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F-{\kappa}B$ 신호전달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102초

반지련 (Scutellaria barbata D. Don) 추출물이 lipopolysaccharide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세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ot Water Extract from Scutellaria barbata on the Macrophages Activated by Lipopolysaccharide)

  • 센팅;이용진;조재열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313-319
    • /
    • 2008
  • S. barbata의 열수 추출물 (Sb-HWE)은 대표적인 염증과정인 LPS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세포로 부터의 NO생성, LPS 매개에 의한 세포사멸작용, 및 FITC-dextran의 대식세포내 탐식작용을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그러나 본 추출물은 SNP로 유도된 라디칼 소거능은 매우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NF-${\kappa}B$-매개에 의한 루시퍼라제 활성, 및 NF-${\kappa}B$ 활성 관련 신호전달 단백질 (Akt 및 $I{\kappa}B{\alpha}$)에 대한 저해작용은 관찰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이들 추출물의 대식세포 면역반응 조절 기전은 기존의 알려진 방법과는 다른 기전에 의해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아위느타리 신품종 GW10-45 클로로포름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chloroform extracts from GW10-45, a new cultivar derived from Pleurotus ferulae, in RAW264.7 murine macrophages.)

  • 최형욱;김은주;김근기;신평균;김군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20-224
    • /
    • 2016
  • 만성적 염증 반응은 지속적인 항원에 대한 노출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관절염이나 2형 당뇨와 같은 여러 염증성 질환의 가장 큰 발병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아위 느타리 버섯 (Pleurotus ferulae)의 새로운 육종 균주인 GW10-45의 추출물(헥산, 클로로포름, 메탄올, 메탄올/물, 물)이 가지는 RAW264.7 대식세포에 대한 항염증 활성을 연구하였다. 먼저, 각각의 추출물은 RAW264.7 세포주에 대하여 세포독성을 가지지 않았으며, 헥산 및 클로로포름, 물 추출물이 산화질소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그 중, 클로로포름 추출물(CG45)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가장 높은 산화질소 생성 억제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주요한 염증성 인자들의 단백질 발현 및 인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Western blot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LPS로 유도된 염증 모델에 CG45를 처리하였을 때 iNOS 및 COX-2 단백질의 발현이 급격히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NF-{\kappa}B$ 신호전달에서 $NF-{\kappa}B$와 이의 억제 단백질인 $I{\kappa}B{\alpha}$의 인산화가 LPS만을 처리한 군과 비교하여 CG45를 함께 처리한 실험군에서 크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아위느타리 버섯의 새로운 육종균주 GW10-45의 추출물 CG45는 $NF-{\kappa}B$ 신호전달 과정에서 인산화 정도를 억제함으로써 iNOS 및 COX-2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여 LPS로 유도된 RAW264.7 세포주의 염증 모델에서 그 염증 반응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인진청간탕(茵蔯淸肝湯)이 HepG2 cell의 $TNF-\alpha$ 신호전달계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s of Injinchunggan-tang(Yinchenqinggan-tang) on $TNF-\alpha$ signal transmission system in HepG2 cell)

  • 강우성;김영철;이장훈;우홍정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8-45
    • /
    • 2004
  • Objectives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Injinchunggan-tang on $TNF-{\alpha}$ signal transmission system. Materials and Methods : We analyzed the following with quantitative RT-PCR method; the effect of Injinchunggan-tang on secretion of $TNF-\alpha$ mRNA/protein and stability, the effect on gene revelation that consists of signal transmission system (TRAIL, NIK, A20, TRADD, RAIDD, RIP TNFR-I, TNFR-II, TRAF1, TRAF2, FADD), the one on activation of p38, Erk1/2 MAPK and the rate of nuclear $NF-{\kappa}B/cytosolic\;NF-{\kappa}B$ in HepG2 cell. We also analyzed the inhibitory effect of Injinchunggan-tang on the apoptosis of HepG2 cell that $TNF-{\alpha}$ induces and the $NF-{\kappa}B$ restraint effected by transfection of $I{\kappa}B{\Delta}N$ through tryphan blue exclusion assay. Results : Injinchunggan-tang prohibits revelation of $TNF-{\alpha}$ mRNA in HepG2 cell and the creation of protein. However, it has no effect on the stability of $TNF-{\alpha}$ mRNA. While it did not have any effect on the generation of TRAIL, NIK, A20, TRADD, RAIDD and RIP genes, Injinchunggan-tang reduces the revelation of TNFR-I, TNFR-II, TRAF1, TRAF2 and FADD genes. It has been confirmed that Injinchunggan-tang restraints the revelation of $TNF-{\alpha}$ mRNA that is promoted by ethanol, acetaldehyde, lipopolysaccharide, in proportion to the treatment density and time. It activated $NF-{\kappa}B$ of HepG2 cell and promoted activation of $NF-{\kappa}B$ that is occurred by $TNF-{\alpha}$. It has been observed that the restraint effect against the $TNF-{\alpha}$ inducing apoptosis is lost when it is intercepted the function of $NF-{\kappa}B$ in HepG2 cell. Conclus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Injinchunggan-tang has restraining effect against the revelation of $TNF-{\alpha}$ and mRNA that is constituent element of TNF-a signal transmission system. It also has been revealed that it restraints the activation of p38, Erk1/2 by $TNF-{\alpha}$. Through this prohibiting effect, it is inferred that it restraints signal transmission among various cells that are related to inflammation reaction. Meanwhile, Injinchunggan-tang protects liver cell from apoptosis that is caused by $TNF-{\alpha}$, by maintaining the activating function for $NF-{\kappa}B$.

