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e Book'

검색결과 861건 처리시간 0.026초

고등학생의 독서동기 및 도서선택에 미치는 요인 탐구 (Factors for Reading Motivation and Book Selec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n Exploratory Study)

  • 임정훈;이종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323-344
    • /
    • 2017
  • 독서동기 유발요인과 도서선택 요인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요인들을 포괄적으로 식별한 연구는 거의 없는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의 독서동기 및 도서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통합적으로 식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 15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독서동기 및 도서선택에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고등학생들의 독서 행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의 유형은 정보원의 특성, 개인적 요인, 가정환경 요인, 학교 및 학습환경 요인, 사회환경 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러한 요인들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독서동기나 도서선택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 나아가 독서동기는 도서선택의 선행조건임을 알 수 있었고, 독서동기의 유발이 도서선택을 보장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식별된 각 요인들은 고등학생들의 독서행태를 보다 깊이 이해하여 독서지도에 활용하고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자동화된 e-book 전자출판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utomated e-book Electronic Publishing System)

  • 주상웅;강현진;김경환;김창수;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17-619
    • /
    • 2015
  • 중소기업이나 소규모의 조직에서 작성되는 매뉴얼, 웹진, 기타 출판물을 조직의 구성원들과 출판물을 공유하기 위하여 워드프로세서로 작성된 파일의 원본이나 또는 PDF 파일 형식을 메일이나 웹에서 자료 다운로드를 통하여 공유하는 경우가 대부분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들은 온라인상에서 한번 참고하고 파일의 원본이나 다운로드를 원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논문에서 윈도우즈 기반의 시스템에서 워드프로세서의 원본 파일을 e-book 전자출판 시스템에 업로드만 진행하면 자동으로 웹에서 조회가 가능한 e-book 시스템을 구현하여 사용자와 소규모의 조직원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공유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앤서니 브라운 그림책 '고릴라' 의미연구:그레마스 기호학을 중심으로 (The Meaning of Anthony Browne's Picture Book 'Gorilla' : Mainly about the Semiology of A.J. Greimas)

  • 김영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76-183
    • /
    • 2010
  • 그림책은 글과 일러스트레이션으로 구성되어 상호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하며 이야기를 전개해 나가는 예술형식이다. 그림책에서 글과 일러스트레이션이 전달하는 의미뿐 만 아니라 상호작용을 통해 새롭게 만들어 내는 상징적 의미를 이해한다면 그림책을 보는 즐거움과 가치를 깨닫게 될 것이다. 그림책의 글과 일러스트레이션을 불가분의 관계에 놓인 하나의 단위로 보고 기호학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그림책 이해에 중요한 관점을 제공한다. 세계적인 그림책 작가 앤서니 브라운(Anthony Browne)의 '고릴라'를 기호학자 그레마스(A.J. Greimas)의 의미작용 이론을 통해서 글과 일러스트레이션의 상호보완작용을 이해한다. 또한, 텍스트와 조형표현의 구조적 관계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통합적으로 전달되는 이야기를 새로운 관점으로 접근한다. 기존의 연구들에서 앤서니 브라운의 '고릴라'는 주인공 한나와 아빠의 관계를 단순한 외로움으로 전체 이야기 의미를 해석하였지만, 본 연구를 통해 그 관계에 있어 부성애뿐 만 아니라 이성애가 존재하며 그 갈등의 해소가 주된 관점으로 새롭게 해석될 수 있다.

권장도서목록을 활용한 자기 선택적 독서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독서 동기 유형에 끼친 영향 분석 (An Analysis on Impact of the Self-selected Reading Program Using Recommended Book Lists to High School Students' Reading Motivation)

  • 소병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77-198
    • /
    • 2019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을 통하여 자기 선택적 독서 프로그램을 설계 운영한 후, 학생들의 독서 동기 유형을 파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자기 선택적 독서 프로그램은 도서 선정의 자율성 보장을 위해 다수 영역, 다수 도서의 권장도서목록으로 제공하였고, 읽기와 쓰기를 통합해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후 이수 학생들을 대상으로 6개 영역의 독서 동기를 측정한 결과 자율 동기 영역이 타율 동기보다 월등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선택적 독서 프로그램은 권장도서목록을 활용해 도서 선정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자율동기에 따른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독서 습관을 기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의례』와 선진 제자서의 상례 비교 (The Comparison between "the Book of Etiquette and Ceremonial" and the Hundred Schools of the Contents about Funeral Rites)

