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4NH_3%24 sensor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2초

Selective NO2 Sensors Using MoS2-MoO2 Composite Yolk-shell Spheres

  • Jeong, Seong Yong;Choi, Seung Ho;Yoon, Ji-Wook;Won, Jong Min;Kang, Yun Chan;Park, Joon-Shik;Lee, Jong-Heun
    • 센서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51-154
    • /
    • 2015
  • The gas sensing characteristic of $MoS_2-MoO_2$ composite yolk-shell spheres were investigated. $MoO_3$-carbon composite spheres were prepared by ultrasonic spray pyrolysis of aqueous droplets containing Mo-source and sucrose in nitrogen, which were converted into $MoO_3$ yolk-shell spheres by heat treatment at $400^{\circ}C$ in air. Subsequently, $MoS_2-MoO_2$ composite yolk-shell spheres were prepared by the partial sulfidation of $MoO_3$. The $MoS_2-MoO_2$ composite yolk-shell spheres showed relatively low and irreversible gas sensing characteristics at < $200^{\circ}C$. In contrast, the sensor showed high and reversible response (S=resistance ratio) to 5 ppm $NO_2$ (S=14.8) at $250^{\circ}C$ with low cross-responses (S=1.17-2.13) to other interference gases such as ethanol, CO, xylene, toluene, trimethylamine, $NH_3$, $H_2$, and HCHO. The $MoS_2-MoO_2$ composite yolk-shell spheres can be used as reliable sensors to detect $NO_2$ in a selective manner.

가스센서용 $SnO_2$분말 제조시 잔류 염소이온이 Sn수화물의 열분해거동 및 분말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sidual Chloride Ion on Thermal Decomposition Behaviour os Stannic Acid and Physical Properties of $SnO_2$ Powder Fabricated for Gas Sensor)

  • 송국현;최병우;박재환;박순자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4권8호
    • /
    • pp.934-944
    • /
    • 1994
  • 수산화물법에 의해 제작된 $\alpha$-stannic acid의 열분해 거동과 $SnO_{2}$분말의 성질에 미치는 잔류염소이온의 영향을 관찰하였다. $SnCl_{4}$$NH_{4}$OH 수용액을 중화시켜 $\alpha$-stannic acid침전물을 제작하고 $NH_{4}NO_{3}$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분말내의 잔류 염소이온의 양을 주절하기 위하여 세척정도를 3단계로 조정하였다. 세척후 $100^{\circ}C$에서 건조하고, $500^{\circ}C$ ~ $1100^{\circ}C$에서 하소함으로써 $SnO_{2}$분말을 제조하였다. $\alpha$-stannic acid의열분해 거동ㅇ르 DT-TGA 와 FTIR을 통하여 관찰하고, $SnO_{2}$분말의 조성과 입자크기 및 비표면적을 각각 AES, TEM 및 BET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잔류 염소이온 양이 감소되면, 저온 하소시 일차입자의 상대적 크기가 커지는 반면 고온하소시에는 상대적으로 감소되었ㄷ. 잔류 염소이온의 일부는 $\alpha$-stannic acid내의 격자산소 자리에 위치함으로써, 저온가열시 결정수탈리와 결정화를 지연시키고 또한 고온가열시에는 이의 증발에 의해 산소공공이 생성되어 소결을 촉진시킨다고 제의하였다.

  • PDF

돈사 악취 저감을 위한 바이오필터 개발 (Development of Biofilter for Reducing Offensive Odor from Pig House)

  • 이승주;임송수;장동일;장홍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86-390
    • /
    • 2005
  • 국내에서 구입이 용이한 부숙수피와 펄라이트를 부피비 7:3으로 혼합하여 혼합충전재에 암모니아 산화균 Rhodococcus equi A3와 황 산화균 Alcaligenes sp. S5-5.2를 접종한 후, 개발한 양압식 상향류 방식의 바이오필터에 혼합충전재를 충전하여 돈사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에 대한 악취가스 제거성능을 실험을 실시하였다. 혼합충전재에 미생물을 접종한 후 72시간동안 순치하였을 때의 미생물 생균수와 24시간 간격으로 측정하였을 때의 미생물 생균수가 거의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발한 바이오필터가 미생물의 생육조건을 유지하는데 성공했다고 판단된다. 또한 암모니아 가스의 유입농도는 평균 $22.8{\pm}5.2mgL^{-1}$이었고, 배출농도는 평균 $2.1{\pm}0.3mgL^{-1}$, 제거율은 90.8%이었다. 흐리고 황화수소의 유입농도는 평균 $2.7{\pm}1.2mgL^{-1}$이었고, 배출농도는 $0.5{\pm}0.2mgL^{-1}$, 제거율은 81.5%로 비교적 높았다. 이와 같이 부숙수피와 펄라이트를 혼합하여 만든 혼합충전재를 충전한 바이오필터가 악취가스 제거율이 비교적 높고 가격이 저렴한 것을 고려해 볼 때, 기존의 다른 충전재을 이용한 바이오필터보다 개발한 바이오필터가 양돈가에서 이용하는데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