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Ca^{2+}$ exchange

검색결과 209건 처리시간 0.021초

단일심근 세포의 활동전압 및 막전류에 대한 Na-Ca 교환기전의 영향 (Effect of Na-Ca Exchange on the Action Potential and the Membrane Current of Rabbit Atrial Cells)

  • 호원경;서인석;엄융의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3권2호
    • /
    • pp.313-328
    • /
    • 1989
  • The electrophysiological properties of the inward current contributing to the late plateau phase of the action potential were investigated using the whole cell clamp technique and intracellular dialysis in single atrial cells isolated from the rabbit heart. The inward current was activated by various repolarizing pulses after a brief depolarizing pulse to +40 mV for 2 ms and its time course was similar to that of the late plateau of the action potential. The current was fully activated above the potential of -40 mV and abolished by intracellular EGTA. Ryanodine of $1{\mu}M$ also abolished the late plateau and the inward current. Reduced $Na_o\;to\;30%\;and\;20\;mM\;Na_1$ diminished the late plateau together with the inward current. Diltiazem blocked the activation of the current and Ni in the concentration of $40{\sim}200\;{\mu}M$ decreased the development of the late plateau and the inward current. Fully activated current-voltage relation of the inward current showed exponential voltage dependency which was steeper in more hyperplarizing range. The above findings suggest that the inward current was activated by intracellular calcium and contribute the late plateau phase of the action potential.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inward current would be the inward component of Na-Ca exchange.

  • PDF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를 통한 백운석으로부터 CaCO3 및 MgO/Mg(OH)2 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ynthesis of CaCO3 & MgO/Mg(OH)2 from Dolomite Using the Strong Acidic Cation Exchange Resin)

  • 황대주;유영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7권6호
    • /
    • pp.812-825
    • /
    • 2019
  • 국내에서 채광되는 백운석(dolomite, $CaMg(CO_3)_2$)을 회분식 형태의 마이크로웨이브 소성로($950^{\circ}C/60min$)에 의해 소성하여 경소백운석($CaO{\cdot}MgO$)을 제조하였다. 국내에서 산출된 두 개의 백운석 시료를 대상으로 경소백운석($CaO{\cdot}MgO$) 제조 후 수화 특성을 규명한 결과 반응성이 다름을 규명하였다. 경소백운석($CaO{\cdot}MgO$)의 수화 특성의 반응성을 이용하여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와 반응 시켜서 MgO를 분리하는 조건을 실시하였다. 분리 실험 조건은 경소백운석($CaO{\cdot}MgO$)과 $R-SO_3H$ (1:12 mass %)로 칼슘이온 흡착($Ca-(R-SO_3)_2$)하여 MgO를 분리하였다. 분리 후 MgO의 함량은 94 mass % 이상으로 분리되었다. 분리된 MgO를 $950^{\circ}C$, 60 min 동안 열처리 후 MgO의 순도는 96 mass %로 나타났다. 그리고칼슘 이온이 흡착된강산성 양이온교환수지($Ca-(R-SO_3)_2$)와 NaOH, $CO_2$ gas 반응에 의해서 98 mass %의 $CaCO_3$를 합성하였다.

Mouse 갑상선에서 α1-adrenoceptor 자극에 의한 thyroxine 유리 억제기전 (Inhibitory mechanism of α1-adrenergic stimulation on the release of thyroxine in mouse thyroids)

  • 강형섭;김송규;강창원;김진상;이호일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712-719
    • /
    • 1998
  • Thyroid function is mainly regulated through cAMP and phophatidylinositol, and it is well known that TSH-stimulated thyroxine ($T_4$) release is inhibited by catecholamine from mouse thyroids via the ${\alpha}_1$-adrenoceptor stimulation. Previous study has established that the inhibition of $T_4$ release by ${\alpha}_1$-adrenoceptor stimulation results in activated protein kinase C (PK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ion transport systems are involved in the inhibition of $T_4$ release elicited by ${\alpha}_1$-adrenergic agonist in mouse thyroids. TSH-, IBMX- and cAMP analogue-stimulated $T_4$ release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by methoxamine, R59022 (diacylglycerol kinase inhibitor), and MDL (adenylate cyclase inhibitor). TSH-stimulated $T_4$ release could be inhibited by Bay K 8644 and cyclopiazoic acid, but not by verapamil and tetrodotoxin. The addition of nifedipine ($Ca^{2+}$ channel blocker), tetrodotoxin and lidocaine ($Na^+$ channel blockers), but not amiloride (EIPA) and ryanodine, completely blocked the inhibitory effects of methoxamine on $T_4$ release. TSH-stimulated $T_4$ release was also inhibited by benzamil ($Na^+-Ca^{2+}$ exchange inhibitor). TSH-, IBMX- and cAMP-stimulated $T_4$ release were inhibited by methoxamine or R59022, these effects were reversed by nifedipine. but not by verapamil. Furthermore, nifedipine reversed the inhibitory effects of benzamil and R59022 on TSH-stimulated $T_4$ release. These data suggest that the observed ${\alpha}_1$-adrenoceptor-mediated inhibition of $T_4$ release in mouse thyroids is the result of an increase in intracellular $Na^+$ or $Ca^{2+}$ effected via activation of fast $Na^+$ or nifedipine-sensitive $Ca^{2+}$ channels, and that $Na^+-Ca^{2+}$ exchange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thyroid hormone by increasing intracellular $Ca^{2+}$.

