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O_3$

검색결과 315건 처리시간 0.029초

스타이렌 위험물을 포함한 OenNdien 수지에 의한 우라늄(VI) 이온의 흡착 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Uranium (VI) Ion on OenNdien Resin with Styrene Hazardous Material)

  • 김준태
    • 공업화학
    • /
    • 제22권6호
    • /
    • pp.697-702
    • /
    • 2011
  • 1%, 2%, 5% 및 15%의 가교도를 가진 클로로메틸화된 스타이렌-1, 4-디비닐벤젠에 $OenNdien-H_4$ 거대고리 리간드를 공중합반응으로 결합시켜 이온교환 수지를 합성하여 우라늄(${UO_2}^{2+}$), 칼륨($K^+$), 네오듐($Nd^{3+}$) 금속 이온들의 흡착 특성을 여러 가지 실험 조건하에서 조사하였다. 이들 합성수지의 확인은 염소 함량과 원소 분석 그리고 IR-스펙트럼으로 하였으며, 수지에 대한 금속 이온들의 흡착에 미치는 pH, 시간 그리고 수지의 가교도에 따른 영향들을 조사한 결과 우라늄 이온은 pH 3 이상에서 큰 흡착률을 보였으며, 금속 이온들의 흡착 평형은 2 h 정도였다. 한편, 메탄올용액에서 수지에 대한 흡착 선택성은 우라늄(${UO_2}^{2+}$) > 칼륨($K^+$) > 네오듐($Nd^{3+}$) 이온이었고, 금속 이온의 흡착력은 1%, 2%, 5% 및 15%의 가교도 순이었다.

Adsorption/desorption of uranium on iron-bearing soil mineral surface

  • Ha, Seonjin;Kyung, Daeseung;Lee, Woojin
    •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 /
    • 제4권2호
    • /
    • pp.135-142
    • /
    • 2015
  •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dsorption/desorption of uranium (U) in pure soil environment using continuous column reactor. We additionally investigated the adsorption/desorption mechanism of U on vivianite surface in molecular scale using quantum calculation. We observed that below $0.1{\mu}M$ of U was detected after 20 d from U injection ($1{\mu}M$) in adsorption test. However, all of absorbed U was detached from vivianite surface in 24 h by injection of CARB solution ($1.44{\times}10^{-2}M\;NaHCO_3$ and $2.8{\times}10^{-3}M\;Na_2CO_3$). Based on exchange energy calculation, we found that $UO_2(CO_3)_2{^{2-}}$ and $UO_2(CO_3)_3{^{4-}}$ species have higher repulsive energy than $UO_2(OH)_2$ specie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could be applied to predict the behavior of uranium in contaminated and remediation sites.

Effect of the Anode-to-Cathode Distance on the Electrochemical Reduction in a LiCl-Li2O Molten Salt

  • Choi, Eun-Young;Im, Hun-Sook;Hur, Jin-Mok
    • 전기화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38-144
    • /
    • 2013
  • Electrochemical reductions of $UO_2$ at various anode-to-cathode distances (1.3, 2.3, 3.2, 3.7 and 5.8 cm)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anode-to-cathode distance on the electrochemical reduction rate. The geometry of the electrolysis cell in this study, apart from the anode-to-cathode distance, was identical for all of the electrolysis runs. Porous $UO_2$ pellets were electrolyzed by controlling a constant cell voltage in molten $Li_2O-LiCl$ at $650^{\circ}C$. A steel basket containing the porous $UO_2$ pellets and a platinum plate were used as the cathode and anode, respectively. The metallic products were characterized by means of a thermogravimetric analyzer, an X-ray diffractometer and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electrolysis runs conducted during this study revealed that a short anode-to-cathode distance is advantageous to achieve a high current density and accelerate the electrochemical reduction process.

