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S_2$

검색결과 6,900건 처리시간 0.038초

Current Evidence on Associations Between the MMP-7 (-181A>G) Polymorphism and Digestive System Cancer Risk

  • Ke, Pan;Wu, Zhong-De;Wen, Hua-Song;Ying, Miao-Xiong;Long, Huo-Cheng;Qing, Liu-Guo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4호
    • /
    • pp.2269-2272
    • /
    • 2013
  •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degrade various components of the extracellular matrix and functional polymorphisms in encoding genes may contribute to genetic susceptibility to many cancers. Up to now, associations between MMP-7 (-181A>G) and digestive system cancer risk have remained inconclusive. To better understand the role of the MMP-7 (-181A>G) genotype in digestive cancer development, we conducted this comprehensive meta-analysis encompassing 3,518 cases and 4,596 controls. Overall, the MMP-7 (-181A>G) polymorphism was associated with higher digestive system cancer risk on homozygote comparison (GG vs. AA, OR=1.21, 95% CI = 1.12-1.60) and in a dominant model (GG/GA vs. AA, OR=1.16, 95% CI =1.03-1.46). On subgroup analysis, this polymorphism was significantly linked to higher risks for gastric cancer (GG vs. AA, OR=1.22, 95% CI = 1.02-1.46; GA vs. AA, OR=1.82, 95% CI =1.16-2.87; GG/GA vs. AA, OR=1.13, 95% CI =1.01-1.27; GG vs. GA/AA, OR= 1.25, 95% CI = 1.06-2.39. We also observed increased susceptibility to colorectal cancer and esophageal SCC in both homozygote (OR = 1.13, 95% CI = 1.06-1.26) and heterozygote comparisons (OR = 1.45, 95% CI = 1.11-1.91). In the stratified analysis by controls, significant effects were only observed in population-based studies (GA vs. AA, OR=1.16, 95% CI=1.08-1.50; GA/AA vs. GG, OR=1.10, 95% CI=1.01-1.72). According to the source of ethnicity, a significantly increased risk was found among Asian populations in the homozygote model (GG vs. AA, OR=1.40, 95% CI=1.12-1.69), heterozygote model (GA vs. AA, OR=1.26, 95% CI=1.02-1.51), and dominant model (GG/GA vs. AA, OR=1.18, 95% CI=1.08-1.55).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MMP-7 (-181A>G) polymorphism may be a risk factor for digestive system cancer, especially among Asian populations.

Pilot scale 2단 혐기성 소화조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와 하수슬러지의 혼합처리 (Mixture treatment of food waste and sewage sludge using pilot scale anaerobic digester)

  • 박남배;이헌모;이병헌
    • 유기물자원화
    • /
    • 제7권2호
    • /
    • pp.47-55
    • /
    • 1999
  • 최근에 음식물쓰레기의 증가에 따라 폐기불의 처리가 현대사회의 큰 문제로 되었다. 본 연구는 음식물 쓰레기와 하수슬러지 혼합물의 2단 혐기성소화조에 의하여 소화의 가능성을 검토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음식물쓰레기와 하수슬러지를 1:9의 비율로 하여 파이롯트 2단 소화시스템을 사용하여 현장에서 운전하였으며, 체류기간은 20일로 유지했다. $3.03kg\;TCOD/m^3day$의 유기물 부가에서 COD와 VS 제거효율이 57.7%와 47.7%를 보였으며, 가스 생성율과 메탄의 함량은 $0.4m^3/kg$ vs.day와 65.3%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하수슬러지와 음식물쓰레기의 혼합처리가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 졌다.

  • PDF

최종 하수처리장 슬러지의 추가감량을 위한 슬러지 전처리 연구 (Studies of Pretreatment Mehtods for Additional Reduction of Sewage Sludge)

  • 김석구;김자현;임준혁;이제근;이태윤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10호
    • /
    • pp.15-21
    • /
    • 2014
  • 본 연구는 부산시 남부하수처리장의 탈수슬러지를 이용하여 전처리에 따른 분해 및 혐기성 상태에서의 최종 메탄 및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평가하기 위해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BMP) 실험을 실시하였다. 초기 1 % TS 농도의 탈수슬러지를 각각 30분 동안 5M NaOH를 이용하여 알칼리 전처리를 실시하였고 초음파 전처리는 30분 동안 조사밀도를 1.5 W/mL로 조절하여 실시하였으며 알칼리와 초음파 전처리를 병합한 동시 전처리를 시행하였다. 그에 따라 SCOD 값이 초기 33.1 mg/L에서 최대 494 mg/L로 증가하였다. 또한 BMP 실험을 실시한 결과 31.2~84.2 mL $CH_4/g$ VS, 9.2~13.5 mL $CO_2/g$ VS로 나타났다. 영양배지와 상등액 슬러지를 주입여부에 따른 BMP 실험을 실시한 결과 각각 73.1, 73.8 mL $CH_4/g$ VS, 11.2, 13.6 mL $CO_2/g$ VS으로 나타났으며 모델값과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BMP 실험을 종료 후 VS를 분석한 결과 초기 62 %에서 33.8~45.4 %로 감소하였다. 알칼리, 초음파 전처리보다는 동시 전처리가 메탄발생량과 SCOD 값을 증가시켰으며 VS 감소율이 증가하여 혐기성 소화율이 향상되었다.

