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kward) control

검색결과 348건 처리시간 0.03초

Kinematic analysis of rowing exercise using a motor-assisted rowing machine for rowers with spinal cord injury: a case report

  • Jeong, Ju Ri;Lee, Bum Suk;Park, Dae-Sung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3권1호
    • /
    • pp.69-75
    • /
    • 2014
  • Objective: We developed a Motor-Assisted Rowing Machine (MARM) for Spinal Cord Injury (SCI), by modification of the Concept II rowing machine, so that the seats could be operated automatically in a backward and forward direction by a motor. Design: Case report. Methods: Motor rowing consisted of a chair with inclination control, a motor system, control button, monitor, program, leg supporter, safety belt, and seat. The patients were 2 men rowing athletes with SCI, classified as American Spinal Injury Association class B, participated in the study. Level of thoracic injury ranged from T8 to T10. The subjects rowed at a self-selected stroke rate with 50 watts. Two different rowing methods (static rowing without movement of the seat, dynamic rowing using MARM) were assigned to each participant during 10 minutes; 34 reflective markers were attached to their full bodies. Kinematic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Vicon motion analysis system. Based on the full body model provided as a default by the equipment. In the rowing exercise, the rowing motions were divided into Drive Phase and Recovery Phase. Results: The two rowing methods differ in handle range, seat range, handle and seat ratio, handle velocity, and seat velocity during static and dynamic rowing. The rowing exercise using a rowing machine developed MARM increased tendency to the range of motion in the dynamic method compared to the static method. Conclusions: The newly developed MARM could be a useful whole body exercise for people with SCI.

변형된 페이스 마스크의 치아 및 골격적 효과 (Effects of conventional and modified facemask therapies on dentofacial structures)

  • Yagci, Ahmet;Uysal, Tanca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432-443
    • /
    • 2010
  • 이번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페이스 마스크와 변형된 페이스 마스크의 치아 및 골격적 효과를 평가하고자 III급 부정교합환에서 치료군과 비치료군을 비교하였다. 24명의 환자(여자: 13명, 남자: 11)로 구성된 기존의 페이스 마스크 그룹(Group 1, mean age, $9.2{\pm}1.4$ years)과 24명의 환자(여자: 12명, 남자: 12명)로 구성된 변형된 페이스 마스크(Group 2, mean age, $9.3{\pm}1.6$ years); 그리고 21 명(여자: 11 명, 남자: 10명)으로 구성된 대조군 그룹(Group 3, mean age, $9.8{\pm}1.9$ years)으로 분류하였다. 그룹 내 그룹 간에 치료군과 대조군을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룹 내 비교는 비모수적인 방법의 Wilcoxon's test으로 그룹 간의 변화는 Kruskal-Wallis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후 그룹 간의 통계적인 유효성 검증을 위하여 Mann-Whitney test와 Bonferroni's correction 을 시행하였다 (p < 0.016). Group 1에서 SNB 변화가 대조군보다 적었다. SNA, ANB, SN-MP, A to N perp과 Upper lip to E plane이 증가하였다. Group 2에서는 SNB, U1-NA (mm) U1-NA ($^{\circ}$) and Pog to N perp (mm) 변화는 대조군보다 적었다. SNA, ANB, SN-MP, A to N perp과 Upper lip to E plane이 증가하였다. 변형된 페이스 마스크는 상악 열성장이 있는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게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악궁 확장을 동반한 페이스 마스크를 통하여 상악은 회전을 야기시키지 않고 전방으로 이동하였으며 모든 치료군에서 하악은 후하방으로 이동하였다.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의 자세조절 특성 (A Study of Postural Control Characteristics in School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이형수
    • 재활복지
    • /
    • 제14권3호
    • /
    • pp.225-256
    • /
    • 2010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의 자세조절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시각, 안뜰감각 그리고 몸감각을 조합하여, 실험 조건에 따라 자세유지를 위하여 어떤 감각을 활용하고 있는지, 부적절한 감각자극에 대해서 통합시스템에서 어떻게 반응하는지, 외부 동요에 대해 신경근육의 자세조절 전략 시 동원되는 근육의 수축 개시시간과 개시순서를 각각 측정하여, 지적장애 아동의 자세조절 특성을 살펴보고, 나아가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분석하여 자세조절능력 향상 프로그램에 적용 시 방향을 제시해주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성별과 연령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 26명과 일반아동 26명의 아동으로부터 자세조절능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자세조절과 감각계와의 관계를 파악한 평형점수와 감각활용 분석, 엉덩관절 전략에 의지하는 자세조절 전략, 근수축 개시지연과 근수축 개시순서의 변화 등을 종합해 볼 때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의 자세조절의 문제는 운동시스템, 감각시스템, 통합시스템의 자세조절 시스템 전반에 걸친 총체적인 문제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의 자세조절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운동시스템, 감각시스템, 통합시스템을 포함하는 포괄적 자세조절 훈련 프로그램의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자세조절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다양한 감각을 제공하여 주고, 제공된 감각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감각훈련과 함께 고위중추에서 입력된 감각들을 정상적인 자세조절 발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훈련 시켜주어야 한다. 적응 반응을 계획하고 조직화하여 의미 있는 활동을 통해 중추신경계의 처리능력을 향상시키는 치료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자세조절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안정성 한계를 넓힐 수 있는 신경발달학적 치료와 함께, 근골격계에서 빠른 근수축 반응과 효율적인 근수축 개시순서를 유발 할 수 있도록 고유수용성 운동조절 프로그램, 자세반응 촉진 프로그램과 같은 훈련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자동차 경주 컴퓨터 게임 시 대형 디스플레이 곡률이 자세 제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arge Display Curvature on Postural Control During Car Racing Computer Game Play)

