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NH_4-N$

검색결과 2,108건 처리시간 0.029초

Ensiling Characteristics and the In situ Nutrient Degradability of a By-product Feed-based Silage

  • Kim, Y.I.;Oh, Y.K.;Park, K.K.;Kwak, W.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2호
    • /
    • pp.201-208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nsiling characteristics and the in situ degradability of a by-product feed (BF)-based silage. Before ensilation, the BF-based mixture was composed of 50% spent mushroom substrate, 21% recycled poultry bedding, 15% ryegrass straw, 10.8% rice bran, 2% molasses, 0.6% bentonite, and 0.6% microbial inoculant on a wet basis and ensiled for up to 4 weeks. The BF-based silage contained on average 39.3% moisture, 13.4% crude protein (CP), and 52.2% neutral detergent fiber (NDF), 49% total digestible nutrient, and 37.8% physically effective $NDF_{1.18}$ on a dry matter (DM) basis. Ensiling the BF-based silage for up to 4 weeks affected (p<0.01) the chemical composition to a small extent, increased (p<0.05) the lactic acid and $NH_3$-N content, and decreased (p<0.05) both the total bacterial and lactic acid bacterial counts from $10^9$ to $10^8$ cfu/g when compared to that before ensiling. These parameters indicated that the silage was fermented and stored well during the 4-week ensiling period. Compared with rice or ryegrass straws, the BF-based silage had a higher (p<0.05) water-soluble and filterable fraction, a lower insoluble degradable DM and CP fraction (p<0.05), a lower digestible NDF (p<0.05) fraction, a higher (p<0.05) DM and CP disappearance and degradability rate, and a lower (p<0.05) NDF disappearance and degradability rat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cheap, good-quality BF-based roughage could be produced by ensiling SMS, RPB, rice bran, and a minimal amount of straw.

The Effects of Additives in Napier Grass Silages on Chemical Composition, Feed Intake, Nutrient Digestibility and Rumen Fermentation

  • Bureenok, Smerjai;Yuangklang, Chalermpon;Vasupen, Kraisit;Schonewille, J. Thomas;Kawamoto, Yasuhir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9호
    • /
    • pp.1248-1254
    • /
    • 2012
  • The effect of silage additives on ensiling characteristics and nutritive value of Napier grass (Pennisetum purpureum) silages was studied. Napier grass silages were made with no additive, fermented juice of epiphytic lactic acid bacteria (FJLB), molasses or cassava meal. The ensiling characteristics were determined by ensiling Napier grass silages in airtight plastic pouches for 2, 4, 7, 14, 21 and 45 d. The effect of Napier grass silages treated with these additives on voluntary feed intake, digestibility, rumen fermentation and microbial rumen fermentation was determined in 4 fistulated cows using $4{\times}4$ Latin square design. The pH value of the treated silages rapidly decreased, and reached to the lowest value within 7 d of the start of fermentation, as compared to the control. Lactic acid content of silages treated with FJLB was stable at 14 d of fermentation and constant until 45 d of ensiling. At 45 d of ensiling,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acid detergent fiber (ADF) of silage treated with cassava meal were significantly lower (p<0.05) than the others. In the feeding trial, the intake of silage increased (p<0.05) in the cow fed with the treated silage. Among the treatments, dry matter intake was the lowest in the silage treated with cassava meal. The organic matter, crude protein and NDF digestibility of the silage treated with molasses was higher than the silage without additive and the silage treated with FJLB. The rumen parameters: ruminal pH, ammonia-nitrogen ($NH_3$-N), volatile fatty acid (VFA), blood urea nitrogen (BUN) and bacterial popula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In conclusion, these studies confirmed that the applying of molasses improved fermentative quality, feed intake and digestibility of Napier grass.

Biomass Production Potential of Chlorella vulgaris Under Different CO2 Concentrations and Light Intensities

  • Lee, Chang-Min;Kim, Mi-Jeong;Sanjay, Kumar;Kwag, Jung-Hoon;Ra, Chang-Six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3호
    • /
    • pp.261-268
    • /
    • 2011
  • The increasing demand of the crops (soybean and corn) for biofuel production has increased the focus of the animal nutritionists to look for alternative feeds, which are economic and environmental friendly. To identify microalgae as suitable candidate as an alternative feed, growth response of Chlorella vulgaris was studied under varying concentrations of carbon dioxide (0.07, 1.4, 3.0 and 5.0%) and photon densities (39.19, 72.97, 105.41, 116.22, 135.14, $175.68\;{\mu}mol/m^2/s$) by employing a photo-bioreactor. Swine wastewater was also investigated as nutritional source to economize the biomass production.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biomass production was found to be at 3.0% $CO_2$ compared to other $CO_2$ concentrations. However, no difference in biomass production was found at $105.41\;{\mu}mol/m^2/s$ and above photon densities with 12 h of photoperiodicity. It was observed that C. vulgaris could easily grow in 200 times diluted swine wastewater and growth was found to be similar with that of artificial medium. Provided the conducive conditions for optimal growth, it has also the potentiality of depleting ammonia nitrogen ($NH_4$-N) and orthophosphate ($PO_4^{3-}$-P) completely from the wastewater after 3~4 days of cultivation. Thus, growing C. vulgaris would not only solve the problem of animal feed, but also help in biological $CO_2$ mitigation and wastewater treatment.

