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ikosaponin-b_1$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1초

In vitro Degradation of Saikosaponin-a in Physiological Condition

  • Sung, Chung-Ki
    • 생약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28-130
    • /
    • 1989
  • In vitro degradation of saikosaponin-a in physiological condition was conducted. Saikosaponin-a in 0.1 N-HCl of 25% 1,4-dioxane was incubated at $37^{\circ}$ and the products were analyzed and the time course of degradation was observed. Saikosaponin-a(Sa) was transformed to $saikosaponin-b_1(Sb_1)$ and saikosaponin-g(Sg) in the course of time. Sa was decreased drastically and not detected after 6 hours. $Sb_1$0 and Sg was increased with the time. After 6 hours the ratio of $Sb_1$ and Sg was about 4:1 and was maintained for 24 hours.

  • PDF

HPLC에 의한 시호(柴胡) Saponin의 분리 및 정량 (Separation and Determination of Saikosaponins in Bupleuri Radix with HPLC)

  • 한대석;이덕근
    • 생약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75-179
    • /
    • 1985
  • The optimal condition for the determination of saikosaponin a and d, the major pharmacologically active saponins of the roots of Bupleurum falcatum, was studied with the conversion of these saponins into diene saponins $(saikosaponin\;b_1\;and\;b_2)$. The complete separ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these saponins were performed by the method of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sing $NH_2$ column. The conversion of saikosaponin a and d into diene saponins under gastric pH was calculated. Thirty-three percent of saikosaponin a was converted to saikosaponin $b_1$ and 63 percent of saikosaponin d was converted to saikosaponin $b_2$.

  • PDF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saikosaponin derivatives in Bupleurum falcatum by HPLC-ELSD analysis using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Choi, Jungwon;Kim, Juree;Kang, Sam Sik;Lee, Sanghyu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1호
    • /
    • pp.57-61
    • /
    • 2021
  • Saikosaponin derivatives such as saikosaponins A, B1, B2, B3, B4, C, and D present in Bupleurum falcatum were analyzed by 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 equipped with an evaporative light scattering detector, using different extraction solvents (water and 70% ethanol). The samples were injected into a YMC Pack Pro C18 column and separated using a gradient elution system with a mobile phase composed of acetonitrile and water at a flow rate of 1.1 mL/min. The content of saikosaponin derivatives was higher in 70% ethanol extract than in water extract. This study provides an efficient analytical method for determining the optimal conditions for extraction of saikosaponin derivatives, which can be used as a basis for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and pharmaceutical products from B. falcatum.

HPLC-ELSD를 이용한 시호 중의 saikosaponin 유도체의 확인법 개발 (Determination of saikosaponin derivatives in Bupleuri Radix using HPLC-ELSD)

  • 김보미;윤기동;한경림;김진웅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8권1호
    • /
    • pp.57-61
    • /
    • 2008
  • A HPLC-ELSD method was developed to determine saikosaponin derivatives from Bupleuri Radix. Eight saikosaponins, saikosaponin c, i, h, a, $b_2$, g, $b_1$ and d, were analyzed under optimized HPLC conditions [column: Eclipse XDB $C_{18}$ ($150{\times}4.6mm$ i.d., $5{\mu}m$; mobile phase: $H_2O$ with 0.1% $CH_3$COOH (v/v) for solvent A and AcCN with 0.1% $CH_3$COOH (v/v) for solvent B, gradient elution; flow rate: 1mL/min; injection volume: $20{\mu}L$]. Good linearity was achieved in the range from 62.5 to $250{\mu}g/mL$ for each compound, and intra-day precision and accuracy at each concentration level varied between 0.05 and 5.45% and between 93.9 and 109.6%, respectively, whereas those for inter-day variations were between 0.91 to 2.73% and 94.3 to 106.1%. This HPLC-ELSD method was applied for the determination of sakosaponins from Bupleuri Radix samples, and saikosaponin a $(0.79{\pm}0.20mg/g)$, c $(0.33{\pm}0.06mg/g)$ and d $(0.48{\pm}0.15mg/g)$ were observed as major compounds. The other saikosaponins were shown under limit of quantification level thus couldn't be quantified.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at the introduced HPLC-ELSD method is selective and reliable, and not only saikosaponin a, but also saikosaponin c and d should be employed as the standard markers for Bupleuri Radix.

Determination and Conversion of Saikosaponins from Bupleuri Radix

  • Han, Dae-Suk;Lee, Duk-Keun;Lee, Hyeong-Kyu
    • 생약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53-258
    • /
    • 1985
  • Various determination methods of saikosaponins in Bupleuri Radix are discussed, and the content of each saikosaponin which is original and/or artifact is rearranged. The changes of saikosaponin a and d into saikosaponin $b_1\;and\;b_2$, respectively, under gastric pH, were studied.

