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 killing

검색결과 598건 처리시간 0.028초

넙치에서 수산용 과산화수소의 항스쿠티카 효과 (Anti-scuticociliate effects of aquatic hydrogen peroxide preparation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이지훈;박정진;최준호;신동훈;박관하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07-11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에게 감염 및 높은 폐사율을 일으켜 해산어류양식에서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는 스쿠티카충 (Miamiensis avidus) 구제를 위한 과산화수소의 유효성을 평가하였다. In vitro시험 결과, 과산화수소 50 mg/l로 1시간 동안 노출시키면 완벽하게 스쿠티카충 (M. avidus)을 효과적으로 살상하였다. In vivo시험은 $2{\times}10^3M.\; avidus/ml$로 이틀간 침지감염을 유도한 넙치와 제주지역에서 자연적으로 스쿠티카충에 감염된 넙치를 대상으로 과산화수소의 효능을 평가하였다. 제주지역 양식장 및 실험실적 시험군에서 과산화수소 100-200 mg/l로 1시간 동안 약욕시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누적폐사가 감소하였다 (p<0.05). 이때 넙치 조직에서 충밀도 측정 결과 약욕 후 3일 동안 대조군에 비해 감소가 나타났다. 따라서 수산용 과산화수소는 스쿠티카충의 초기 구제 효과가 유효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Radiosensitivity Enhancement by Arsenic Trioxide in Conjunction with Hyperthermia in the EC-1 Esophageal Carcinoma Cell Line

  • Cui, Yan-Hui;Liang, Hai-Jun;Zhang, Qing-Qin;Li, Si-Qing;Li, Xiao-Rui;Huo, Xiao-Qing;Yang, Qing-Hui;Li, Wei-Wei;Gu, Jian-Fa;Hua, Qin-Liang;Lu, Ping;Miao, Zhan-Hu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4호
    • /
    • pp.1693-1697
    • /
    • 2012
  • Objective: To explore the effect on radiosensitivity of arsenic trioxide ($As_20_3$) in conjunction with hyperthermia on the esophageal carcinoma EC-1 cell line. Method: Inhibition of EC-1 cell proliferation at different concentrations of $As_20_3$ was assessed using the methyl thiazolyl blue colorimetric method (MTT method), with calculation of $IC_{50}$ value and choice of 20% of the $IC_{50}$ as the experimental drug concentration. Blank control, $As_20_3$, hyperthermia, radiotherapy group, $As_20_3$ + hyperthermia, $As_20_3$ + radiotherapy, hyperthermia + radiotherapy and $As_20_3$ + hyperthermia + radiotherapy groups were established, and the cell survival fraction (SF) was calculated from flat panel colony forming analysis, and fitted by the 'multitarget click mathematical model'. Flow cytometry (FCM) was used to detect changes in cell apoptosis and the cell cycle. Results: $As_20_3$ exerted inhibitory effects on proliferation of esophageal carcinoma EC-1 cells, with an $IC_{50}$ of 18.7 ${\mu}mol/L$. After joint therapy of $As_20_3$ + hyperthermia + radiotherapy, the results of FCM showed that cells could be arrested in the $G_2$/M phase, and as the ratio of cells in $G_0/G_1$ and S phases decreased, cell death became more pronounced. Conclusion: $As_20_3$ and hyperthermia exert radiosensitivity effects on esophageal carcinoma EC-1 cells, with synergy in combination. Mechanistically, $As_20_3$ and hyperthermia mainly influence the cell cycle distribution of EC-1 esophageal carcinoma cells, decreasing the repair of sublethal damage and inducing apoptosis, thereby enhancing the killing effects of radioactive rays.

산불 후 개미군집의 단기변화 (Short-term Changes in Ant Communities after Forest Fire)