춘천지역의 참취 및 삼지구엽초의 자생지 식생 및 환경특성 (Vegetation and Environment in Natural Habitats of Aster scaber and Epimedium koreanum around Chunchon)

  • 박병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22-427
    • /
    • 1997
  • 유용자원식물의 자생지 재배기술의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저 참취와 삼지구엽초의 자생지 식생 및 환경(생태 및 토양화학성분) 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참취자생지인 춘천 A. 연엽산 A 그리고 연엽산 B에서의 종수는 20, 26, 25종이었고 삼지구엽초 자생지인 춘천 B, 북방면 그리고 대룡산에서는 15, 32, 26종이었다. 참취 자생지의 우점종은 춘천 A, 연엽산 A, 연엽산 B에서 맑은대쑥, 애기나리, 실새풀 등이었으며 삼지구엽초의 자생지인 춘천 B, 북방면, 대룡산에서는 고사리, 맑은대쑥, 애기나리 등이 우점하였다. 2. 자생지의 토양산도는 4.5-5.3 범위였으며 유기물 함량은 1.59(춘천A)$\sim$5.5(연엽산 B)이었다. 암모니아태 질소 및 질산태 질소함량은 참취 자생지와 삼지구엽초 자생지 토양에서 평균 각각 0.0043mg/kg, 0.0025mg/kg이었다. 3. 자생지 토양의 $NH_4-N$의 성분은 참취의 자생지의 토양성분이 삼지구엽초의 자생지 토양성분보다 약간 높은 수치를 보였다. 그밖의 성분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 PDF

겨울철 광주지역 $PM_{2.5}$의 화학적 특성 조사 (Investigation of Chemical Characteristics of $PM_{2.5}$ during Winter in Gwangju)

  • 고재민;배민석;박승식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89-102
    • /
    • 2013
  • 24-hr $PM_{2.5}$ samples were collected from January 19 through February 27, 2009 at an urban site of Gwangju and analyzed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s of organic and elemental carbon(OC and EC), water-soluble OC(WSOC), eight ionic species($Na^+$, $NH^{4+}$, $K^+$, $Ca^{2+}$, $Mg^{2+}$, $Cl^-$, ${NO_3}^-$ and ${SO_4}^{2-}$), and 22 elemental species. Haze phenomena was observed during approximately 29%(10 times) of the whole sampling period(35 days), resulting in highly elevated concentrations of $PM_{2.5}$ and its chemical components. An Asian dust event was also observed, during which $PM_{2.5}$ concentration was 64.5 ${\mu}g/m^2$. Crustal materials during Asian dust event contributed 26.6% to the $PM_{2.5}$, while lowest contribution(5.1%) was from the haze events. OC/EC and WSOC/OC ratios were found to be higher during haze days than during other sampling days, reflecting an enhanced secondary organic aerosol production under the haze conditions. For an Asian dust event, enhanced concentrations of OC and secondary inorganic components were also found, suggesting the further atmospheric processing of precursor gases during transport of air mass to the sampling site. Correlations among WSOC, EC, ${NO_3}^-$, ${SO_4}^{2-}$, and primary and secondary OC fractions, which were predicted from EC tracer method, suggests that the observed WSOC could be formed from similar formation processes as those of secondary organic aerosol, ${NO_3}^-$ and ${SO_4}^{2-}$. Results from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ndicate also that the observed WSOC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formation routes of the secondary organic and inorganic aerosols.

동해 표층수 중 영양염과 Chlorophyll α의 분포 특성 (Distribution of Nutrients and Chlorophyll α in the Surface Water of the East Sea)

