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H^-$

검색결과 66,821건 처리시간 0.073초

염기 촉매를 이용한 디메틸카보네이트 합성에서 ZnCl2 조촉매의 영향 (Effect of ZnCl2 Co-catalyst in the Synthesis of Dimethyl Carbonate from Ethylene Carbonate and Methanol by Using Base Catalysts)

  • 김동우;박문석;김문일;박대원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2호
    • /
    • pp.217-222
    • /
    • 2012
  •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디메틸카보네이트(DMC)를 제조하는 반응은 지구온난화 현상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는 이산화탄소의 효율적 전환 방법의 하나로 주목 받고 있다. DMC는 유독한 포스겐과 디메틸슬페이트를 대체하는 반응 매개체, 가솔린 연료 첨가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전구체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틸렌카보네이트(EC)와 메탄올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에 의한 DMC의 제조 반응에 대하여 이온성 액체와 금속 촉매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촉매 스크리닝 실험 결과 [Choline][OH]와 [BMIm][OH]가 금속염인 MgO, ZnO, CaO보다 더 좋은 촉매 활성을 나타내었다. [Choline][OH] 촉매에 대해서 반응변수인 반응온도, MeOH/EC 몰비, 이산화탄소 압력이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반응온도가 높고 MeOH/EC 몰비가 클수록 EC의 전화율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산화탄소 압력의 영향에서는 1.34 MPa에서 최고의 DMC 수율을 나타내었고 그 이상의 압력에서는 DMC 수율이 오히려 감소하였다. $ZnCl_2$를 조촉매로 사용한 경우 각각 촉매의 활성보다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어 시너지 효과가 관찰되었으며, 이것은 혼합촉매의 산-염기적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산소에 의한 바나듐 (III) 이온의 산화반응에 대한 $O^{18}$ 동위원소 연구 (Tracer Study Using $H_2O^{18}$ on the Oxidation of Vanadium (III) by Molecular Oxygen)

  • 김명자;최동식
    • 대한화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59-266
    • /
    • 1974
  • 과염소산 수용액 중에서 바나듐(III)이온이 산소에 의해 산화되는 반응에 대해서 pH 범위1∼3에 걸쳐 $H_2O^{18}$을 이용한 동위원소 실험을 행했다. 반응속도식$-\frac{d[V(III)]}{dt}=k_1\frac{[O_2][V(III)]}{[H^+]}$가 성립되는 높은 히드로늄이온 농도(pH<∼2)에서는 반응생성물 $VO^{2+}$이온의 산소가 모두 산소분자에서 유래된다는 결과를 얻었다. 반면 $-\frac{d[V(III)]}{dt}=K_2\frac{[O_2][V(III)]^2}{[Ht]^2}$의 속도식이 성립하는 pH>∼2 범위에서의 추적자 실험은 바나딜이온의 산소의 50%가 산소분자에서 온다는 결과를 주었다. 반응속도론의 결과 화학량론적 결정과 아울러 동위원소 실험결과를 고려하면 다음과 같은 반응 메카니즘을 제안할 수 있다.$$V^{3+}\rightleftarrows VOH^{2+} + H+, 2VOH^{2+}\rightleftarrowsV_2(OH)_2^{4+}$$$$ 낮은\PH:\ VOH^{2+}+O_2 \rightarrow V(O_2)OH^{2+}, V(O_2)OH^{2+}+VOH^{2+}\rightarrow 2VO^{2+}+H_2O_2$$$$ 높은\PH:\V2(OH)_2^{4+}+O_2\rightarrow2VO^{2+}+H_2O_2, V_2(OH)_2^{4+}+H_2O_2\rightarrow2VO^{2+}+2H_2O$$

  • PDF

가교된 PVA/PAA 막을 이용한 MTBE-Methanol 혼합물에 대한 투과증발분리 (Pervaporation Separation of MTBE-Methanol Mixtures Using PVA/PAA Crosslinked Membranes)