Effect of $Nb_2O_5$ and $UO_2$ Powder Types on Sintered Density and Grain Size of the $UO_2$ Pellet

  • Yoo, Ho-Sik;Kim, Hyung-Soo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9권3호
    • /
    • pp.196-200
    • /
    • 1997
  • The variation of sintered density and fain size in ex-AUC, ex-ADU and granulated ex-ADU UO$_2$ pellets in which 0.1~1.0wt% Nb$_2$O$_{5}$ were doped were examined. Pellets were sintered in an atmosphere of H$_2$ at 1$700^{\circ}C$ for 4h. All the specimens tested shooed more than 94% T.D.(Theoretical Density). Sintered density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amount of Nb$_2$O$_{5}$. Powder types had little influence on the sintered density. Pore size distribution was shifted to the larger ones as Nb$_2$O$_{5}$ was added. The increase of total pore volume and grain growth due to the addition of Nb$_2$O$_{5}$ were thought to be the cause of the sintered density decrease. The largest grain size was seen in the 1. 0wt% Nb$_2$O$_{5}$ doped ex-AUC UO$_2$ pellets. Their average size was 13.9 ${\mu}{\textrm}{m}$.m}$.

  • PDF

ECONOMIC VIABILITY TO BeO-UO2 FUEL BURNUP EXTENSION

  • Kim, S.K.;Ko, W.I.;Kim, H.D.;Chung, Yang-Hon;Bang, Sung-Sig;Revankar, Shripad T.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3권2호
    • /
    • pp.141-148
    • /
    • 2011
  • This paper presents the quantitative analysis results of research on the burnup effect on the nuclear fuel cycle cost of BeO-$UO_2$ fuel.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if the burnup is 60 MWD/kg, which is the limit under South Korean regulations, the nuclear fuel cycle cost is 4.47 mills/kWh at 4.8wt% of Be content for the BeO-$UO_2$ fuel. It is, however, reduced to 3.70 mills/kWh at 5.4wt% of Be content if the burnup is 75MWD/kg. Therefore, it seems very advantageous, in terms of the economic aspect, to develop BeO-$UO_2$ fuel, which does not have any technical problem with its safety and is a high burnup & long life cycle nuclear fuel.

Possibility of curium as a fuel for VVER-1200 reactor

  • Shelley, Afroza;Ovi, Mahmud Hasa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4권1호
    • /
    • pp.11-18
    • /
    • 2022
  • In this research, curium oxide (CmO2) is studied as fuel for VVER-1200 reactor to get an attention to its energy value and possibilities. For this purpose, CmO2 is used in fuel rods or integrated burnable absorber (IBA) rods with and without UO2 and then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fuel assembly of VVER-1200 reactor. It is burned to 60 GWd/t by using SRAC-2006 code and JENDL-4.0 data library. From these studies, it is found that CmO2 is competent like UO2 as a fuel due to higher fission cross-section of 243Cm and 245Cm isotopes and neutron capture cross-section of 244Cm and 246Cm isotopes. As a result, when some or all of the UO2 of fuel rods or IBA rods are replaced by CmO2, we get a similar k-inf like the reference even with lower enrichment UO2 fuels. These studies show that the use of CmO2 as IBA rods is more effective than the fuel rods considering the initially loaded amount, power peaking factor (PPF), fuel temperature and void coefficient, and the quality of spent fuel. From a detailed study, 3% CmO2 with inert material ZrO2 in IBA rods are recommended for the VVER-1200 reactor assembly from the once through concept.

산소-17 핵자기공명분광법을 이용한 디옥소우라늄(VI) 이온의 질산 이온과의 착물형성에 관한 연구 (Study of Complex Formation of Dioxouranium(VI) Ion with Nitrate Ion by 17O NMR Spectroscopy)

  • 정우식
    • 공업화학
    • /
    • 제3권2호
    • /
    • pp.312-317
    • /
    • 1992
  • 디옥소우라늄(VI) (우라닐) 이온과 질산 이온과의 상호작용을 산소-17 핵자기공명분광법으로 연구하였다. $UO_2NO_3{^+}$의 우라닐 산소 원자(이후 우라닐 산소)의 산소-17 공명신호는 우라닐 이온의 그것보다 낮은 자기장에서 나타났다. $UO_2NO_3{^+}$의 안정도상수를 5, 15, 25, $35^{\circ}C$에서 질산 이온 농도에 따른 산소-17 화학적 이동의 변화로부터 구했으며, 그 값은 이온강도에 따라 달랐다. 안정도상수의 온도 의존성으로부터 계산한 열역학적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다: ${\Delta}H=-(27.2{\pm}1.7)kJ\;mol^{-1}$${\Delta}S=-(110{\pm}7)JK^{-1}mol^{-1}$. 우라닐 이온과 여러가지 음이온의 배위자와의 1:1 착물형성 반응에 대한 엔탈퍼와 엔트로피 사이에는 직선관계가 있었다.