  • 윤상철;윤이용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7-98
    • /
    • 2016
  • 2009년 7월 3일부터 7월 27일까지 러시아 조사선 R/V Lavrentyev를 이용하여 러시아 연안으로부터 4개의 Line(D, R, E, A)을 따라 표층 30 m 수심의 시료를 26개의 정점(울릉분지와 일본분지를 포함한 동해의 전 수역)에서 채수하여 영양염 및 엽록소-${\alpha}$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냉수역보다 난수역에서 1.4배 높은 질산염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들은 모두 난수역보다 냉수역에서 높게 나타났다($NH_4$, $PO_4$ 각 1.8배, $Si(OH)_4$ 1.2배, 엽록소-${\alpha}$ 1.9배). 암모니아와 인산염, 엽록소-${\alpha}$의 수평분포는 매우 유사한 분포를 보이며, 한류와 저층수의 용승 영향권에 있는 러시아 근해에서 최대치를 보이고, 울릉분지에서 비교적 낮은 분포를 보인다. 반면, 질산염은 대마난류수의 직접적인 영향권에 있는 울릉분지에서 최대치를 보이며, 점차 북상할수록 감소한다. N/P 비는 한류수계보다 대마난류 중층수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이며, 대마난류수는 동해로 유입되는 질산염의 주요 공급원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난수역에서 인산염의 평균 농도는 $0.2{\mu}M$ 이하로 식물플랑크톤 성장의 제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반면, 냉수역에서의 높은 농도는 엽록소-${\alpha}$와 직접적인 상관성을 보이고 있다. 해양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주성분 분석결과 주성분 I은 수온에 의해 동해의 해양환경이 주로 영향을 받으며, 주성분 II는 영양염과 엽록소-${\alpha}$ 가 주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연구해역의 해양환경은 수온에 지배되며, 그에 따라 냉수역과 온수역으로 구분되는 특성을 보였다.

질수수준별(窒素水準別) 유기물연용(有機物連用)이 토양(土壤)의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과 수도수량(水稻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Organic Matters Application with the Different Levels of Nitrogen Fertilizer over a 5 Year on the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Rice Yields)

  • 이춘희;이한생;최승락;신원교;이류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5-31
    • /
    • 1986
  • 논 토양(土壤)에서 유기물(有機物)과 질소(窒素)의 병용(倂用) 효과(效果)를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유기물(有機物) 종류별(種類別)로 몇가지 질소(窒素) 수준(水準)을 5개년간(個年間) (1979~83) 연용(連用)하여 수도수량(水稻收量) 및 토양(土壤)의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性質)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쌀 수량(收量)은 유기물(有機物) 무시용(無施用)에 비(比)하여 볏짚시용구(施用區)가 7%, 퇴비시용구(堆肥施用區)가 4% 증수(增收)되었고,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의 증가(增加)에 따라서도 증수(增收)되는 경향(傾向)이나, 유기물(有機物) 시용(施用)에 의(依)한 수량(收量) 증가폭(增加幅)은 질소(窒素) 0-20kg/10a까지 5kg/10a 증가(增加)시 마다 약(約) 2% 감소(減少)되었다. 2. 수도체(水稻體)의 건물중(乾物重)과 질소함량(窒素含量)은 생육(生育) 중기이후(中期以後)부터 볏짚>퇴비(堆肥)>무시용구(無施用區) 순(順)으로 증가(增加)하였고, 질소(窒素) 시용량(施用量)의 증가(增加)에 따라 높은 경향(傾向)이다. 수도체(水稻體)의 질소함량(窒素含量)은 쌀 수량(收量)과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 ($r=0.55^*{\sim}0.81^{**}$)였고, 등숙비율(登熟比率)과는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 ($r=-0.74^{**}{\sim}-0.88^{**}$)였다. 3. 토양중(土壤中) $NH_4-N$ 함량(含量)은 퇴비(堆肥), 볏짚구(區)가 유기물(有機物) 무시용구(無施用區)에 비(比)하여 높고, 수도체(水稻體)의 질소함량(窒素含量)과는 생육초기(生育初期)($r=0.62^*$), 중기(中期)($r=0.79^{**}$), 후기(後期)($r=0.75^{**}$) 모두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였다. 4. 유기물(有機物) 5년(年) 연용후(連用後) 토양(土壤)의 물리성(物理性)인 경도(硬度) 및 투수성(透水性)은 볏짚>퇴비(堆肥)>무시용구(無施用區) 순(順)으로 양호(良好)하였고, 화학성분중(化學成分中)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은 시험전(試驗前)에 비(比)하여 볏짚구(區)는 0.1%, 퇴비구(堆肥區)는 0.2%, 무시용구(無施用區)는 0.4%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이며, 전질소(全窒素)($r=0.74^{**}$), 유효규산(有效珪酸) ($r=0.66^*$), 치환성가리(置換性加里) ($r=0.83^{**}$) 양(陽)ion치환용량(置換容量) ($r=0.76^{**}$)과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였다.