  • 윤무학
    • 한국철학논집
    • /
    • 제59호
    • /
    • pp.215-240
    • /
    • 2018
  • 이 글은 "의례"에 보이는 상례 관련 내용을 선진 제자서의 내용과 비교한 것이다. 고대 상례에 관련된 가장 직접적이고 체계적인 문헌은 "의례"이다. 이것은 내용상에서 "좌씨전", "묵자", "순자" 등의 선진 제자서에 반영된 것도 있고 반면에 상호 어긋나는 내용도 있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한 이유는 고대의 "의례"를 비롯한 예경(禮經)이 성립되는 과정에서 일부 내용이 이미제자서에 반영되기도 하고, 반대로 제자서의 내용이 후대 유가에 의해 예경에 편입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우선 "의례" 상복 편의 기본 내용은 선진 제자서에 대체로 반영되어 있고 공통적인 내용이 많다. 대표적으로 부모와 군주를 위한 삼년상은 유가에서 공통적으로 선양한 것이다. 비록 묵가에서 유가의 후장구상(厚葬久喪)에 대해 반대하지만, "의례"의 상복제도는 적어도 춘추시기에 이르기까지 사람들의 보편적 인식이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의례"와 제자서에 반영된 내용에서 공통적으로 복상(服喪) 대상이 성인인가의 여부에 따라 상복에 차이를 두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선진 제자서에 반영된 상례 관련 내용은 "의례"의 규정과 다른 주장도 많다. 특히 제자서에 반영된 부모를 위한 상복은 "의례"의 규정과는 달리 사회적 지위의 다름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부모와 군주를 위한 상복제도와는 달리 아내와 첩을 위한 제도는 "의례"의 규정과 다른 내용이 많이 보인다. 현행본 "의례" "상복" 편에 나열된 규정은 복상 주체와 대상의 신분에 따라 상복과 상기를 달리하기 때문에 당시에는 물론 역사적으로도 엄밀하게 시행되기 어려웠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친친"의 부자관계에 기초해서 자식을 위한 상례는 비교적 분명하고, 군주와 부모를 위한 상례는 명확히 규정되고 강조된 반면에 신하와 아내를 위한 상례는 규정이 없거나 모호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삼강"(三綱)이라는 용어가 한대(漢代) 정치윤리 이념을 반영한 동중서(董仲舒)의 "춘추번로"(春秋繁露)에 처음 보이는 것이지만, 내용상으로는 이미 "의례"에 반영된 것이라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말액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Marek(말액))

  • 강순제;전현실
    • 복식
    • /
    • 제55권5호
    • /
    • pp.78-86
    • /
    • 2005
  • Marek(말액) is the headgear, which is a form of hempen hoods[Geon(건)] and the origin of it is Pa(파) of band form. A history book of an old Chinese country Post-Han $\ll$ History of HouHan (후한서)$\gg$ had recorded that a soldier wore a red band around his head that was called Pa(파). In the Han dynasty(한대), Pa had been transformed into Chaek(책) or a kind of a hemp rap(건) while e headgear had still remained as the band form and called Marek from e Tang era(당). The literatures of the Tang era had referred the red Marek of soldiers, and other literatures of the later period had recorded that of the previous headgears of the band form were related with Marek. Since the Tang era, white or yellow Marek except red one fer soldiers had been were by soldiers, musicians, dancers and singers in Yuan(원) and Ming(명) of China. The colors was recorded in red on documents mostly, this red implicated soldiers for symbol of terror. This fart was documented in an old history book $\ll$The history of 25 Eras(이십오사)$\gg$, On the other side, a wall painting in Princess Jeonghyo(정효공주)'s tomb of the Parhae(발해) period described the portraits of twelve persons, and among them, two Siwui(시위) put on the red Marek. Quoted from the record of a history book of the Tang era system , a history book of Three Kingdoms(삼국시대) of ancient Korea $\ll$Samguksaki(삼국사기)$\gg$ described that four dancers of Kogryo(고구려) wore Marek on their heads with the costumes of Koguryo, one of those Kingdoms. In consideration that the book of $\ll$Tongjun$\gg$ was the literature of the Tang era so that Marek mentioned in this book was followed by their name, the Marek of Koguryo dancers shown in the history book $\ll$Samguksaki(삼국사기)$\gg$ might be a kind of Koguryo style hemp cap[Geon(건)]. The Marek of Parhae had succeeded to the headgear of Koguryo and the identity was on Koguryo.

대순사상의 역학적 조명 - 종지(宗旨)를 중심으로 - (Daesoon Thought Explained Through the Philosophy of the Book of Change)

