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

검색결과 44,208건 처리시간 0.061초

국내시판 중인 색조화장품의 중금속 농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vy Metal Concentrations of Color Cosmetics in Korea Market)

  • 최채만;황영숙;박애숙;정삼주;김현정;김정헌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69-278
    • /
    • 2014
  • 2013년 1월에서 8월 사이에 전국에서 유통 중인 립스틱, 립글로스, 립밤, 파운데이션, 아이라이너 등 색조화장품 121개 제품에서 납, 카드뮴, 비소, 크롬, 안티몬, 니켈, 구리 및 코발트의 농도 측정과 국산 및 수입산, 유형별, 색상별로 비교함으로써 이와 관련된 분야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분석된 전체 색조화장품의 중금속 평균 농도는 납 $0.663{\mu}g/g$, 카드뮴 $0.010{\mu}g/g$, 비소 $0.056{\mu}g/g$, 크롬 $1.144{\mu}g/g$, 안티몬 $0.008{\mu}g/g$, 니켈 $0.405{\mu}g/g$, 구리 $0.319{\mu}g/g$ 및 코발트 $0.108{\mu}g/g$으로 측정되었다. 국산 및 수입산 색조화장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 < 0.05), 수입산이 크롬을 제외한 7개 금속에서 국산보다 높게 검출되었다. 색조화장품의 유형에 따른 중금속 농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 < 0.05), 립스틱에서 크롬 $1.430{\mu}g/g$, 납 $0.616{\mu}g/g$ 그리고 니켈 $0.385{\mu}g/g$이 파운데이션에서 납 $1.155{\mu}g/g$, 크롬 $1.023{\mu}g/g$이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아이라이너에서는 크롬 $1.424{\mu}g/g$, 니켈 $0.830{\mu}g/g$이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색조화장품의 색상별 중금속 농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 < 0.05), 갈색의 화장품은 크롬, 니켈과 구리가 높은 평균 농도를 보였고, 아이보리색의 화장품은 납과 크롬이 핑크색의 화장품은 크롬과 납이 높은 평균 농도를 나타내었다.

청주시 근교 미호천의 프탈레이트 정성적 특성 (The Qualiatative Characteristics of Phthalate in Miho Stream around Cheongju City)

  • 신진환;정영도;이열재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7호
    • /
    • pp.5-11
    • /
    • 2008
  • 본 연구는 청주시 인근의 미호천에서의 프탈레이트의 정성적 특성에 관한 것이다. 프탈레이트 중 DEHP와 DnBP가 가장 많이 사용되어 지고 있다. 미호천 상류와 하류에서 하천수에 함유된 DEHP의 농도는 각각 $12-18{\mu}g/{\ell}$, $11-21{\mu}g/{\ell}$이었다. 또한 이 지역의 퇴적물에서도 DEHP의 농도는 $0.07-0.82{\mu}g/g$(dry), $0.06-0.92{\mu}g/g$(dry), DnBP의 농도는 $0.04-0.25{\mu}g/g$(dry), $0.08-0.34{\mu}g/g$(dry)로 각각 조사 되었다. 공단지역으로부터 유입되는 작은 하천의 하천수에 함유된 DEHP와 DnBP의 농도는 각각 $13-28{\mu}g/{\ell}$, $2-8{\mu}g/{\ell}$이었으며, 퇴적물에서의 농도는 각각 $0.12-0.7{\mu}g/g$(dry), $0.17-2.16{\mu}g/g$(dry)이었다. 미호천과 미호천에 유입되고 있는 하수처리 방류수와 공단천의 프탈레이트 농도는 세계의 다른 지역보다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 PDF

Improving the drought tolerance in rice (Oryza sativa L.) by exogenous application of vanillic acid and p-hydroxybenzoic acid