  • 이철민;권태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05-213
    • /
    • 2013
  • 산불은 산림에 서식하는 곤충들을 죽이거나 분산시킴으로서 그들의 군집을 교란한다. 산불 후 개미군집은 종다양성, 종구성, 기능군 구성이 달라질 것이다. 본 연구는 1996년 강원도 고성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 직후 일년동안 산불지와 비산불지의 개미군집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총 16종 1,308개체의 개미가 채집되었고, 산불지에서 15종 696개체, 비산불지에서 13종 612개체가 채집되었다. 산불 후 다양도와 풍부도가 감소될 것이란 일반적인 예상과는 달리 산불지와 비산불지는 개미군집의 풍부도, 종다양성, 종구성, 기능군 구성에서 차이가 없었고, 종풍부도(추정치)는 산불지가 비산불지 보다 오히려 높았다. 그러나 개미의 월별 출현양상은 (풍부종과 전체) 산불지와 비산불지 간에 많이 달랐다. 산불직후인 1996년 5월에는 산불지에서 개미가 더 많았으나, 가을(1996년 9월과 10월)에는 비산불지에서 개미가 더 많았다. 이는 산불지의 환경변화(토양건조 등)로 인해 개미개체군의 변동(개체군의 사멸 또는 이동)이 원인일 것이다. 결론적으로 봄에 발생하는 산불은 토양 깊이 월동하는 개미 군체를 파괴하지 못하기 때문에 산불은 개미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마우스 복강 macrophages내(內)의 살(殺)톡소플라즈마 활성에 있어서 obioactin의 역할 (Role of obioactin on toxoplasmacidal activity within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 양만표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857-866
    • /
    • 1994
  • 톡소플라즈마 과면역(過免疫) 우혈청(牛血淸)에서 유래된 면역증강제인 obioactin으로 처리한 마우스 복강 macrophages내(內)에서의 톡소플라즈마 증식억제 활성을 검토하였다. obioactin 및 lonomycin A로 처리한 macropohages에서는 첨가농도의 증가에 따라 세포내의 톡소플라즈마 증식이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그러나 macrophages 활성물질인 muramyl dipeptide(MDP)는 톡소플라즈마의 증식억제 효과가 없었다. 이와같이 obioactin 및 lonomycin A의 첨가에 의해 macrophages내(內)에서 톡소플라즈마의 증식이 억제되는 기전의 일부를 해명하기 위한 일환으로 활성산소 중간체 및 lysozyme 분비량을 검토하였다. obioactin과 MDP로 처리한 macrophages에서는 활성산소 중간체인 superoxide anion($O_2{^-}$)과 hydropen peroxide($H_2O_2$)의 생산은 첨가농도에 의존해서 증가하였으나 lonomycin A 첨가군에서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한편 세포내에서 분비되는 lysozyme의 양은 obioactin, lonomycin A 및 MDP를 첨가한 각각의 macrophages에서 첨가농도의 증가에 따라 무처지 대조군에 비해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부터 obioactin은 macrophages를 활성화시켜 세포내에서 활성산소 중간체($O_2{^-}$$H_2O_2$)를 발생시켜 이것들에 의해 톡소플라마즈의 증식이 억제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그러나 macrophages내에서 분비되는 lysozyme은 톡소플라즈마의 증식억제와는 무관하였다.

  • PDF

동남아시아 이슬람 테러리즘 현황 및 전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slamic terrorism in the Southeast Asia: Its Evaluation and perspectives)

  • 최진태
    • 시큐리티연구
    • /
    • 제14호
    • /
    • pp.549-567
    • /
    • 2007
  • 9.11 테러 이전에는 동남아시아는 상대적으로 테러의 무풍지대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테러의 새로운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다. 9.11 테러 이후 국제사회는 동남아시아의 테러단체와 알카에다의 관계에 대해 주목하면서 동남아시아가 알카에다를 포함한 수많은 테러조직의 본거지로 변모할 가능성에 대한 분석을 내놓기 시작했다. 전문가들 역시 동남아시아가 테러의 태동지이며, 화약고였던 중동지역에 못지않은 알카에다의 주요 활동지역이며, 앞으로 동남아시아에서 이슬람원리주의 테러조직과 연계된 테러조직의 활동이 더욱 커질 것 이라 지적해 왔다. 알카에다와 강한 테러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제마 이슬라미아, 그리고 아부 사에프 그룹 등과 같은 테러조직의 활동이 강화되고 있으며, 국제 교류와 국제간의 주요 무역로인 해상 수송을 위협하는 해적행위 등으로 인해 동남아시아는 새로운 테러의 중심지로 등장하고 있는 상황이다. 전 세계가 테러에 대한 공포로 시달리고 있는 상황에서 동남아시아에서의 테러리즘 확산은 주목할 만한 현상이며, 깊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동남아시아의 테러리즘에 대한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동남아시아가 새로운 테러의 진원지로 등장할 가능성을 전망하는 데 있다.

  • PDF

천연물 유래 d-Limonene의 가시박 방제효과 (Herbicidal Activity of d-Limonene to Burcucumber (Sciyos angulatus L.) with Potential as Natural Herbicide)

  • 최정섭;고영관;조남규;황기환;구석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63-272
    • /
    • 2012
  • 천연물에서 유래한 제초활성 후보물질 d-limonene에 대한 주요 문제 잡초와 환경위해 잡초인 가시박에 대한 살초력 평가를 통해 효율적 잡초 관리를 위한 친환경 잡초방제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d-limonene은 온실조건에서 발아전 토양처리 효과는 없었고, 경엽처리에서는 100kg ai $ha^{-1}$ 이상 농도에서 매우 우수한 방제효과를 보였으나, 작물에 대한 선택성은 전혀 없었다. 야생에서 왕성하게 생육하는 환경 위해잡초 가시박에 대해서도 140kg ai $ha^{-1}$ 이상 농도에서 살포물량에 비례하여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내어 천연 생화학 제초제로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향후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최근 살인 사건의 살해도구에 관한 연구 - 칼을 중심으로 - (A Study on Kitchen Knives Used in the Homicide Crimes)