  • 임지원;김연국
    • 멤브레인
    • /
    • 제8권4호
    • /
    • pp.235-242
    • /
    • 1998
  • 옥탄가상승제 및 대기오염 저감물질로 잘 알려진 메틸터셔리부틸에테르(MTBE)를 투과증발분리 공정을 이용하여 메탄올로 부터 분리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물과 알코올계에 성공적으로 적용된 바 있는 폴리비닐알코올(PVA)과 폴리아크릴산(PAA)이 서로 가교된 막을 이용하여 폴리아크릴산의 양을 폴리비닐알코올에 대하여 5,10,15,20,25 wt% 변경하면서 조업온도 30,40,50$\circ$C, 공급혼합물액의 조성 메탄올 5,10,20 wt%에 대하여 투과증발 실험을 수행하였다. 공급액온도 50$\circ$C의 MTBE/MeOH=80/20 용액에 대하여 PVA/PAA=85/15 막을 사용하였을 때 투과도 10.1 g/m$^2$hr 및 선택도 약 4000을 얻었다. 또한 공급액온도 40$\circ$C의 MTBE/MeOH=90/10 용액에 대하여 같은 막을 사용했을 경우 투과도 8.5 g/m$^2$hr 및 선택도 약 6000의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또한 사용된 막과 투과도 및 선택도와의 관계에는 막의 hydrophilic/hydrophobic balance가 현재의 MTBE/MeOH 계의 분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간단한 화학적 합성을 통한 고성능 슈퍼캐패시터용 수산화 구리 전극 (Facile Chemical Growth of Cu(OH)2 Thin Film Electrodes for High Performance Supercapacitors)

  • ;남민식;;전성찬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제1권1호
    • /
    • pp.175-18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간단한 화학적 합성 방법을 통하여 스테인레스 기판 위에 nano-bud 형태의 수산화 구리 박막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또 다른 합성 방법인 chemical bath deposition을 이용하여 수산화 구리 나노 구조를 간단하고 친환경적으로 형성하였다. 수산화 구리 박막의 구조적 연구는 X-ray diffraction (XR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방법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다결정의 nano-bud 형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나노 구조로 합성된 수산화구리 전극의 전기화학적 측정은 1M KOH의 전해질 조건에서 cyclic voltammetry (CV) and galvanostatic charge-discharge (GCD)에서 측정되었으며 $340Fg^{-1}$의 높은 비 용량을 보였다. 또한 $1mA\;cm^{-2}$ 의 전력 밀도에서 ${\sim}83Wh\;kg^{-1}$의 높은 에너지 밀도와 ${\sim}3.1kW\;kg^{-1}$의 높은 출력 밀도를 가지며 향상된 전극의 성능을 보였다. 이러한 뛰어난 의사 캐패시터의 성능은 수산화 구리의 nano-bud 형상에 의한 효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화학적 합성 방법의 확장을 통하여 수산화 구리 전극의 에너지 저장 장치로써의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GABA-enriched fermented Laminaria japonica improves cognitive impairment and neuroplasticity in scopolamine- and ethanol-induced dementia model mice

  • Reid, Storm N.S.;Ryu, Je-kwang;Kim, Yunsook;Jeon, Byeong Hwa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2권3호
    • /
    • pp.199-207
    • /
    • 2018
  • BACKGROUND/OBJECTIVES: Fermented Laminaria japonica (FL), a type sea tangle used as a functional food ingredient, has been reported to possess cognitive improving properties that may aid in the treatment of common neurodegenerative disorders, such as dementia. MATERIALS/METHODS: We examined the effects of FL on scopolamine (Sco)- and ethanol (EtOH)-induced hippocampus-dependent memory impairment, using the Passive avoidance (PA) and Morris water maze (MWM) tests. To examine the underlying mechanisms associated with neuroprotective effects, we analyzed acetylcholine (ACh) and acetylcholinesterase (AChE) activity, brain tissue expression of muscarinic acetylcholine receptor (mAChR), cAMP 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 (CREB) and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s 1/2 (ERK1/2), and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in the hippocampus of mice, compared to current drug therapy intervention. Biochemical blood analysis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FL on alanine transaminase (ALT), aspartate transaminase (AST), and triglyceride (TG) and total cholesterol (TC) levels. 7 groups (n = 10) consisted of a control (CON), 3 Sco-induced dementia and 3 EtOH-induced dementia groups, with both dementia group types containing an untreated group (Sco and EtOH); a positive control, orally administered donepezil (Dpz) (4mg/kg) (Sco + Dpz and EtOH + Dpz); and an FL (50 mg/kg) treatment group (Sco + FL50 and EtOH + FL50), orally administered over the 4-week experimental period. RESULTS: FL50 significantly reduced EtOH-induced increase in AST and ALT levels. FL50 treatment reduced EtOH-impaired step-through latency time in the PA test, and Sco- and EtOH-induced dementia escape latency times in the MWM test. Moreover, anticholinergic effects of Sco and EtOH on the brain were reversed by FL50, through the attenuation of AChE activity and elevation of ACh concentration. FL50 elevated ERK1/2 protein expression and increased p-CREB (ser133) in hippocampus brain tissue, according to Western blot and immunohistochemistry analysis, respectively. CONCLUSION: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FL may be considered an efficacious intervention for Sco- and EtOH-induced dementia, in terms of reversing cognitive impairment and neuroplastic dysfunction.