소아에서 발생한 Human metapneumovirus 감염의 임상-역학적 특징: Respiratory Syncytial Virus A and B 감염과의 비교 (Clinical and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Human Metapneumovirus Infections, in Comparison with Respiratory Syncytial Virus A and B)

  • 강수영;홍채리;강현미;조은영;이현주;최은화;이환종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0권3호
    • /
    • pp.168-177
    • /
    • 2013
  • 목적: 본 연구는 소아에서 hMPV 감염증의 역학과 임상양상을 RSV A, RSV B와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7년 9월부터 2012년 7월까지 호흡기 증상으로 내원한 소아들 중 RT-PCR을 통해 hMPV (n=36), RSV A (n=106), RSV B (n=51) 등의 호흡기 바이러스가 검출된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월별 분포에서 hMPV는 5월에 가장 많았고 RSV는 11-12월에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hMPV 환자군의 평균 연령은 RSV에 비해 높았으며(각각 $29.9{\pm}32.5$개월 vs. $13.6{\pm}15.4$개월, P<0.001; $29.9{\pm}32.5$개월 vs. $12.1{\pm}13.5$개월, P<0.001), RSV A 환자군에 비해 발열 비율이 높았고(97.2% vs. 67.9%, P<0.001), RSV A, B 환자군에 비해서 천명 발생 비율이 낮았다(각각 16.7% vs. 47.2%, P=0.001; 16.7% vs. 37.3%, P=0.037). hMPV 환자군에서 RSV A, B에 비해 세기관지염 발생 비율이 낮았으며(각각 5.6% vs. 34.9%, P=0.001; 5.6% vs. 29.4%, P=0.006), RSV A 환자군에 비해 폐렴 발생 비율이 높았다(72.2% vs. 50.0%, P=0.047). 주사 항생제를 사용한 비율은 hMPV 환자군에서 RSV A, B 환자군에 비해 더 높았다(각각 69.4% vs. 39.6%, P=0.002; 69.4% vs. 43.1, P=0.015). 결론: 본 연구는 hMPV 감염증을 RSV A, B 감염증과 비교하여 임상적 및 역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봄철에 발생하면서 RSV 감염에 비해 더 높은 연령에서 발생하고, 폐렴 발생이 많은 hMPV의 특징은 소아 호흡기 감염환자의 진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국제 핵융합실험로용 VS(Vertical Stabilization) 컨버터의 운전모드 및 보호동작 (Operation modes and Protection of VS(Vertical Stabilization) Converter for International Thermonuclear Experimental Reactor)

  • 조현식;조종민;오종석;서재학;차한주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30-136
    • /
    • 2015
  • This study describes the structure and operation modes of vertical stabilization (VS) converter for international thermonuclear experimental reactor (ITER) and proposes a protection method. ITER VS converter supplies voltage (${\pm}1000V$)/current (${\pm}22.5kA$) to superconducting magnets for plasma current vertical stabilization. A four-quadrant operation must be achieved without zero-current discontinuous section. The operation mode of the VS converter is separated in 12-pulse mode, 6-pulse mode and circulation current mode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load current. Protection measures, such as bypass and discharge, are proposed for abnormal conditions, such as over current, over voltage, short circuit, and voltage sag. VS converter output voltage is controlled to satisfy voltage response time within 20 msec. Bypass operation is completed within 60 msec and discharge operation is performed successfully.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control algorithm and protection measure is verified by assembling a real controller and implementing a power system including the VS converter in RTDS for a hardware-in-loop (HIL) facility.

Seminal Attributes and Semen Cryo-banking of Nepalese Indigenous Achhami (Bos indicus) Bull under Ex-situ Conservation