  • 정석준;채종민
    • 대한수사과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31-43
    • /
    • 2006
  • 최근 살인사건의 실태를 보면 칼을 이용한 살인사건이 가장 많다. 살인을 음모하고 예견된 살인도 있지만, 순간적인 분노로 인한 우발적으로 저질러지기도 한다. 우발적인 범행에서 주변 가까이에 있는 가정용 칼을 범행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일상생활에서 칼의 위험성을 인식하는 경우가 드물다. 이에 전국에서 발생하는 살인사건의 범행방법 중 칼에 의한 범행에서 동기 분석과 함께 살해에 사용한 칼의 종류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칼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성인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가정용 칼에 대한 21항목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칼의 대부분이 칼끝이 날카로워 사실상 범행에 사용하기가 용이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범인들이 칼을 휴대하기보다는 범행 장소에서 칼을 쉽게 구하여 범행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우발적인 살인의 경우에도 주방이나 식탁 또는 거실에서 칼을 쉽게 구할 수 있기 때문에 살인 사건이 더욱 빈발할 수 있다. 일반인의 칼에 대한 인식에서 칼의 위험도를 낮추기 위하여 칼끝을 둥글게 하자는 여론은 매우 높은 결과로 나타나지만 실제로 칼의 위험성에 대한 인식이 낮았다. 따라서 가정이나 가까운 사이에서 우발적 충동적인 살인을 예방하기 위하여 생활도구로 사용하는 칼도 위험한 물건으로 분류하여 인식전환과 함께 칼의 제작과 판매에 있어서 적절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칼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여 가정에서 칼의 보관과 잠금장치의 필요성에 대한 홍보가 절실하다고 생각한다.

  • PDF

Impact of RGD Peptide Tethering to IL24/mda-7 (Melanoma Differentiation Associated Gene-7) on Apoptosis Induction in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 Bina, Samaneh;Shenavar, Fatemeh;Khodadad, Mahboobeh;Haghshenas, Mohammad Reza;Mortazavi, Mojtaba;Fattahi, Mohammad-Reza;Erfani, Nasrollah;Hosseini, Seyed Younes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4호
    • /
    • pp.6073-6080
    • /
    • 2015
  • Background: Melanoma differentiation-associated gene-7 (MDA-7)/interleukin-24 (IL-24), a unique tumor suppressor gene, has killing activity in a broad spectrum of cancer cells. Herein, plasmids producing mda-7 proteins fused to different RGD peptides (full RGD4C and shortened RGD, tRGD) were evaluated for apoptosis induction with a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 line, Hep-G2. The study aim was to improve the apoptosis potency of mda-7 by tethering to RGD peptides. Materials and Methods: Three plasmids including mda-7, mda-7-RGD and mda-7-tRGD genes beside a control vector were transfected into Hep-G2 cells. After 72 hours incubation, cell viability was evaluated by MTT assay. In addition, the rate of apoptosis was analyzed by flow cytometry using PI/annexin staining. To detect early events in apoptosis, 18 hours after transfection, expression of the BAX gene was quantified by real time PCR. Modeling of proteins was also performed to extrapolate possible consequences of RGD modification on their structures and subsequent attachment to receptors. Results and Conclusions: In MTT assays, while all mda-7 forms showed measurable inhibition of proliferation, unmodified mda-7 protein exhibited most significant effect compared to control plasmid (P<0.001). Again, flow cytometry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apoptosis induction by simple mda-7 gene but not for those RGD-fused mda-7 proteins. These findings were also supported by expression analysis of BAX gene (P<0.001). Protein modelling analysis revealed that tethering RGD at the end of IL-24/Mda7 disrupt attachment to cognate receptor, IL-20R1/IL-20R2. In conclusion, fusion of RGD4C and shortened RGD peptides to carboxyl terminal of mda7, not only reduce apoptosis property in vitro but also disrupt receptor attachment as demonstrated by protein modelling.