  • PDF

이온 교환된 NaA형 제올라이트 분리막의 투과증발 특성 (Pervaporation Characteristics of Ion-exchanged NaA Type Zeolite Membranes)

  • 이용택;염인아;윤미혜
    • 멤브레인
    • /
    • 제19권3호
    • /
    • pp.189-193
    • /
    • 2009
  • 제올라이트 분리막 제조 시 제올라이트 골격 내에 존재하는 $Na^{+}$ 양이온을 $K^{+}$ 이온과 $Ca^{2+}$ 이온으로 교환하여 보다 효율적인 물/에탄올 혼합물로부터 물의 분리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NaA형 제올라이트 분리막을 각각의 0.5 M KCI $CaCl_2$, $80^{\circ}C$ 수용액에서 4시간 동안 이온교환 하였다. $Na^{+}$ 이온을 $K^{+}$ 이온으로 교환한 결과, 이온 교환 전 총 투과플럭스는 $900\;g/m^2{\cdot}hr{\sim}2,500\;g/m^2{\cdot}hr$이었으나 이온 교환 후 $600\;g/m^2{\cdot}hr{\sim}2,000\;g/m^2{\cdot}hr$ 정도로 낮아졌으며, 이온 교환 전 $600{\sim}2,200$의 선택도를 나타내던 분리막의 선택도가 이온 교환 후에 $850{\sim}2,500$까지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Na^{+}$ 이온을 $Ca^{2+}$ 이온으로 교환한 결과, 제올라이트 분리막의 전체 투과플럭스와 선택도 모두 이온 교환 전 후 유사한 결과 값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친수성 제올라이트 분리막의 유효세공경을 제어하고 적절한 크기로 조절하여 유기물/물 혼합물 분리에 활용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유기물의 선택적 분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Comparison of the Determinants in the Differences in Force-Frequency Relationships between Rat and Rabbit Left Atria

  • Ko, Chang-Mann;Kim, Soon-Ji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4권5호
    • /
    • pp.417-425
    • /
    • 2000
  • The underlying mechanism commonly applicable for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force-frequency relationships (FFR) was pursued in left atria (LA) of rat and rabbit. The species differences in the roles of $Na^+/Ca^{2+}$ exchanger and sarcoplasmic reticulum (SR), which are major intracellular $Ca^{2+}$ regulatory mechanisms in the heart, were examined in the amplitude accommodation to the frequency that changed from 3 Hz to the variable test frequencies for 5 minutes in the electrically field stimulated left atria (LA) of rat and rabbit. Norepinephrine strongly increased the frequency-related amplitude accommodation in both of rat and rabbit LA, while monensin, oubain or the reduced $Na^+$ and 0 mM $Ca^{2+}$ containing Tyrode solution increased the frequency-related amplitude accommodation only in the rabbit LA. Monenisn was also able to increase the frequency-related amplitude accommodation only in 1-day old rat LA but not in 4-week old rat LA that had 75% less $Na^+/Ca^{2+}$ exchanger with 97% higher SR than 1-day old rat LA. Taken together, it is concluded that the differences in the prevalence between myocardial $Na^+/Ca^{2+}$ exchanger and SR in the amplitude accommodation to the frequency-change determine the difference in the FFR between rat and rabbit heart.

  • PDF

은이온을 함유한 Na2O-TiO2-P2O5 glass-ceramic의 항균 특성 (Anti-bacterial effects of the Na2O-TiO2-P2O5 glass-ceramics added Ag+ ion)

  • 박노형;유은성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210-213
    • /
    • 2011
  • $P_2O_5$ 함량에 따른 $5Na_2O-36CaO-10TiO_2-xP_2O_5$으로 구성된 glass-ceramic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1) 1 N HCl 용액 내에서 $Ca_3(PO_4)_2$$NaTi_2(PO_4)_3$ 간의 $Ca_3(PO_4)_2$ 결정을 2일간 추출하여 제거함. 2) Ag($NO_3$) 용액에서 1일간 $Na^+$ 이온을 $Ag^+$ 이온으로 이온 교환시킴. Glass-ceramic의 합성 여부를 SEM 및 XRD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Staphylococus aureus를 이용한 박테리아 실험 결과 3시간 이후에는 완전하게 박테리아가 제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 불균질 이온교환막을 이용한 막 결합형 축전식 탈염공정의 탈염성능 Part II : 불균질 이온교환막의 탈염성능 (Performance of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Process Using Polyvinylidene Fluoride Heterogeneous Ion Exchange Membranes Part II : Performance Study of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Process)