  • Jha, Pankaj Kumar;Sapkota, Saroj;Gorkhali, Neena Amatya;Pokharel, Bhoj Raj;Jha, Ajeet Kumar;Bhandari, Shishir;Shrestha, Bhola Shankar
    •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72-279
    • /
    • 2019
  • The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eminal attributes and cryobanking of Achhami (Bos indicus) bull semen. Of two Achhami bulls, 8 ejaculates from each bull were evaluated for seminal attributes. For semen freezing and cryo-banking, 4 ejaculates (having ≥2 mL semen volume, ≥75% of sperm motility and ≥1,000 × 106 cells/mL of sperm concentration) from each bull were used. Semen samples were diluted in egg-yolk-tris-citrate extender using a two-step dilution protocol, and were frozen in liquid nitrogen (LN2) vapour in a styrofoam box. The mean semen volume, colour, sperm mass activity, motility, viability, concentration, abnormal acrosome, midpiece and tail and, abnormal head of two Achhami bulls were 4.4 ± 0.5 mL vs. 2.5 ± 0.2 mL, 2.5 ± 0.1 vs. 2.4 ± 0.1, 3.5 ± 0.1 vs. 3.5 ± 0.1, 77.0 ± 1.1% vs. 78.3 ± 1.3%, 94.4 ± 0.5% vs. 91.0 ± 0.6%, 1137.7 ± 73.7 × 106 cells/mL vs. 1060.0 ± 44.3 × 106 cells/mL, 10.2 ± 0.5% vs. 10.3 ± 0.5% and 6.7 ± 0.5% vs. 8.2 ± 0.3%, respectively. The post-thawed sperm motility and viability were 53.0 ± 2.0% vs. 50.0 ± 0.0% and 80.2 ± 0.4% vs. 73.2 ± 0.7%, while evaluating by computer-assisted sperm analysis (CASA) system, the percentage of the progressive motility, fast motility, slow motility, local motility and immotile sperm were 75%, 68%, 7.4%, 16.6% and 8.6%, respectively. A total number of 620 doses semen straw were cryo-banked. Due to the acceptable post-thawed sperm motility and viability recorded, cryopreservation of Achhami semen is hereby recommended so as to preserve the Achhami breed. For further validation, the fertility will be observed from the produced frozen semen.

B2B (vs. B2C) 비즈니스모델혁신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상대적 효과 (The Relative Effects of Business-to-Business (vs. Business-to-Consumer) Business Model Innovation on Innovation Performance)

  • 박예진;이채은;윤원주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6호
    • /
    • pp.159-172
    • /
    • 2023
  • 본 연구는 B2B(business-to-business) 비즈니스모델혁신(business model innovation, BMI)이 B2C(business-to-consumer) 비즈니스모델혁신 대비 혁신성과에 미치는 상대적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는 비즈니스모델혁신의 세 가지 핵심 구성 요소인 1. 가치창출(value creation), 2. 가치제안(value proposition), 3. 가치획득(value capture)을 기반으로 각각의 요소가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위해 (재)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의 2022년 기업가정신 실태조사(기업편) 데이터베이스의 2,879개 기업을 활용하였다.'산업,''기업,''CEO,''기술'등의 다양한 범주에 따른 한국의 최신 창업 현황을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가치창출'이 B2B (vs. B2C) 기업의 혁신성과에 더 긍정적이고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치제안'은 B2C (vs. B2B) 기업의 혁신성과에 더 긍정적이고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롭게도, 가치획득'은 양쪽 기업 모두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추가로, 본 연구에서는 강건성 검정을 위해 SUR(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 분석을 활용하여 결과의 신뢰성을 강화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B2B-BMI(vs. B2C-BMI)의 상대적 효과에 대해 중요한 인사이트를 제공함으로써, 추후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의 비즈니스모델혁신 및 전략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C-PDP를 위한 멀티레벨 단일 에너지 회수 서스테인 구동회로 (Multi-Level Single Energy Recovery Sustaining Driver for AC-PDP)

  • 최성욱;문건우;박정필;정남성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06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400-402
    • /
    • 2006
  • 단일 서스테인 구동회로로서 캐패시터를 이용하여 가스 방전 스위치의 전압 스트레스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는 새로운 멀티레벨 단일 서스테인 구동회로를 제안한다. 기존의 단일 서스테인 구동회로는 +Vs 및 -Vs의 양극성 전원을 사용함에 따라 스위치 전압 스트레스가 2Vs가 되어 스위치로서 전력밀도가 높으면서 가격이 낮은 IGBT를 사용해야 하지만 도통손실이 매우 커 발열에 문제점을 보인다. 제안하는 멀티레벨 단일 에너지 회수 서스테인 구동회로는 에너지 회수 인덕터에 의해 전압이 Vs로 유지되는 부유 캐패시터를 이용하여 가스 방전 스위치의 내압을 기존의 2Vs에서 Vs로 낮추게 되어 스위치 선택의 폭을 넓힐 뿐만 아니라 구동회로의 도통 손실을 개선하여 발열을 줄일 수 있다.