  • PDF

예취 및 적화처리에 따른 시호의 생육특성 및 saikosaponin 함량 (Saikosaponin Contents and Growth Characteristics on Cutting and Flower Removal in Bupleurum falcatum L.)

  • 이호;김길웅;손태권;이지언;이상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353-365
    • /
    • 2002
  • 본 시험은 국내 재래종 정선시호와 일본에서 도입된 삼도시호를 공시하여 시호근의 비대촉진을 위하여 예취 및 적화처리가 시호의 생육과 saikosaponin 함량에 기여하는 요인들을 구명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예취 및 적화처리에 따른 시호 계통간 및 재배년수에 따른 생육에 있어서 정선시호는 삼도시호보다 분지수는 적었지만 생근중, 건근중 및 지근수는 많았다. 1년생 정선시호는 삼도시호보다 주근장이 길었고 2년생에서는 초장과 경수가 많았다. Saikosaponin함량은 1년생 및 2년생 모두 정선시호가 삼도시호보다 saikosaponin-a, saikosaponin-d 및 total-saikosaponin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2. 수확시기가 늦을수록 1년생 시호 지상부 생육의 초장, 경태, 지상부중과 지하부중의 주근장, 생근중 및 건근중 등 생육은 촉진되었고, 2년생 시호에 있어서 예취 및 적화처리 횟수에 따른 생육은 2회를 한 것이 1회보다 초장이 짧았지만 주근장은 길었다. 3. 1년생 및 2년생 시호의 예취에 따른 생육은 초장, 분지수는 감소하고 1년생 시호의 적화처리구에서 지상부중은 높았고 1년생 시호의 30cm 예취 처리구와 적화처리구에는 근경과 생근중은 증가하였으나 지근수는 감소되고 건근중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2년생 시호의 예취 처리구와 적화처리구의 근경 및 50 cm 예취 처리구와 적화처리구의 생근중과 건근중은 무처리구보다 증가하였다. Saikosaponin 함량은 1년생 시호의 saikosaponin-c 함량만 차이가 인정되었고, 2년생 시호의 saikosaponin-a, saikosaponin-d, total-saikosaponin 함량은 무처리구보다 증가하였다. 4. 예취 및 적화처리에서 수확시기에 따른 생육은 11월 20일에 한 것이 9월 20일에 한 것보다 초장, 경태 및 지상부중과 지하부의 주근장, 생근중 및 건근중 등의 생육이 촉진되었으나 saikosaponin-a, saikosaponin-d 및 total-saikosaponin 함량은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Variations in Chromosome Numbers and Saikosaponin Contents of Bupleurum falcatum L. from Different Geographical Regions

  • Son, Tae-Kwon;Kim, Kil-Ung;Jeong, Hyung-Jin;Lee, Sang-Chul
    • Plant Resources
    • /
    • 제4권1호
    • /
    • pp.48-52
    • /
    • 2001
  • Seven genetic lines of Bupleurum falcatum L. from different geographical regions were analysed for saikosaponin contents and chromosomal numbers. The somatic chromosome numbers of B. falcatum originated from Euisong, Iri, Milyang, Sangnam, Taejon, and Youngchon were 2n=20 while Mishimasaiko showed 2n=26. However, chromosome features were different in plants grown in different geographical regions. Generally, Korean lines had higher saikosaponin contents than Mishimasaiko which is Japanese and Sangnam lines had highest saikosaponin contents compared to other tested lines.

  • PDF

배양 기간이 다른 캘러스로부터 재분화된 시호 (Bupleurum falcatum L.) 체세포클론의 사이코사포닌 함량 변이 (Saikosaponin Contents in Somaclones Derived from Different Aged Calli of Bupleurum falcatum L.)

  • 김은경;이미경;방재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323-327
    • /
    • 1998
  • 시호 재분화 체세포클론과 야생 개체의 뿌리에서 사이코사포닌 함량을 정량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사이코사포닌 함량은 1년생 체세포클론, 경상북도 영덕시호, 강원도 정선시호, 2년생 체세포클론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사이코사포닌 함량 변이는 3개월간 배양한 캘러스에서 유도되어 2년간 재배된 체세포클론에서 2년간 배양한 캘러스에서 유도되어 1년간 재배된 체세포클론에서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시호의 경우 사이코사포닌 변이가 캘러스 배양 기간에 별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1년생 체세포클론에서 야생 개체에서보다 사이코사포닌 함량이 2배 이상 높은 4개의 체세포클론이 발견되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체세포클론 변이를 이용한 우량 변이주 선발의 가능성을 보여 주는 것이다.

  • PDF

파종시기 및 재식밀도가 시호의 생육 및 Saikosaponin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ing Date and Density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Saikosaponins Content in Bupleurum falcatum L.)