  • PDF

Hsp90에 의한 NF-κB의 활성화를 촉진하는 IKKγ의 역할 (IKKγ Facilitates the Activation of NF-κB by Hsp90)

  • 이정아;김동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41-248
    • /
    • 2022
  • NF-κB는 염증과 선천성 면역에 중요한 전사인자이며 anti-apoptotic gene을 유도하여 세포의 생존과 발암에도 깊이 연관되어 있으며 많은 신호전달분자 및 신호전달회로와 연결되어있다. 한편, Hsp90는 NF-κB의 활성을 조절한다는 보고가 이루어졌으나 그 구체적인 기전은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IKK compelx를 구성하는 인자들의 발현 plasmid를 이용하여 NF-κB의 활성조절에서 Hsp90와 IKKγ의 연관성 및 역할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Hsp90는 IκBα의 인산화와 분해를 촉진하여 NF-κB를 활성화시켰고, NIK과 LPS에 의한 NF-κB의 활성화는 Hsp90에 의해 더욱 활성이 증가하였다. IKKγ는 Hsp90에 의해 증가된 IκBα의 인산화와 분해를 더욱 촉진함으로써 Hsp90의 NF-κB 활성화 작용을 상승시켰다. 이러한 Hsp90와 IKKγ에 의한 NF-κB의 활성화 현상은 항상 활성화 된 상태를 유지하는 IKKβ-EE mutant를 이용한 검토에서도 입증되었다. 또한 IKKγ의 deletion mutant를 이용한 검토에서 IKKγ의 N-말단에 위치하는 IKKβ 결합부위와 C-말단에 위치하는 leucine zipper 및 zinc finger 부위는 IKKγ와 Hsp90의 NF-κB에 대한 상호협력적 촉진작용에 필요하지 않았다. 또한 Hsp90에 의해 촉진된 세포내 pro-inflammatory cytokine들의 발현은 IKKγ에 의해 더욱 상승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Hsp90와 IKKγ의 상호작용을 차단한다면 NF-κB의 과다활성으로 인한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류마티스관절염 활막세포에서 NF-${\kappa}B$ 신호전달을 통한 MIF의 SDF-1 생성 유도 (Macrophage Migration Inhibitory Factor (MIF) Induced Stromal Cell-derived Factor 1 (SDF-l) Production Via Nuclear Factor KappaB (NF-${\kappa}B$) Signaling in Rheumatoid Arthritis Fibroblast Like Synoviocytes (RA-FLS))

  • 조미라;박미경;김경운;오혜좌;이선영;박진실;허유정;주지현;민준기;이상헌;박성환;김호연
    • IMMUNE NETWORK
    • /
    • 제7권1호
    • /
    • pp.39-47
    • /
    • 2007
  • Background: Stromal cell-derived factor (SDF)-1 is a potent chemoattractant for activated T cells into the inflamed Rheumatoid arthritis (RA) synovium. To determine the effect of macrophage migration inhibitory factor (MIF) on the production of SDF-1 in the inflamed RA synovium. Methods: The expression of SDF-1 and MIF in RA and Osteoarthritis (OA) synovium was examin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The SDF-1 was quantified by RT-PCR and ELISA after RA fibroblast like synoviocyte (FLS) were treated with MIF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inhibitors of intracellular signal molecules. The synovial fluid (SF) and serum levels of MIF and SDF-1 in RA, OA and healthy control were measured by ELISA. Results: Expression of SDF-1 and MIF in synovium was higher in RA patients than in OA patients. The production of SDF-1 was enhanced in RA FLS by MIF stimulation. Such effect of MIF was blocked by the inhibitors of NF-${\kappa}B$. Concentrations of SDF-1 in the serum and SF were higher in RA patients than in OA patients and healthy control. SDF-1 and MIF was overexpressed in RA FLS, and MIF could up-regulate the production of SDF-1 in RA FLS via NF-${\kappa}B$-mediated pathway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 inhibition of interaction between MIF from T cells and SDF-1 of FLS may provide a new therapeutic approach in the treatment of RA.