  • 박철오;임지원
    • 멤브레인
    • /
    • 제27권3호
    • /
    • pp.240-24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막 결합형 축전식 탈염공정에 적용을 위해 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를 고분자 지지체로 사용하여 양이온 및 음이온교환수지를 배합하여 제작된 불균질 이온교환막을 탄소전극에 결합하여 염 제거 효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불균질 이온교환막의 배합 조건은 용매, 고분자 지지체, 이온교환수지를 7 : 2 : 1의 무게 비율로 하였으며 탄소전극에 직접 캐스팅 하였다. 운전조건으로 공급액은 주로 NaCl 수용액에 대하여 흡착전압, 시간, 공급액의 농도, 유속, 탈착전압, 시간 등에 대하여 염 제거 효율을 측정하였으며 이 외에 $CaCl_2$$MgSO_4$ 수용액에 대하여서도 측정하였다. 대표적으로 NaCl 100 mg/L 용액의 15 mL/min에서 1.5 V, 3분의 흡착조건, -0.1 V, 3분의 탈착조건에서 98%의 염 제거 효율을 보였으며, $CaCl_2$$MgSO_4$는 100 mg/L, 15 mL/min에서 1.2 V, 3분의 흡착조건, -0.5 V, 5분의 탈착조건에서 각각 70, 59%의 염 제거 효율을 보였다.

막결합 축전식 탈염장치를 이용한 혼합용액에서 칼슘이온의 선택적 제거 (Selective Removal of Calcium Ions from a Mixed Solution using Membrane Capacitive Seionization System)

  • 김유진;최재환
    • 공업화학
    • /
    • 제23권5호
    • /
    • pp.474-479
    • /
    • 2012
  • 막결합 축전식 탈염(MCDI) 기술을 이용하여 $Na^{+}$$Ca^{2+}$ 이온이 혼합된 용액에서 $Ca^{2+}$ 이온의 선택적 제거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양이온교환막인 CMX막에 대한 $Ca^{2+}$ 이온의 선택성을 확인하기 위해 흡착평형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MCDI 셀을 이용해 혼합용액(5 meq/L NaCl + 2 meq/L $CaCl_{2}$)에 대한 탈염실험을 수행하였다. 흡착평형 실험결과 용액과 CMX막에서 $Ca^{2+}$ 이온의 당량분율은 각각 28.6, 87.2%를 보여 CMX막이 $Ca^{2+}$ 이온에 대해 높은 선택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MCDI 셀에 일정한 전류를 인가하면서 셀 전위가 1.0 V에 도달할 때까지 탈염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흡착된 이온의 총량은 인가한 전류밀도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하였다. 그러나 흡착된 이온 중 $Ca^{2+}$ 이온의 비율은 전류밀도에 반비례하였으며 200, 300, 500, $700\;A/m^{2}$의 전류밀도에서 각각 81.4, 78.4, 77.0, 74.5%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낮은 전류밀도에서 CMX막에 흡착된 $Ca^{2+}$ 이온의 비율이 높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하동고령토의 Sodium Hydroxide 용액 처리에 의한 결정의 변화 (On Crystallization of Hadong Kaolin Treated with Aqueous Sodium Hydroxide Solution)

  • 권이열;김면섭
    • 대한화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49-256
    • /
    • 1972
  • 하동 kaolin을 NaOH용액으로 처리하여 그의 결정성을 X-선 분말회절법으로 조사하였다. 각 결정 생성의 최적 처리 조건은 다음과 같다. <표> Sodium A zeolite 결정 생성을 위해 적당한 $Na_2O 대 SiO_2$의 비는 0.5${\sim}$1.5이다. 생성된 Sodium A zeolite 의$ 25^{\circ}C$, 0.2N $CaCl_2$ 용액에서의 $Ca^{++}ion$ 교환능은 이론값의 65%였다.

  • PDF

몬모리노나이트와 란탄족 원소들과의 인터카레이숀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Intercalation between Montmorillonite and Lanthanides)

  • 하영구
    • 대한화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488-492
    • /
    • 1986
  • 경북 원성군 감포 78에서 산출되는 벤토나이 중 몬모리노나이트를 분리하여 Ca, Mg-형을 NaCl용액으로 처리하여 Na-형 몬모리노나이트를 만들었다. 이때 가장 적당한 조건은 0.05M NaCl용액으로 80${\circ}C$에서 24시간 반응시켜 치환되는 $Ca^{2+}$, $Mg^{2+}$량을 EDTA로 적정하여 양이온 교환 용량을 구하였다. Na-형에 $Ln^{3+}$이온용액과 같은 조건하에서 반응시켜 $Ln^{3+}$-형 몬모리노나이트를 만들었다. 치환되는 량은 $Ln^{3+}$이온들의 이온 크기에는 무관함을 알 수 있었고, X-선 회절 실험결과 순수한 몬모리노나이트를 얻을 수 있음을 밝혔고, 또한 $Ln^{3+}$형은 새로운 결정모양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단순한 틈새끼우기 반응이 아니 새로운 결정형이 생성됨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