  • 이지현;박성률;최동희;경규형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3-19
    • /
    • 2015
  • 디스플레이 기술은 비약적으로 발전되었다. 특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연구를 관련 기업들이 앞다투어 진행하고 있다. 현재 시장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초기 단계인 커브드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스마트폰, TV 등이 출시되어 있고, 데스크탑용 커브드 모니터 역시 최근에 출시되어 사무용 또는 엔터테인먼트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엔터테인먼트용으로 50" 멀티 모니터를 사용시 모니터의 곡률이 사용 자세 제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이다. 실험에는 두 종류의 곡률 (평면, 곡률반경 600mm)이 사용되었다. 총 10명의 근골격계질환이 없고, 양안 시력이 모두 0.8이상이고, 색맹 또는 색약이 아닌 평균 (SD) 20.9 (1.5)세의 대학생들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피험자들은 일반적인 VDT 환경의 실험실에서 각 곡률당 30분씩 핸들과 페달을 사용해 운전 게임을 하였다. 각 피험자가 운전 게임을 하는 동안 의자 위에 놓여진 압력 매트를 통해 이들의 COP (Center of Pressure)가 측정되었다. 자세 제어 분석을 위하여, 총 4개의 COP 측정치, Mean Velocity, Median Power Frequency, Root-Mean-Square (RMS) Distance, 그리고 95% Confidence Ellipse Area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곡면대비 평면 디스플레이에서 전후 방향 (Anterior-Posterior; AP)의 RMS distance값이 더 큰 경향을 보였다. 이 결과를 통해 평면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운전 게임을 하는 동안 피험자의 전후 방향으로 몸을 더 많이 움직였다고 할 수 있다. 이는 평면 디스플레이가 곡면 디스플레이보다 화면의 가로방향으로 시거리 차이가 더 크기 때문에, 초점의 이동시간이 더 길어지는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평면 디스플레이 대비 곡면 디스플레이에서 더 높은 몰입감을 느끼거나, 더 집중할 수 있는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곡률에 따른 이런 행동상의 차이가 근골격계 질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제조공정용 Fast Back 이송장치 진동·소음 저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ibration & Noise Reduction of Fast Back Feeding Device for Manufacturing Process)