건조 도라지 추출물 및 분획물의 총 페놀계 화합물 함량 및 인체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Total Phenolics of Dried Platycodon grandiflorum and Its Effect on Growth of Human Cancer Cell Lines)

  • 황성연;최향미;임선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84-8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도라지를 건조한 후 분말화하여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도라지 추출물 및 분획물의 총 페놀계 화합물 함량 및 인체 암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효과에 대해 검토하였다. 건조 도라지의 총 페놀계 화합물 함량 측정 실험에서 A+M 추출물과 MeOH분획물은 각각 4.53 및 27.22 TAE mg/100 g의 페놀계 화합물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건조 도라지 분획물들 중 n-BuOH 분획물은 14.82 TAE mg/100 g로 가장 높은 페놀계 화합물 함량을 나타내었다. n-BuOH 분획물을 다시 RP flash column chromatography로 분획하여 얻은 분획물들(rfc 1-5) 중 rfc 1은 다른 분획물들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페놀계 화합물 함량을(1.27 TAE mg/100 g) 나타냈다. 건조 도라지 추출물의 인체 암세포들(HT-29 및 AGS)에 대한 증식 억제효과 실험에서 A+M 추출물 및 MeOH 분획물은 인체 암세포 증식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며(p<0.05) 두 암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효과에는 차이가 없었다. 건조 도라지 분획물들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에도 n-BuOH 분획물의 $IC_{50}$이 0.06 mg/mL로 가장 활성이 높았고 n-BuOH 분획물의 rfc 1-5를 암세포에 0.001-0.05 mg/mL의 농도로 처리했을 때 rfc 1-3의 경우, 0.005 mg/mL 이상의 농도에서 높은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건조 도라지의 n-BuOH 분획물에 의한 강력한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는 높은 함량의 페놀계 화합물에 기인한 것으로 여겨지며 향후 분획물의 분리 정제를 통한 새로운 기능성 물질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구절초 꽃의 항산화 활성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Antioxidative Activity and Flavonoid Content of Chrysanthemum zawadskii Flowers)

  • 현미란;이영상;박영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1호
    • /
    • pp.68-73
    • /
    • 2011
  • 본 연구는 차로써 이용이 증대되고 있는 구절초 꽃의 항산화 능력과 이와 관련된 유효한 성분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구절초 꽃을 MeOH로 추출한 수율은 16%였고, MeOH 추출물을 다시 용매별로 분획한 결과 잔류 water > n-hexane > EtOAc > n-BuOH > $CHCl_3$ 분획물 순으로 추출수율을 보였다. 총 polyphenol 함량은 EtOAc분획물이 $195mg{\cdot}g^{-1}$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MeOH 추출물, $CHCl_3$, 잔류 water, n-BuOH, n-hexane 분획물 순으로 높게 나왔다. Flavonoid 함량 역시 EtOAc 분획물이 $143mg{\cdot}g^{-1}$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n-BuOH, n-hexane, 메탄올, 잔류 water, $CHCl_3$ 분획물 순으로 높았다. 구절초의 전자공여능과 총 항산화력 측정에서는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EtOAc 분획물이 $100{\mu}g{\cdot}mL^{-1}$에서 81.56%, 68.12%의 가장 높은 전자공여능 및 총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구절초 MeOH 추출물과 EtOAc분획물을 HPLC로 분석한 결과 flavonoid 유효성분으로 quercetin과 luteolin이 확인되었으며 EtOAc 분획물 경우 각각의 함량이 $20.02mg{\cdot}g^{-1}$, $1.65mg{\cdot}g^{-1}$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구절초 꽃의 항산화력은 MeOH 추출물의 EtOAc 분획에 포함된 quercetin에 주로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더덕 사포닌인 lancemasides의 최적 추출 방법 구명 (Determination the optimum extraction method for saponin lancemasides in Codonopsis lanceolata)