  • PDF

유용미생물을 활용한 음식물쓰레기의 악취저감 효과 (Effect of Reducing the Odor of Food Wastes Using Effective Microorganism (EM))

  • 김하나;임봉빈;김선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62-168
    • /
    • 2016
  • 음식물쓰레기 부패과정에서 발생되는 대표적인 S계(황화수소($H_2S$), 메틸멜캅탄($CH_3SH$)), N계(암모니아($NH_3$), trimethyl amine) 악취물질과 복합악취를 경과시간에 따라 측정하고, 유용미생물(effective microorganism, EM) 사용에 따른 악취 저감효과의 평가 및 EM제의 미생물상 및 세균수의 변화와 악취물질 농도 저감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음식물쓰레기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N 계열에 비하여 S계 악취물질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S계 악취물질과 복합악취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EM제를 사용한 실험군에서 발생농도가 낮게 나타나 EM제의 도포에 의한 악취 저감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아세트알데히드($CH_3CHO$)의 경우 EM제 도포 후 경과시간이 증가할수록 발생농도는 감소되지 않았다. EM제와 음식물쓰레기 부패시 발생하는 침출수의 미생물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 유산균 군집으로 확인되었으며, EM제 원액과 실험군에서 발생한 침출수의 미생물 군집이 다르게 나타났다.

대청호 저토의 N, P및 Si 영양염 함량과 조류생장잠재력 (The Contents of Nitrogen, Phosphorus, Silicon Nutrient and Algal Growth Potential (AGP) in the Sediment of Taechong Reservoir)

  • 조경제;신재기
    • 생태와환경
    • /
    • 제34권2호통권94호
    • /
    • pp.106-118
    • /
    • 2001
  • 대청호내 3개 지점에서 저토의 영양염을 조사하여 수층과 식물플랑크톤에 대한 생장 잠재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저토-수층의 경계면에서 DO는 0.5 mg $O_{2}$/l 이하로서 무산소 상태였다. 공극수의 전기전도도는 저토보다 1.9${\sim}$2.6배 더 높았고 수심이 얕을수록 변동폭이 컸다. Eh는 -12${\sim}$-148mV 범위였고 가비중은 1.17${\sim}$1.30g/cm$^{3}$ 범위로서 지역간에 차이가 크지 않았다. 함수율과 유기물 함량은 각각 58%${\sim}$72%, 8${\sim}$13% 범위로서 댐 부근에서 높았고 옥천천에서 낮았다. 저토의 입도 조성은 사질이 97%를 차지하였다. 저토내 총세균수와 규조류의 세포밀도는 수심이 깊은 하류에서 높았다. 공극수와 치환성의 질소와 인 함량에서 입자성이 용존성보다 풍부하였고, 무기 질소로는 NH$_{4}$가 대부분이었다. 또한 유기와 무기 질소 형태로 볼 때, 공극수내 질소함량은 무기 질소가 많았고, 치환성 질소는 유기 질소가 많았다. 공극수 인 함량에서 용존 유기 인이 많았고 치환성은 무기 인이 많았다. 저토내 규소는 치환성이 최대 63%로서 공극수보다 훨씬 많았다. 대청호의 저토는 유기물이 풍부한 부영양 상태로 평가되었다.

  • PDF

금강 중 ${\cdot}$ 하류에서 AGP에 의한 수질평가 (Water Quality Assessment by Algal Growth Potential (AGP) from Midstream to Downstream of the Kum River)

  • 조경제;신재기
    • 생태와환경
    • /
    • 제33권3호통권91호
    • /
    • pp.244-250
    • /
    • 2000
  • 금강 중${\cdot}$하류의 본류와 지류에서 1998년 3월부터 1999년 6월까지 수질 fertility를 Microcystis aeruginosa의 조류생장잠재력 (AGP)으로 평가하였다. 금강에서는 갑천이 합류되는 지점에서 AGP가 가장 높았고, M. aeruginosa의 AGP는 평균값이 38.1 mg dw/l (17.6${\sim}$75.2 mg dw/l)였다. 또한 조류검정 결과에서 하류로 갈수록 생장이 둔화되어 AGP값이 낮게 나타났고, 이러한 양상은 수질분석 결과와 일치하였다. 지류에서 AGP는 갑천, 미호천 및 석성천이 각각 161.2, 50.3 및 125.6 mg dw/l로서 높았고 유구천이 2.7 mg dw/l로서 최저를 기록하였다. 금강 하류의 수질은 갈수기에 더욱 악화되었고 이 시기에 중류에서 AGP값도 컸다. AGP 결과와 영양염의 관계에서 P와 상관이 가장 높아(r = 0.999) 조류의 생장에 P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추정되었고, 질소원으로는 NO$_{3}$보다 NH$_{4}$가 선호됨을 알 수 있었다. 금강에서 AGP는 장소와 계절에 따라 변화 폭이 컸고 유입 지류의 영양염류 농도 증감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었다. 또한 AGP를 통한 수질상태는 평균값이 32.7 mg dw/l로서 부영양 수준을 훨씬 초과한 것으로 평가되어 이에 대한 수환경관리가 중요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