  • PDF

음식물 쓰레기와 하수 슬러지의 생물학적 수소 발효에 미치는 VS 농도와 혼합비의 영향 (Effects of VS concentration and mixing ratio on hydrogen fermentation of food waste and sewage sludge)

  • 김상현;한선기;신항식
    • 유기물자원화
    • /
    • 제11권4호
    • /
    • pp.97-104
    • /
    • 2003
  • 다양한 VS 농도(0.5-5.0%) 및 혼합비(0:100-100:0, VS 기준)의 음식물 쓰레기와 하수 슬러지를 이용하여 수소 발효 회분식 실험을 수행하였다. 누적 수소 발생곡선을 통해 수소 생성 잠재량과 수소 생성 속도를 구하였으며 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각각에 대한 최적 조건과 90% 용인 조건을 제시하였다. 수행된 모든 VS 농도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수소 생성 잠재량은 하수 슬러지보다 높았다. 그러나 하수 슬러지를 13~19% 혼합하였을 경우에 수소 생성 잠재량이 증가하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이는 하수 슬러지의 첨가로 인해 수소 생성 미생물의 생장에 필요한 단백질이 충분히 공급되어 발생하는 현상으로 사료된다. 최대 비 수소생성 잠재량은 122.9 mL/g $carbohydrate_{added}-COD$로 혼합비 87:13(음식물 쓰레기: 하수 슬러지), VS 3%에서 관찰되었다. 최대 수소 생성 속도의 경우 VS와 음식물쓰레기 분율이 높을수록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최대값은 111.2mL $H_2/g$ VSS/h였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음식물쓰레기와 하수슬러지는 수소 생성에 있어 각각 주 기질과 보조 기질로 활용되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하여 측정한 불면증 환자의 정신생리적 특징 (Psych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somnia Patients Measured by Biofeedback System)

  • 허성영;이진성;김성곤;김지훈;정우영
    • 수면정신생리
    • /
    • 제22권2호
    • /
    • pp.70-76
    • /
    • 2015
  • 목 적 : 불면증은 여러 가지 신체질환, 정신질환에 공이환 된 경우가 많아 일차 진료에서 가장 흔한 문제 중 하나이다. 정신생리적 과각성이 병태생리에서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바이오피드백 기기를 이용한 스트레스 반응 검사로 일차성 불면증과 정상인 간에 생리신호 특성을 비교하였다. 방 법 : 일차성 불면증 환자 80명(남자 35, 여자 45명, $49.71{\pm}12.91$세)과 정상인 101명(남자 64, 여자 37명, $27.65{\pm}2.77$세)에게 바이오피드백 기기를 이용하여 스트레스 반응 검사를 하였다. 스트레스 반응 검사는 기저, 스트레스 1, 회복 1, 스트레스 2, 회복 2단계의 다섯 단계로 하였다. 각 단계에서 근전도(EMG), 심장박동수(heart rate), 피부전도(skin conductance), 피부체온(skin temperature), 그리고 호흡수(respiratory rate)를 각각 2분 동안 기록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측정값들의 양 군 사이 비교에는 독립 t-검정, 이전 단계와 비교한 측정값의 변화는 대응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양측검정, p < 0.05). 결 과 : 불면증 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5단계 스트레스 반응 검사 모두에서 전두근이 더 긴장해 있었다(기저 : $7.72{\pm}3.88{\mu}V$ vs. $4.89{\pm}1.73{\mu}V$, t = -6.06, p < 0.001 ; 스트레스 1 : $10.29{\pm}5.16{\mu}V$ vs. $6.63{\pm}2.48{\mu}V$, t = -5.84, p < 0.001 ; 회복 1 : $7.87{\pm}3.86{\mu}V$ vs. $5.17{\pm}2.17{\mu}V$, t = -5.61, p < 0.001 ; 스트레스 2 : $10.22{\pm}6.07{\mu}V$ vs. $6.98{\pm}2.98{\mu}V$, t = -4.37, p < 0.001 ; 회복 2 : $7.88{\pm}4.25{\mu}V$ vs. $5.17{\pm}1.99{\mu}V$, t = -5.27, p < 0.001 ). 정상인은 불면증 환자와 비교하여 각 단계에 따른 심장박동수의 변화 정도가 더 컸다(스트레스 1-기저 : $6.48{\pm}0.59$ vs. $3.77{\pm}0.59$, t = 3.22, p = 0.002 ; 회복 1-스트레스 1 : $-5.36{\pm}0.0.59$ vs. $-3.16{\pm}0.47$, t = 2.91, p = 0.004 ; 스트레스 2-회복 1 : $8.45{\pm}0.61$ vs. $4.03{\pm}0.47$, t = 5.72, p < 0.001 ; 회복 2-스트레스 2 : $-8.56{\pm}0.65$ vs. $-4.02{\pm}0.51$, t = -5.31, p < 0.001). 결 론 : 일차성 불면증 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전두근 근전도 측정값이 전반적으로 증가되었고, 심장박동수의 검사 단계별 변화 정도가 작았다. 이는 불면증 환자의 자율신경계가 정상인에 비해 과각성 상태에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