35-Year Research History of Cytotoxicity and Cancer: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 Farghadani, Reyhaneh;Haerian, Batoul Sadat;Ebrahim, Nader Ale;Muniandy, Sekar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7호
    • /
    • pp.3139-3145
    • /
    • 2016
  • Cancer is the leading cause of morbidity and mortality worldwide, characterized by irregular cell growth. Cytotoxicity or killing tumor cells that divide rapidly is the basic function of chemotherapeutic drugs. However, these agents can damage normal dividing cells, leading to adverse effects in the body. In view of great advances in cancer therapy, which are increasingly reported each year, w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evaluated the papers published between 1981 and December 2015, with a closer look at the highly cited papers (HCP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literature related to cytotoxicity in cancer therapy. Online documents in the Web of Science (WOS) database were analyzed based on the publication year, the number of times they were cited, research area, source, language, document type, countries, organization-enhanced and funding agencies. A total of 3,473 publications relevant to the target key words were found in the WOS database over 35 years and 86% of them (n=2,993) were published between 2000-2015. These papers had been cited 54,330 times without self-citation from 1981 to 2015. Of the 3,473 publications, 17 (3,557citations) were the most frequently cited ones between 2005 and 2015. The topmost HCP was about generating a comprehensive preclinical database (CCLE) with 825 (23.2%) citations. One third of the remaining HCPs had focused on drug discovery through improving conventional therapeutic agents such as metformin and ginseng. Another 33% of the HCPs concerned engineered nanoparticles (NPs) such as polyamidoamine (PAMAM) dendritic polymers, PTX/SPIO-loaded PLGAs and cell-derived NPs to increase drug effectiveness and decrease drug toxicity in cancer therapy. The remaining HCPs reported novel factors such as miR-205, Nrf2 and p27 suggesting their interference with development of cancer in targeted cancer therapy. In conclusion, analysis of 35-year publications and HCPs on cytotoxicity in cancer in the present report provides opportunities for a better understanding the extent of topics published and may help future research in this area.

Plasma Aided Flotation for Removing Organic Substances and Killing Microorganisms

  • 유승민;홍은정;유승열;박준석;노태협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4년도 제46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122-122
    • /
    • 2014
  • 수중방전을 환경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플라즈마 부상법이 개발되었다. 플라즈마 부상법은 물 속에서 발생시킨 플라즈마가 가지고 있는 주요특성 중 물리적 특징인 쇼크웨이브, UV조사, 버블생성 등과 화학적 특징인 OH라디칼 및 염소산화물 생성 등을 이용하여 물 속에 존재하는 용존성 및 입자성 물질을 부상분리 기법으로 제거하는 공법이다. 유기물을 제거하는 기작으로는 침전, 여과, 분해 등이 있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공정으로 중력침강법, 부상분리법, 멤브레인법, 미생물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가압공기부상법은 침강법에 비해 부지면적을 적게 소모하고 처리시간이 50% 이상 감소되는 특징이 있다. 가압공기부상법은 물 속에 공기를 과포화시킨 후 노즐을 통해 재분사할 때 발생하는 압력차에 의해 미세기포가 발생함을 이용하여 유기물을 분리하는 공법이다. 그러나, 가압용 장비 및 반송수가 필요하고, 미생물분리는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살균과 유기물 분리가 동시에 일어나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부상분리기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난분해성 용존유기물인 휴믹산 100 mg/L의 플라즈마 공기부상법에 의한 제거능을 확인하였다. 용존성 휴믹산을 입자성 물질로 전환하여 플록을 형성시키고자 알루미늄설페이트(Al2(SO4) $3{\cdot}18H2O$)를 100 mg/L 주입하였고, 침출수와 같이 염도가 높은 물을 모사하고자 35 g/L의 염화나트륨을 첨가한 상태에서 방전을 실시하였다. 방전에 사용된 전원은 EESYS사에서 제작한 펄스형 고전압 전원장치를 사용하였고 최대 15 kW의 출력 중 6 kW의 전력을 인가하였다. 전극 한 개는 2 mm 텅스텐봉을 세라믹튜브로 감싼 구조로 총 사용전극은 28개이다. 전극 한 개당 대략 200 Watt의 전력이 소모되며 이 때 최대의 버블이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전극 1개에서 생성되는 버블의 부피는 14 mL/min 로 측정되었다. 버블의 크기는 평균 70 um이고 가압공기부상법에서 최적공기크기로 제시하고 있는 40~80 um 의 버블은 약 80% 가량 생성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반응시스템에서의 물의 높이는 약 500 mm 이고 전체 40 L의 수조가 3개의 벽으로 분리되어 4개의 수조로 분리되었다. 각 수조는 하부에 7개의 전극을 포함하고 있다. 플라즈마 발생시 생성되는 기포는 약 1분 방전 후에 포화농도에 도달하며 방전종료 후 약 4분간 수체 내에 남아있게 된다. 이를 공정에 적용하여 1분 방전 및 4분 휴지의 순서로 플라즈마를 인가하였다. 휴믹산 용액의 유량을 2 lpm 으로 운전하였을 때 최종 처리율은 94% 이고 이때의 대장균 살균능은 99%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