의 고사로 경쟁이 완화되면 재적 생장량이 크게 증가하는 특성을 보였으며, 수령 50년 이후 경제성 있게 수확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됐다.

Keywords

Acknowledgement

Grant : 환경친화적 조림기술과 지속가능한 산림관리 기술 개발 연구

Supported by : 동부지방산림관리청

References

  1. 권기철. 2006. 신갈나무림의 바이오매스, 탄소 고정량 및 에너지 고정 효율 -위도, 해발고, 사변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농학박사학위논문. 126pp.
  2. 엄태원, 이돈구. 2001. 강원도 평장군 가리왕산 및 중왕산 지역 층층나무의 입지 및 생장 특성. 한국임학회지 90(3): 363-372
  3. 엄태원, 이돈구. 2006. 강원도 중왕산 지역의 지형 특성에 따른 주요 활엽수종의 분포(I). 한국임학회지 95(1): 91-101
  4. 이돈구, 고영우, 윤종화, 권기원, 마상규, 김갑태, 김지홍, 김수인, 황재우, 신만용, 서민환, 주광영, 조재창, 김영수, 배상원, 함영철, 유형진, 권기현, 차동호, 최민일. 1993. 최적 환경 요인 및 입지 구명 연구. 국유림 경영 현대화 산학 협동 실연 연구(IV) 산림청 262pp
  5. 이돈구, 김영수, 김영환, 엄태원, 강호상, 여운상, 박영대. 1997. 최적 환경 요인 및 입지 구병 연구. 국유림 경영 현대화 산학 협동 실연 연구(VIII). 산림청. p. 97-137
  6. 이돈구, 엄태원, 천정화. 2004. 강원도 평창군 중왕산 지역 거제수나무의 입지 및 생장 특성. 한국임학회지 93(1) 86-94
  7. 이돈구, 엄태원, 천정화, 권기철, 최성호, 이용권. 1999. 최적 환경 요인 및 입지 구명 연구. 국유림 경영 현대화 산학 협동 실연 연구(X) 산림청. p. 83-155
  8. Bella, A.R., S. Catalano, L. Pistelli, and I. Morelli. 1993 Flavonoids from Pyracantha coccinea roots, Phyto-chemistry 33(6): 1449-1452 https://doi.org/10.1016/0031-9422(93)85108-4
  9. Curtis, J.T. and R.P. McIntosh. 1951. The interrelations ol certain analytic and synthetic phytosociological characters. Ecology 31: 434-455 https://doi.org/10.2307/1931497
  10. Hill, M.O. 1979. DECORANA A FORTRAN Prograrr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Ithaca, N.V. Cornell Univ. Press
  11. Host, G.E., K.S. Pregitzer, C.W. Ramm and J.B. Hart. 1987. Landform-Mediated Differences in Successional Pathways Among Upland Forest Ecosystem in Northwestern Lower Michigan. Forest Science 33: 445-447
  12. Kimmins, J.P. 1997. Forest Ecology (2nd ed.). Prentice Hall. New Jersey. 596 pp
  13. Kubota, V. and T. Hara. 1995. Tree competition and species coexistence in a sub-boreal forest, Northern Japan. Ann. Bot. 76: 503-512 https://doi.org/10.1006/anbo.1995.1126
  14. Oliver, C.D. and B.C. Larson. 1996. Forest Stand Dynamics. McGraw-Hill, Inc. New York. 520pp
  15. Rowe, J.S. 1984. Forestland classification: Limitations of the use of vegetation. Pages 276 in 1. Bockheim (ed). Forestland Classification: Experiences Problems Perspectives. Proc. Symp. Univ. of Wisconsin
  16. Runkle, J .R. 1982. Pattern of disturbance in some oldgrowth mesic forest of eastern North America. Ecol. 63: 1533-1546 https://doi.org/10.2307/1938878
  17. Spurr, S.H. and B.Y. Barnes. 1980. Forest Ecology, 3rd ed. John Wiley. New York. 687pp
  18. Ter Braak, C.J.F. 1987. CANOCO A FORTRAN program for canonical community ordination by [partial] [ detrende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principle components analysis and redundancy analysis (version 2.1). TNO Institute of Applied Computer Science, Statistics Department, Wageninger, The Netherlands. 95pp
  19. Tilman, D. 1986. Resource, Competition and the Dynamics of Plant Communities. Pages 51-76 in M.J. Cowley(ed). Plant Ecology. AP. N.V
  20. Yim, Y.J. 1977. Distribution of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Jap. J. Ecol. 27:177-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