  • PDF

1-Aza-12-Crown-4-Styrene-DVB 합성수지 흡착제에 의한 우라늄(VI) 이온의 흡착 (Adsorption of Uranium (VI) Ion on the 1-Aza-12-Crown-4-Styrene-DVB Synthetic Resin Adsorbent)

  • 김준태
    • 공업화학
    • /
    • 제19권3호
    • /
    • pp.304-309
    • /
    • 2008
  • 1%, 2%, 4% 및 8%의 가교도를 가진 스타이렌(제4류 위험물) 디비닐벤젠 공중합체에 1-aza-12-crown-4 거대고리 리간드를 치환반응으로 결합시켜 cryptand계 이온교환 수지들을 합성하였다. 이들 수지의 합성은 염소 함량, 원소 분석, 전자현미경 그리고 IR-스펙트럼으로 확인하였다. 우라늄(${UO_2}^{2+}$) 이온의 흡착에 미치는 pH, 시간, 수지의 가교도 그리고 용매의 유전상수에 따른 영향들을 조사한 결과 우라늄 이온은 pH 3 이상에서 큰 흡착율을 보였으며, 금속 이온들의 흡착 평형은 2 h 정도였다. 한편, 에탄올 용매에서 수지에 대한 흡착 선택성은 우라늄(${UO_2}^{2+}$) > 니켈($Ni^{2+}$) > 가돌리늄($Gd^{3+}$) 이온이었고, 우라늄 이온의 흡착력은 1%, 2%, 4% 및 8%의 가교도 순이었으며, 용매의 유전상수 크기에 반비례하였다.

Cryptand 이온교환 수지를 이용한 우라늄(VI) 이온의 흡착 (Adsorption of Uranium(VI) Ion Utilizing Cryptand Ion Exchange Resin)

  • 박성규;김준태
    • 분석과학
    • /
    • 제17권2호
    • /
    • pp.91-97
    • /
    • 2004
  • 1%, 2%, 5% 및 10%의 가교도를 가진 스틸렌 디비닐벤젠 공중합체에 1-aza-15-crown-5 거대고리 리간드를 치환반응으로 결합시켜 cryptand 이온교환 수지들을 합성하였다. 이들 수지의 합성은 염소 함량과 원소 분석 그리고 IR-스펙트럼으로 확인하였다. 우라늄 ($UO{_2}^{2+}$) 이온의 흡착에 미치는 pH, 시간, 수지의 가교도 그리고 용매의 유전상수에 따른 영향들을 조사하였다. 우라늄 이온은 pH 3 이상에서 큰 흡착율을 보였으며, 금속 이온들의 흡착 평형은 2시간 정도였다. 한편, 에탄올 용매에서 수지에 대한 흡착 선택성은 우라늄 ($UO{_2}^{2+}$), 마그네슘 ($Mg^{2+}$), 네오디뮴 ($Nd^{3+}$) 이온이었고, 우라늄 이온의 흡착력은 1%, 2%, 5% 및 10%의 가교도순 이었으며, 용매의 유전상수 크기에 반비례하였다.

U$O_2$핵연료의 기공 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ore Characteristics of the U$O_2$ Fuel)

  • Song, K-W;K.S. Seo;Sohn, D-S;Kim, S.H.;I.S.Chang;H.S. Chan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3권1호
    • /
    • pp.49-55
    • /
    • 1991
  • AUC공정으로 제조된 $UO_2$분말을 사용하여 소결체를 제조하여 미세 조직과 기공특성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개기공은 소결밀도 증가에 따라서 감소하였으며, 소결밀도 10.45 g/㎤ 이상에서는 거의 소멸하였다. 3$\mu$m보다 작은 크기의 둥근 기공이 모든 밀도에서 나타났고 낮은 밀도에서는 이것외에도 긴 기공이 관찰되었다. 같은 크기의 기공일지라도 밀도가 낮아지면 기공이 더욱 길게 나타났다. 기공크기에 따른 기공 면적의 분포는 mono 모우드이고, 2~3$\mu$m 기공크기에서 최대치를 보이는 분포를 보였다. 또한 밀도가 감소할수록 큰 기공에 관련된 면적이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