  • 한두희;이승훈;손영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642-648
    • /
    • 2019
  • 본 논문은 스낵식품 가공 공정라인에서 사용하는 설비 중 하나로 이송물의 관성을 이용한 제조공정용 Fast Back 이송장치이다. 기존의 이송 장치는 벨트 컨베이어와 기계식 크랭크를 적용한 구동 장치로써 소음과 진동이 크고 환경 공해 발생하며 주기적인 유지보수가 필요하다. 이로 인해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Fast Back 이송 장치는 크랭크식 구동장치 부분을 리니어 서보모터로 대체하고 가속에 따른 힘의 평형을 맞추기 위한 평형추 장치를 적용하여 안정된 동작을 확보하였다. 평형추 장치는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충격형태의 가진력을 상쇄 시키는 것으로 진동해석을 통해 진동의 주요 원인을 파악하고 저감대책을 수립하였다. 시제품 제작을 통한 진동시험에서 약 10배 정도의 진동 저감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PLC제어를 통한 전진과 후진에서의 속도, 가속도 조정을 가능하게 설계함으로써 직선형 구동력을 직접 발생시켜 별도의 기계적 변환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에너지 손실이나 소음 및 진동을 발생시키지 않고 운전 속도에도 제한을 받지 않음을 증명하였다.

시간적 일화기억인출에 관여하는 뇌기능연결성 연구 (Interactivity within large-scale brain network recruited for retrieval of temporally organized events)

  • 나윤진;이종현;한상훈
    • 인지과학
    • /
    • 제29권3호
    • /
    • pp.161-192
    • /
    • 2018
  • 부호화된 사건의 시간적 정보를 기반으로 한 인출은 일화기억의 중요한 통제기제 중 하나이다. 기억인출과 관련한 수많은 신경영상 연구들이 진행되었음에도 아직 시간적으로 구성된 일화기억의 인출에 관여하는 뇌신경연결망 패턴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두가지 다른 순차적 인출 뇌신경 기제를 구분하기 위하여 과제기반 기능적 연결성 다변량 패턴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참가자들은 시간적 일화기억과제를 수행하였고, 순서대로 부호화된 기억자극을 순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인출하도록 지시를 받았다. 부분적으로 분류된 국소적 신경네트워크 패턴은 두 인출기제를 잘 구분하지 못한 반면, 기억과 관련된 인지통제 영역과 목표-지향적 인지기제처리에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여러 피질-피질하 노드들을 아우르는 전뇌신경네트워크 패턴은 시간적 일화기억 인출기제를 잘 구분하였다. 이 영역들은 측면/내측 전전두엽 영역, 하부 두정엽, 중간 측두회, 선조체 영역 등을 포함하며 기계학습을 이용한 분류에서 높은 분류 예측률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일화기억의 시간적 인출기제에 관여하는 피질-피질하 여러 영역의 관여를 확인하였고, 대역적 네트워크 패턴의 기능적 연결성이 질적으로 다른 인출기제에 관여함을 확인하였다는데에 중요성을 갖는다.

전산화 인지재활과 전통적 인지훈련이 경도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작업기억과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and Traditional Cognitive Training on the Working Memory and Executive Function in Patients with Mild Traumatic Brain Injury)

  • 문종훈;양승범;전민재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77-28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전산화 인지재활과 전통적 인지훈련이 경도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작업기억과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재활병원에서 재활치료를 받는 경도 외상성 뇌손상 환자 20명이 참여하였다. 대상자들은 실험군 10명과 대조군 10명으로 할당되었다. 실험군은 전산화 인지재활과 전통적인 인지훈련을 30분씩 60분을 받았으며, 대조군은 전통적인 인지훈련을 60분 수행하였다. 두 군은 하루 60분, 주 5회, 4주 동안 배정된 훈련을 수행하였다. 작업기억과 실행기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숫자외우기 검사(정방향, 역방향)와 MVPT-3의 시각기억, 그리고 선추적 검사와 스트룹 검사 A와 B를 중재 전과 후에 실시하였다. 두 군 간 변화량 비교에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시각기억과 스트룹 검사 A에서 유의하게 더 큰 향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전산화 인지재활과 전통적 인지훈련이 전통적인 인지훈련보다 작업기억과 실행기능에 긍정적인 변화를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공간일정계획에서의 부하조정을 위한 방법론 연구 (A Study on method of load attribute for Spatial Scheduling)