  • 이호;김길웅;손태권;이상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317-326
    • /
    • 2002
  • 본 시험은 국내 재래종 정선시호와 일본에서 도입된 삼도시호의 품질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적정 파종시기 및 재식밀도의 구명과 saikosaponin 생산에 기여하는 요인들을 구명하여 시호의 안정적 생산을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시기와 재식거리에 따른 시호품종간에서 정선시호는 삼도시호보다 분지수는 적었고 초장은 길었다. 1년생의 정선시호는 삼도시호보다 지상부중은 적었고 생근중과 건근중은 높았으며, 2년생에서는 정선시호와 삼도시호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Saikosapon함량은 1년생 또는 2년생의 정선시호가 삼도시호보다 saikosaponin a 및 total saikosaponln함량이 높았다. 2. 파종시기에 따른 생육특성은 1년생이나 2년생의 시호 모두 4월 30일 파종구에서 경태와 분지수가 가장 굵고 많았으며, 1년생 시호에 있어서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saikosaponin c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3. 1년생 시호는 소식일수록 초장, 경태, 분지수, 지상부중, 그리고 근경, 생근중, 건근중, 지근수 등의 생육이 촉진되었으나 2년생 시호는 소식에서 주근장만 길었다. 4. 품종, 파종시기 및 재식거리에 있어서 상호작용은 1년생 시호만이 지상부중, 주근장, 근경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1년생의 정선시호는 4월10일에 파종하면서 재식밀도를 $30{\times}15\;cm$로 재배한 것에서 지상부중, 근경 및 TSS 함량이 가장 증가되었으며, 1년생 삼도시호는 3월20일에 재식밀도를 $30{\times}10\;cm$로 재배한 것에서 지상부중과 근경이 가장 높았다.

宥機質 肥料 施用이 柴胡의 根收量과 Saikosaponin 含量에 미치는 影響 (Effect of Organic Fertilizers Application in Root Yield and Saikosaponin Contents in Bupleurum falcatum L.)

  • 김명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75-182
    • /
    • 1997
  • 삼조시호(三鳥柴胡)의 고품질(高品質) 생산을 위한 유기질 비종별(肥種別) 시용에 따른 생육특성 및 수량성(收量性)과 유효성분(有效成分) Saikosaponin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 화학성은 시험전 토양에 비해 모든 유기질비료 처리가 유기물, 유효인산(有效燐酸), CaO 등의 함량이 증가된 경향을 보였고 유기질 비종별(肥種別)로 보면 볏짚퇴비+ 화학비료(化學肥料) 3요소(要素)처리구에 비해 계분(鷄糞) + 버섯 볏짚퇴비 둥의 처리구가 유기물, 유효인산(有效燐酸), CaO 등의 함량이 높아 유기질 시용 효과가 증대되었다. 2. 계분(鷄糞)+버섯볏짚퇴비 시용에서 출아율(出芽率)이 높았으며 볏짚퇴비 + 화학비료(化學肥料) 3요소(要素) 처리구에 비해 초장(草長) 14.2cm 길었고 엽수(葉數) 33매, 주당(株當) 분기수(分技數) 3.4개 많아 지상부 생장률이 증가되었다. 지하부 생장량은 퇴비 + 3요소(要素) 처리구에 비해 계분(鷄糞) + 버섯볏짚퇴비 처리구에서 주근장(主根長) 2.1cm 길었고, 주근장(主根長) 0.8mm, 지근수(枝根數) 2매 많아 근(根) 비대효과(肥大效果)로 인해 건근(乾根) 수량(收量)도 볏짚퇴비 + 3요소(要素) 처리구(0.62MT/ha)에 비해 복합처리(複合處理)인 계분(鷄糞) + 버섯볏짚퇴비 처리구가 39%로 증수(增收)되었다. 3. 식물체 부위별(部位別) 무기성분(無機成分)이 잎에서는 유기물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뿌리에서는 전실소(全室素), 인산(燐酸), 가황(加皇), 석회(石灰), 고토(苦土) 함량이 계분(鷄糞) + 버섯볏짚퇴비 처리구가 가장 증가되었다. 또한 뿌리의 총 Saikosaponin 함량은 볏짚퇴비 + 화학비료(化學肥料) 3요소(要素) 처리구 1.57%, 계분(鷄糞) + 버섯톱밥퇴비 처리구 1.64%, 버섯볏짚퇴비 처리구 1.66%, 계분(鷄糞) + 버섯볏짚 퇴비 처리구 1 71% 순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4. 시호(柴胡의) 지상부 및 지하부의 생육특성은 건근(乾根) 수량(收量) 근(根)의 전실소(全室素), 인산(燐酸), 가리(加里), 총 Saikosaponin 함량과의 유의적(有意的)인 정(正)의 상관(相關)이 인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