  • 최영진
    • 대순사상논총
    • /
    • 제20권
    • /
    • pp.169-191
    • /
    • 2009
  • The Four Tenets of Daesoon thought are the Creative conjunction of the virtues of Eum and Yang, the Harmonious union of divine beings and human beings,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the mutual beneficence of all life and the Realization of the Dao in the world. This article compares the concepts of the "Creative conjunction of the virtues of Eum and Yang", the "Harmonious union of divine beings and human beings" and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the mutual beneficence of all life" with "EumYangDaeDaeRon", "ShinMyonKiDeok", the Theory of Mutual Giving Life / Mutual Destruction (SangSaeng/SangGeukRon) of the Book of Changes and analyzes their common and different points. The conclusion is that Daesoon thought and the philosophy of the Book of Changes share common fundamental standpoints. However, the Daesoon thought defines the world of SeonCheon (the state before the Heaven and Earth have been created) as Mutual Giving Life (SangSaeng), and the world of HuCheon (the state after the Heaven and Earth have been created) as Mutual Destruction (SangGeuk). According to Daesoon thought the Mutual Destruction (SangGeuk) is seen as negative, while according to the philosophy of the Book of Changes the Theory of Mutual Giving Live/Mutual Destruction (SangSaeng/SangGeukRon) is viewed as a positive relationship of EumYangDaeDae. This is a point of difference between the Daesoon thought and the philosophy of the Book of Changes. According to EumYangDaeDae relationship theory the contradictory "other" is viewed not as an enemy, but as a necessary element that assures one's existence. When Buddhism and Christianity first came to existence, they did not belong to a main stream. Later, through continuous theorization and systematization they became generally accepted religions. The case of Confucianism was not much different. During Song dynasty in China Buddhism has contributed to the systematization and establishment of Neo-Confucianism; in the middle of 20th century the Confucian scholars of Hong Kong and Taiwan interpreted and defined Confucianism a new in the light of Western philosophy. Thus the "Modern Neo-Confucianism" came to existence. That's why the history of Confucianism is also called "the history of advancing and developing a concept". From this point of view the critical acceptance of some elements of Confucian, Buddhist, Taoist etc. traditions, as well as modern philosophy, by Daesoon, in order to achieve the systematization of Daesoon thought, is a very important process. As a part of this process, this essay explains the Daesoon thought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Book of Changes, which may be said to present the original East-Asian view of the world. Daesoon's emphasis of human dignity, the equality of sexes, the critics the hierarchical society etc. are rather "modern" and should be examined from the point of view of social science. Besides, leaving the boundaries of "modern philosophy", the concepts of "Harmonious union of divine beings and human beings", viewing the universe as one organism etc. should be approached from the point of view of Post-Modernism.

  • PDF

실코의 「이야기꾼」에 나타난 이야기의 집단적 힘 (The Collective Power of Story in Silko's "Storyteller")

  • 김지영
    • 영어영문학
    • /
    • 제55권2호
    • /
    • pp.293-314
    • /
    • 2009
  • Leslie Marmon Silko's Storyteller does not belong to a typical category of books, for it looks more like a family album with photographs, poems and Pueblo narratives as well as short stories authored by her. This 'book' without any chapters defies a traditional concept of books we are familiar with. In addition to refusing to be labelled as a conventional book, I argue, Storyteller defies the tradition of Western personal writing in that it shows the collective power of stories. That is, stories have the collective power which is impersonal beyond personal, internalized identity. It does not mean, however, the collective power comes from groups rather than individuals. It is not the conventional opposition of group and individual but that of group and collectiveness that matters here. I draw a distinction between group and collectiveness on the ground that the former actually groups individuals into categories with which individuals identify themselves. It is not group but collectiveness where stories find their power. "Storyteller," the first of eight short stories in the book, tells the story of an unnamed protagonist, a Yupik Eskimo girl, who takes revenge of her parents who died after drinking poisoned alcohol sold by a white storeman. There are four layers of stories in this short story. The first one is the old man's story of a blue glacier bear; the second one is a revenge story of the Yupik girl; the third one is a story told by the girl to the attorney after being arrested for the death of a storeman. And the final one is the story told to us by Silko, entitled "Storyteller." Although the structure of story within story resembles a technique of metafiction at a glance, it surely is a characteristic of Pueblo narratives in general, according to Silko. This kind of stories within stories refers to the collective power of story which, like a spider's web with many little threads radiating from the center and crisscrossing one another, is also a characteristic of stories on the Web today.

Astronomical Books and Charts in the Book of Bibliographie Coreenne

  • Lee, Ki-Won;Yang, Hong-Jin;Park, Myeong-Gu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5권2호
    • /
    • pp.199-226
    • /
    • 2008
  • We investigate astronomical materials listed in the book of Bibliographie Coreenne written by Maurice Courant. He classified ancient Korean books into nine Divisions (部) and thirty six Classes (類), and published them as three volumes (ranging from 1894 to 1896) and one supplement (in 1901). In total, 3,821 books including astronomical ones are listed together with information on physical size, possessional place, bibliographical note, and so forth. Although this book is an essential one in the field of Korea bibliography and contains many astronomical materials such as Cheon-Mun-Ryu-Cho 天文類抄, Si-Heon-Seo 時憲書, and Cheon-Sang-Yeol-Cha-Bun-Ya-Ji-Do 天象列次分野之圖, it has not been well known to the public nor to astronomical society. Of 3,821 catalogues, we found that about 50 Items (種) are related to astronomy or astrology, and verified that most of them are located in the Kyujanggak Royal Library 奎章閣. We also found an unknown astronomical chart, Hon-Cheon-Chong-Seong-Yeol-Cha-Bun-Ya-Ji-Do 渾天總星列次分野之圖. Because those astronomical materials are not well known to international astronomical community and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e materials in Korea, we here introduce and review them, particularly with the astronomical viewpo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