  • 백동식;윤덕영;곽현호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지
    • /
    • pp.96-100
    • /
    • 2004
  • In the ship building industry various problems of erection is counterfeited due to formation of bottle necks in the block erection flow pattern This kind of problems cause accumulated problems in real-time erection right on the floor, When such a problem is approached, a support data of the entire erection sequence should be available, Here planning is done by reasoning about the future events in order to verify the existence of a reasonable series of actions to accomplish a goal. This technique helps in achieving benefits like handling search complications, in resolving goal conflicts and anticipation of bottleneck formation well in advance to take necessary countermeasures and boosts the decision support system, The data is being evaluated and an anticipatory function is to be developed This function is quite relevant in day to day planning operation. The system updates database with rearrangement of off-critical blocks in the erection sequence diagram, As a result of such a system, planners can foresee months ahead and can effectively make decisions regarding the control of loads on the man, machine and work flow pattern, culminating to an efficient load management. Such a foreseeing concept helps us in eliminating backtracking related adjustment which is less efficient compared to the look-ahead concept. An attempt is made to develop a computer program to update the database of block arrangement pattern based on heuristic formulation.

  • PDF

Kline-Fogleman Airfoil의 저 레이놀즈수 공력특성 연구 (Numerical Investigation on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Kline-Fogleman Airfoil at Low Reynolds Numbers)

  • 노나현;손찬규;이관중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99-10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원격 조종 소형 비행기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Kline-Fogleman 익형의 저 레이놀즈수 공력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NACA4415와 이를 기반으로 한 Kline-Fogleman 익형의 공력특성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ANSYS Fluent를 활용하였으며, 유동은 비압축성으로 가정하고, 난류모델 $k-{\omega}$ SST를 사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Kline-Fogleman 익형의 공기역학적 원리를 규명하였으며 계산된 레이놀즈수 $3{\times}10^3{\sim}3{\times}10^6$ 범위에서 Kline-Fogleman 익형이 NACA4415에 비해 양력계수가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레이놀즈수 $2.4{\times}10^5$이하의 영역에서는 Kline-Fogleman 익형의 양항비가 NACA4415에 비해 26%까지 향상되었다.

6족 보행로봇에 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f Hexapod Walking Robot)

  • 강동현;민영봉;반전훈구;매전간웅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2권5호
    • /
    • pp.339-347
    • /
    • 2007
  • A hexapod walking robot had been developed for gathering information in the field. The developed robot was $260{\times}260{\times}130$ ($W{\times}L{\times}H$, mm) in size and 14.7 N in weight. The legs had nineteen degrees of freedom. A leg has three rotational joints actuated by small servomotors. Two servomotors placed at ankle and knee played the roles of vertical joint for up and down motions of the leg and the other one placed at coxa played the role of horizontal joint for forward and backward motions. In addition, a servomotor placed at thorax between the front legs and the middle legs played the role of vertical joint for pumping the two front legs to climb stair or inclination. Walking motion of the robot was executed by tripod gait. The robot was controlled by manual remote-controller communicated by an infrared ray. Two controllers were equipped to control the walking of the robot. The sub-controller using PIC microcomputer (Microchips, PIC16F84A) received the 16 bit command signal from the manual remote controller, decoded it to 8bit and transmitted it to the main microcomputer (RENESAS, SH2/7045), which controlled the 19 servomotors using the PWM command signals. Walking speeds wer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period of command cycle and the stride. Forward walking speed were within 100 cm/min to 300 cm/min. However, experimental walking speed had the error of 4-40 cm/min to compare with the theoretical one, because of slippage of the leg and the circular arc motion of servomotor of cox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