  • 이민주;남주희;엄인석;강창근;노일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03-108
    • /
    • 2019
  • 본 연구는 더덕 사포닌의 최적 추출 방법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추출 방법에 따른 lancemasides 함량을 조사하기 위해 환류 추출(MeOH, BuOH), 열수 추출(Hot water), 초음파 추출(ultrasonic bath (40 kHz; continuous irradiation, interval irradiation), ultrasonicator (20 kHz))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lancemasides함량은 ultrasonic bath (MeOH; continuous irradiation) 추출에서 가장 높았고, ultrasonic bath (water; continuous irradiation) 추출>ultrasonic bath (MeOH; interval irradiation) 추출>ultrasonicator 추출>열수 추출>메탄올 환류 추출>부탄올 환류 추출 순으로 높았다. 따라서 더덕 사포닌의 최적 추출 방법은 MeOH을 이용한 초음파(ultrasonic bath, 40 kHz) 추출이었고, 추출 전 시료 건조 방법은 동결건조보다 음건으로 건조하는 것이 lancemasides 추출에 더 효과적이었다. 또한 초음파 추출 시 추출 시간은 2시간, 추출 온도는 $64^{\circ}C$에서 추출 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초음파(ultrasonic bath)추출은 기존에 주로 이용하던 환류 추출 및 분획을 실시했을 때 보다 많은 양의 사포닌(lancemasides)을 추출할 수 있었다. 그리고 추출 시간과 온도와 같은 추출 조건에 따라 aster saponin Hb가 lancemaside류로 성분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추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aster saponin의 함량이 줄어들고, lancemaside A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추출 온도가 사포닌 성분 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Wax Gourd Extracts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Uncoupling Protein Genes(Ucps) Expression in 3T3-Ll Preadipocytes

  • Kang, Keun-Jee;Kwon, So-Young
    • Nutritional Sciences
    • /
    • 제6권3호
    • /
    • pp.148-154
    • /
    • 2003
  • Although various raw plant materials have been demonstrated to exert anti-obesity effects to a greater or lesser extent in both humans and animals when they are used to supplement the diet, it has not been shown extensively that they influence adipocyte cell differentiation involving lipid metabolic gene expressions. Using a well-established 3T3-L1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system, we decided to look into molecular and cellular event occurring dur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when raw plant materials aye included in the process, in an effort to demonstrate the potential use of a screening system to define the functions of traditionally well-known materials. To these ends, the effects of ethanol (EtOH) or EtOH/distilled water (DW) extracts of Wax Gourd were examined using cytochemical and molecular analyses to determine whether components of the extracts modulate adipocyte differentiation of 3T3-Ll preadipocytes in vitro. The cytochemical results demonstrated that EtOH or EtOH/DW extracts did not affect lipid accumulation and cell proliferation, although the degree of lipid accumulation was influenced slightly depending on the extract. EtOH extract was highly effective in apoptotic induction during differentiation of 3T3-Ll preadipocytes (p<0.05).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alysis of lipoprotein lipase (LPL), Uncoupling protein (Ucp) 2, 3 and 4 also showed that while LPL expression was not influenced, Ucp2, 3 and 4 were up regulated in the EtOH extract-treated group and down regulated in the EtOH/DW extract-treated group. These changes in gene expressions suggest that the components in different fractions of Wax Gourd extracts may modulate lipid metabolism by either direct or indirect action. Taking these results together, it was concluded that molecular and cellular analyses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involving lipid metabolic genes should facilitate understanding of cellular events occurring dur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Furthermore, the experimental scheme and analytical methods used in this study should provide a screening system for the functional study of raw plant materials in obesity research.

Ameliorating Effects of Banhasasim-tang Extrat on the HCl/EtOH-induced Gastric Mucosa Damages in Mice

  • Lee, Eun Jung;Kwak, Min Ah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37-547
    • /
    • 2014
  •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effect of Banhasasim-tang (BHSST) on the HCl/EtOH-induced gastric ulcer in mice. Three different dosages of BHSST extract (400, 200 and 100 mg/kg) were once orally administered 1 hr before HCl/EtOH mixture treatment. One hour after HCl/EtOH mixture single oral treatment, the changes on the gross hemorrhagic lesion scores, fundic histopathology, gastric nitrate/nitrite contents,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nt defense system (catalase and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ies) were observed, and compared with that of ranitidine 100 mg/kg. As results of all three different dosages of BHSST extract treatment in the HCl/EtOH-induced gastric ulcer mice, significant and dose-dependent decreased gastric damages. BHSST extracts also increased gastric nitrate/nitrite contents and strengthened the antioxidant defense systems, and increased the activities of catalase and SOD, respectively. BHSST extracts 200 mg/kg showed similar anti-ulcerative effect as compared with ranitidine 100 mg/kg, in this experiment. BHSST has favorable protective effects against to the HCl/EtOH-induced gastric damages, through the strengthening of the body antioxidant defense systems. These gastroprotective effects of BHSST against HCl/EtOH-induced gastric ulcer considered as results of complicated synergic effects of their 8 kinds of herbal components, but exact synergic or individual herbal effects are difficult to discuss in this study. Therefore, more detail synergic effects between 8 kinds of individual herbal component of BHSST should be tested with screening of active anti-inflammatory chemical ingredients, in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