  • Nguyen, Thanh Quan;Do, Tan Khang;Nguyen, Van Quan;Truong, Ngoc Minh;Tran, Dang Xua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8-38
    • /
    • 2017
  • Water stress obstructs rice growth mainly by oxidative damage in biological cells to cause a reduction of leaf photosynthesis and evapotranspiration processes. In this study, exogenous application of vanillic acid (VA) and p-hydroxybenzoic acid (PHBA) to improve drought tolerance of two Oryza sativa cultivars, Q2 and Q8 was tested. The drought evaluation based on leaf phenotypes to show that both Q2 and Q8 resulted in remarkable water-stress tolerance induced by leaf spraying pretreatment of mixed solution of $50{\mu}M\;VA+50{\mu}M\;PHBA$. The mixtures of $25{\mu}M\;VA+25{\mu}M\;PHBA$ and $50{\mu}M\;VA+50{\mu}M\;PHBA$ treated on Q2 and Q8 in water deficit condition also indicated that total phenols, total flavonoid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eir controls. In general, the accumulation of individual phenolic acids was increased in exogenous phenolic treatments, as compared with controls. Particularly, Q2 obtained a considerable amount of endogenous PHBA after application of $50{\mu}M\;VA$, $25{\mu}M\;VA+25{\mu}M\;PHBA$, and $50{\mu}M\;VA+50{\mu}M\;PHBA$ (0.18 mg/g DW, 0.71 mg/g DW, and 1.41 mg/g DW, respectively); and a negligible content of VA (0.003 mg/g DW) appeared uniquely in the treatment of $50{\mu}M\;VA$. Similarly, Q8 also absorbed a significant quantity of PHBA in $50{\mu}M\;PHBA$, $25{\mu}M\;VA+25{\mu}M\;PHBA$, and $50{\mu}M\;VA+50{\mu}M\;PHBA$ treatments (0.15 mg/g DW, 0.15 mg/g DW, and 0.22 mg/g DW,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spraying $50{\mu}M\;PHBA$ and $25{\mu}M\;VA+25{\mu}M\;PHBA$ on Q8 leaves induced similar amount of drought tolerance of Q2 and Q8 were improved, paralleled with the increased amounts of endogenous phenolics revealed that VA and PHBA played an important role to enhance drought tolerance in rice.

  • PDF

Improving the drought tolerance in rice (Oryza sativa L.) by exogenous application of vanillic acid and p-hydroxybenzoic acid

  • Nguyen, Thanh Quan;Do, Tan Khang;Nguyen, Van Quan;Truong, Ngoc Minh;Tran, Dang Xua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3-33
    • /
    • 2017
  • Water stress obstructs rice growth mainly by oxidative damage in biological cells to cause a reduction of leaf photosynthesis and evapotranspiration processes. In this study, exogenous application of vanillic acid (VA) and p-hydroxybenzoic acid (PHBA) to improve drought tolerance of two Oryza sativa cultivars, Q2 and Q8 was tested. The drought evaluation based on leaf phenotypes to show that both Q2 and Q8 resulted in remarkable water-stress tolerance induced by leaf spraying pretreatment of mixed solution of $50{\mu}M\;VA+50{\mu}M\;PHBA$. The mixtures of $25{\mu}M\;VA+25{\mu}M\;PHBA$ and $50{\mu}M\;VA+50{\mu}M\;PHBA$ treated on Q2 and Q8 in water deficit condition also indicated that total phenols, total flavonoid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eir controls. In general, the accumulation of individual phenolic acids was increased in exogenous phenolic treatments, as compared with controls. Particularly, Q2 obtained a considerable amount of endogenous PHBA after application of $50{\mu}M\;VA$, $25{\mu}M\;VA+25{\mu}M\;PHBA$, and $50{\mu}M\;VA+50{\mu}M\;PHBA$ (0.18 mg/g DW, 0.71 mg/g DW, and 1.41 mg/g DW, respectively); and a negligible content of VA (0.003 mg/g DW) appeared uniquely in the treatment of $50{\mu}M\;VA$. Similarly, Q8 also absorbed a significant quantity of PHBA in $50{\mu}M\;PHBA$, $25{\mu}M\;VA+25{\mu}M\;PHBA$, and $50{\mu}M\;VA+50{\mu}M\;PHBA$ treatments (0.15 mg/g DW, 0.15 mg/g DW, and 0.22 mg/g DW,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spraying $50{\mu}M\;PHBA$ and $25{\mu}M\;VA+25{\mu}M\;PHBA$ on Q8 leaves induced similar amount of VA (0.04 mg/g DW). Meanwhile, there were no trace of VA and PHBA found in controls. The levels of drought tolerance of Q2 and Q8 were improved, paralleled with the increased amounts of endogenous phenolics revealed that VA and PHBA played an important role to enhance drought tolerance in rice.

  • PDF

갑상선암의 고용량 $^{131}I$ 치료 시 입원기간의 최적화방안 연구 (A Study on Ways to Optimize the Period of Hospitalization During High-Dose $^{131}I$ Treatment of the Thyroid Cancer)

  • 백성민;고성진;김창수;김정훈;강세식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3권3호
    • /
    • pp.269-276
    • /
    • 2010
  • 본 연구는 고용량 방사성옥소 치료환자의 선량률을 거리와 시간대별로 산출하여 방사성옥소 치료를 위한 입원기간의 최적화와 개선방안을 제한 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100 mCi 고용량 옥소치료환자의 24시간 후에 배꼽에서 $1,035{\mu}Sv/hr$, 50 cm에서 $109{\mu}Sv/hr$, 100 cm에서 $33{\mu}Sv/hr$로 감쇠 되었다. 150 mCi 고용량 옥소치료환자의 24시간 후에 배꼽에서 $637{\mu}Sv/hr$, 50 cm에서 $100{\mu}Sv/hr$, 100 cm에서 $40{\mu}Sv/hr$로 감쇠 되었다. 180 mCi 고용량 옥소치료환자의 24시간 후에 배꼽에서 $1,251{\mu}Sv/hr$, 50 cm에서 $140{\mu}Sv/hr$, 100 cm에서 $56{\mu}Sv/hr$로 감쇠 되었다. 퇴원기준을 미국 원자력 규제위원회 고시에 $70.4{\mu}Sv/hr$이므로 본 연구 결과보다 빠른 퇴원이 가능하다. 치료 환자들의 계속적인 증가 추세로 볼 때 치료병실의 부족을 해소 할 수 있다.

봉독(蜂毒) 약침액(藥鍼液)의 세포독성(細胞毒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 Study on the Cytotoxicity of Compounds of Bee Venom for Herb-Acupuncture)

  • 박원;김용석;고형균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19권2호
    • /
    • pp.65-77
    • /
    • 2002
  • Objective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which compound of Bee Venom for herb-acupuncture has cytotoxicity on mouse mast cell line. Methods : We compared crude bee venom and its compounds such as melittin, mast cell degranulating peptide (MCD peptide), apamin with control groups on cytotoxicity by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Results & Conclusion : 1. Crude bee venom showed significant cytotoxic effect(p<0.01) in 1 hour treatment with $1{\mu}g/m{\ell}$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in 1 hour treatment with low concentration of $10-4{\mu}g/m{\ell}$, $10-3{\mu}g/m{\ell}$, $10-2{\mu}g/m{\ell}$, $10-1{\mu}g/m{\ell}$ and $1{\mu}g/m{\ell}$, but it showed no significant cytotoxic effect in 6 hours treatment. 2. Melittin group showed no significant cytotoxic effect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in 1 and 6 hours treatment with low concentration of $10-4{\mu}g/m{\ell}$, $10-3{\mu}g/m{\ell}$, $10-2{\mu}g/m{\ell}$, $10-1{\mu}g/m{\ell}$ and $1{\mu}g/m{\ell}$. 3. MCD peptide and Apamin group showed no significant cytotoxic effect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in 1 and 6 hours treatment with low concentration of $10-4{\mu}g/m{\ell}$ $10-3{\mu}g/m{\ell}$, $10-2{\mu}g/m{\ell}$, $10-1{\mu}g/m{\ell}$ and $1{\mu}g/m{\ell}$. 4. Crude bee venom showed significant cytotoxic effect(p<0.01) in 1 and 6 hours treatment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in 1 and 6 hours treatment with high concentration of $10{\mu}g/m{\ell}$, $20{\mu}g/m{\ell}$ and $102{\mu}g/m{\ell}$. 5. Melittin group showed significant cytotoxic effect(p<0.01) in 1 hour treatment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in 1 hour treatment with high concentration of $10{\mu}g/m{\ell}$ but it showed no significant cytotoxic effect in 6 hours treatment. 6. Crude bee venom and its compounds have more cytotoxic effect in 1 hour treatment than in 6 hours treatment. It means cytotoxicity tends to decrease according to the treatment time.

  • PDF

복섬(Takifugu niphobles)의 독성 (Toxicity of the Grass Puffer, Takifugu niphobles (Bogseom))

  • 류창호;김동근;김종현;장준호;이종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986-990
    • /
    • 2003
  • 2001년 11월부터 2002년 10월까지 일년간 매월 통영 인근에서 어획한 살아있는 복섬(Takifugu niphobles) 10마리씩을 구입하여 근육, 껍질, 내장, 간장, 난소로 분리하여 각 부위별 독성 분포를 마우스 시험법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산란기인 5∼6월에는 근육, 껍질, 내장 및 간장의 독성이 비산란기에 비하여 감소한 것 이외에 계절에 따른 부위별 독성의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근육중의 독성은 0∼46.4 MU/g의 범위였으며, 총 120마리 중 92마리(76.7%)가 무독(10 MU/g 이하)으로 식용 가능하였으나, 나머지는 약독(10 MU/g∼100 MU/g)으로 식용에 부적합하였다. 껍질의 독성은 최소 10.0 MU/g에서 최고674.4 MU/g의 약독 및 강독 범위로서 전체 시료가 식용에 부적합하였다. 내장 및 간장의 독성 분포는 무독에서부터 맹독(1,000 MU/g이상)까지 계절에 상관없이 개체에 따라 차이가 심하였으며, 난소는 산란기인 5월에 7개의 시료에서 6월에 1개의 시료에서 분리되었으며, 독성 범위는 84.2 MU/g에서 2,191.3 MU/g 범위로서 독성이 가장 강하였다.

혈합육어 Trypsin의 효소적 성질에 대한 반응속도론적 해석 (Kinetic Analyses for Enzymatic Properties of Trypsins Purified from Dark-Fleshed Fish)

  • 조득문;허민수;김형락;김두상;변재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4-70
    • /
    • 1996
  • 멸치, 고등어, 황다랭이 및 날개다랭이의 혈합육어에서 정제된 trypsin을 시료로 하여 각각의 BAPNA기질에 대한 반응속도와 그 관련 성질들을 분석 검토하였다. 4종의 혈합육어에서 정제된 trypsin의 Km'와 $k_{cat}$는 멸치 trypsin이 각각 $49.3{\mu}M$$90.9min^{-1}$, 고등어 trypsin A는 $53.7{\mu}M$$61.2min^{-1}$, 고등어 trypsin B는 $96.5{\mu}M$ $76.6min^{-1}$, 황다랭이 trypsin은 $62.8{\mu}M$$46.4min^{-1}$, 그리고 날개다랭이 trypsin은 $98.3{\mu}M$$47.68min^{-1}$ 이었다. TLCK에 대한 $K_i$, 값은 멸치 trypsin이$20.90{\mu}M$, 고등어 trypsin A가 $2.86{\mu}M$, 고등어 trypsin B가 $3.90{\mu}M$, 황다랭이 trypsin이 $0.96{\mu}M$, 그리고 날개다랭이 trypsin이 $1.82{\mu}M$이었으며, 황다랭이의 trypsin이 TLCK에 대하여 가장 예민하게 반응하였다. 이들 trypsin의 효소 활성과 촉매효율은 연근해 온 대산 혈합육어인 멸치와 고등어 trypsin이 열대해역에서 온대해역에 걸쳐 널리 회유하는 혈합육어인 황다랭이와 날개다랭이의 trypsin에 비하여 높은 특징을 보였다.

  • PDF

Improved Preimplantation Development of Porcine Cloned Embryos by Flavone Supplement as Antioxidant

  • Fang, Xun;Qamar, Ahmad Yar;Yoon, Ki-Young;Cho, Jongki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55-264
    • /
    • 2018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analyse the effects of flavone supplementation on the preimplantation development of in-vitro produced porcine embryos. During in-vitro development, immature oocytes and early embryos were exposed to different concentrations of flavone (0, $1{\mu}M$, $25{\mu}M$, $50{\mu}M$, and $100{\mu}M$ respectively). Results showed that $100{\mu}M$ of flavone significantly reduced the intracellular ROS levels of oocytes accompanied with a significant rise in GSH level. In parthenogenesis, no significant change was observed in the cleavage rates whether flavone was supplemented in IVM or IVC media. In IVM supplemented group, the blastocyst development rate was significantly enhanced by $1{\mu}M$ concentration than other groups (51.5% vs. 41.3%, 44.0%, 36.3%, 31.7%; P<0.05) respectively. However, in IVC group $1{\mu}M$ concentration significantly improved the blastocysts production than $50{\mu}M$ and control groups (50.0% vs. 40.5%, 38.0%; P<0.05) respectively. Following nuclear transfer, the cleavage rate of IVM group was significantly more in $1{\mu}M$ than $50{\mu}M$ and $100{\mu}M$ groups (92.9% vs. 89.7%, 87.8%; P<0.05), followed by similar pattern of cloned blastocysts production being significantly higher in $1{\mu}M$ group than $50{\mu}M$, $100{\mu}M$ and control groups (16.8% vs. 9.0%, 7.1%, 12.8%; P<0.05) respectively. In IVC group, $1{\mu}M$ concentration resulted in significantly higher cleavage rate than $25{\mu}M$ and $50{\mu}M$ groups (91.7% vs. 87.8%, 88.8%; P<0.05) respectively. However, the blastocysts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100{\mu}M$ group than others (26.2% vs. 13.6%, 14.0%, 18.2%; P<0.05) respectively. The optimal concentrations of flavone significantly enhanced the percentages of ICM:TE than control group (43.8% vs. 37.6%; P<0.05) accompanied with significantly higher expression levels of reprogramming related genes. In conclusion, the optimal concentrations of $1{\mu}M$ during IVM and $100{\mu}M$ during IVC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production of porcine in-vitro embryos.

고에너지 방사선치료 시 치료변수에 따른 광중성자 선량 변화 연구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photoneutron production out of the high-energy photon fields at linear accelerator)

  • 김연수;윤인하;배선명;강태영;백금문;김성환;남욱원;이재진;박영식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57-264
    • /
    • 2014
  • 목 적 : 고에너지 광자선을 이용한 방사선치료 시 발생되는 광중성자는 치료대상인 종양 주위의 인접한 정상조직에서 2차적인 암의 발생에 기인 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치료계획 시에 고려할 수 있는 변수 중 치료방법, 선속평탄여과판, 선량률, 갠트리 각도들을 변환시켰을 때 발생된 광중성자의 선량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실험에는 TrueBeam $ST{\time}TM$(Ver.1.5, Varian, USA)치료기를 사용하였다. 광중성자 측정 장비는 조직등가비례계수기(Tissue Equivalent Proportional Counter : TEPC)인 KTEPC를 이용하였으며, 치료대의 세로 방향으로 조사야 중앙 하단 6cm 지점에서 측정을 실시하였다. 치료방법, 선속평탄여과판의 사용유무, 선량율에 따른 광중성자 선량의 차이를 평가하기 위하여 모든 환자에 대하여 전산화치료계획시스템(Eclipse Ver 10.0, Varian, USA)으로 방사선치료계획을 각각 수립하였다. 치료방법으로는 세기변조방사선치료와 용적변조회전방사선치료로 구분하였으며, 선량율은 400MU/min, 1,200MU/min 및 2,400MU/min에 따른 차이를 평가하였다. 또한 방사선의 입사방향에 따른 광중성자 선량을 측정하였다. 결 과 : 치료방법의 차이에 따라 세기변조방사선치료와 용적변조회전방사선치료로 조사하였을 때 산란 광중성자 평균선량은 각각 $449.7{\mu}Sv$, $2940.7{\mu}Sv$로 측정되었다. 선속평탄여과판의 사용 유무에 따라 Flattening Filter(FF)모드와 Flattening Filter Free(FFF)모드에서의 산란 광중성자 평균선량은 $2940.7{\mu}Sv$, $232.0{\mu}Sv$로 측정되었다. 400, 1200, 2400 MU/min으로 선량률을 변환시켜 조사하였을 때 CASE I은 $3242.5{\mu}Sv$, $3189.4{\mu}Sv$, $3191.2{\mu}Sv$로, CASE II는 $3493.2{\mu}Sv$, $3482.6{\mu}Sv$, $3477.2{\mu}Sv$로, 그리고 CASE III에서 $4592.2{\mu}Sv$, $4580.0{\mu}Sv$, $4542.3{\mu}Sv$로 측정 되었다. $0^{\circ}$부터 $315^{\circ}$까지 $45^{\circ}$간격으로 갠트리 각도를 변환시켰을 때 산란 광중성자 선량은 10MV 광자선에 대하여 최소 $3.2{\mu}Sv$, 최대 $14.7{\mu}Sv$이었으며, 갠트리 각도가 $180^{\circ}$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15MV 광자선의 경우 최소 $369.6{\mu}Sv$ 최대 $448.0{\mu}Sv$이었으며, 역시 갠트리 각도가 $180^{\circ}$일 때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결 론 : 치료방법의 차이에 따른 실험은 용적변조회전방사선치료가 세기변조방사선치료 보다 산란된 광중성자 선량이 측정점에서 평균 6.5배 높게 측정되었다. 선속평탄여과판의 사용 차이에 따른 실험에서 선속평탄여과판을 사용하였을 때 12.7배 높게 측정되었다. 선량률을 변환에 따른 차이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갠트리 각도에 따른 산란 광중성자 선량 측정에서는 광자선이 치료대를 지나는 각도인 $135^{\circ}$, $180^{\circ}$, $225^{\circ}$에서 산란 광중성자 선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rueBeam $ST{\time}TM$을 이용한 FFF 모드와 세기변조방사선치료를 한 경우 산란 광중성자가 적게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속적으로 더 많은 변수에 대한 실험을 계획하고 광중성자 측정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보다 환자들에게 안전한 방사선치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