TPA로 유도된 마우스 귀 부종 동물모델에서 소목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xtracts from Caesalpinia sappan L. on Skin Inflammation)

  • 음원식;이광재;김대원;임순성;강일준;박진서;최수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84-388
    • /
    • 2013
  • 본 연구를 통하여 TPA로 유도한 마우스 귀 부종 염증반응에 대한 소목추출물의 항염증 효능과 기전을 확인하였다. 소목추출물은 TPA로 유도한 마우스 귀 부종을 억제하였으며, TPA에 의한 염증관련 단백질인 COX-2 발현 및 cytokine(IL-6, TNF-${\alpha}$ 그리고 IL-$1{\beta}$)의 mRNA 발현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또한 TPA에 의한 NF-${\kappa}B$ 및 MAPK의 활성을 억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소목추출물은 NF-${\kappa}B$ 및 MAPK의 신호전달을 억제함으로서 항염증 효능을 나타내었다.

RAW 264.7 세포에서 담배잎산말의 TLR4/MAPKs/NF-κB 신호전달체계 조절을 통한 항염증 효과 (Desmarestia tabacoides Ameliorates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via Attenuated TLR4/MAPKs/NF-κB Signaling Cascade in RAW264.7 Cells)

  • 윤현서;안현;박충무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63-470
    • /
    • 2023
  • Desmarestia tabacoides Okamura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는 갈조류 중 하나이다. 몇몇 산말류의 항종양, 멜라닌 생성 억제 및 광보호 활성에 대한 연구는 있었으나 D. tabacoides Okamura의 항염증 기전에 대해서는 보고되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LPS (lipopolysaccharide)로 자극된 RAW 264.7 세포에서 D. tabacoides Okamura 에탄올 추출물(DTEE)의 항염증 기전을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와 cyclooxygenase (COX)-2의 발현 및 이들의 상위신호전달물질인 nuclear factor (NF)-κB,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그리고 phosphoinositide-3-kinase (PI3K)/Akt의 인산화 조절 정도를 통해 분석하였다. DTEE의 처리는 세포 독성 없이 LPS로 유도된 NO와 prostaglandin (PG) E2의 생성과 이들의 생성 효소인 iNOS 및 COX-2의 발현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그리고 LPS에 의해 활성화된 NF-κB 및 상위 신호 전달 물질인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c-Jun NH2-terminal kinase (JNK) 및 p38은 DTEE 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억제되었다. DTEE의 처리는 RAW 264.7 세포에서 LPS에 의해 활성화되는 adaptor molecule인 Toll-like receptor (TLR) 4 및 myeloid differentiation primary response (MyD) 88 또한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DTEE는 LPS에 의해 유도된 TLR4와 NF-κB 및 MAPK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염증 매개인자의 발현을 조절하였고, 이는 DTEE가 염증을 완화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써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Lipopolysaccharide 유도된 Raw264.7 세포주에서 전사조절인자 NF-κB와 IRF-1의 공동작용에 의해 조절되는 PD-1 발현연구 (PD-1 Expression in LPS-Induced Raw264.7 Cells Is Regulated via Co-activation of Transcription Factor NF-κB and IRF-1)

  • 최은경;이수운;이수웅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01-308
    • /
    • 2013
  • Programmed Death-1 (PD-1)은 중요한 면역조절분자들 중 하나로 다양한 면역활성인자에 자극된 T 세포, B 세포, NKT 세포 및 대식세포에서 발현된다. Lipopolysaccaride (LPS)는 그람음성세균의 세포벽구성물질로 PD-1 발현을 유도하는 중요 면역원들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선천면역세포에서 PD-1 발현기전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LPS에 의해 자극된 Raw264.7 세포주를 대상으로 PD-1 발현 및 발현조전기전을 RT-PCR, Western Blot, 유세포분석기, ChIP assay 및 co-immunoprecipitation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Raw264.7 세포주가 LPS로 자극되었을 때 PI3K 및 p38 신호전달경로를 경유하여 PD-1 발현이 크게 증가되었다. 또한 LPS 주사된 생쥐의 비장유래 대식세포에서도 PD-1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 하였다. PD-1 유전자의 프로모터 분석을 통해서 NF-${\kappa}B$ 및 IRF-1 결합부위가 PD-1 발현에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PD-1 발현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전사조절인자 NF-${\kappa}B$ 및 IRF-1의 공동활성이 필수적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LPS 유도 생쥐패혈증모델에서 선천면역세포에 발현된 PD-1분자의 제어를 통한 질병 연구에 유용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LPS로 유발한 대식세포의 염증반응과 마우스 귀 부종에 대한 구멍갈파래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Ulva pertusa Kjellman on LPS-induced RAW 264.7 Cells and Mouse Model)

  • 김민지;김민주;김꽃봉우리;박선희;최현덕;박소영;장미란;임무혁;안동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79-487
    • /
    • 2016
  • 대식세포에 대하여 구멍갈파래 에탄올 추출물의 독성결과를 확인해본 결과 독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LPS에 의하여 유도되는 NO와 염증성 cytokine의 분비량은 구멍갈파래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멍갈파래 에탄올 추출물로 인해 $NF-{\kappa}B$ 및 MAPKs의 신호전달을 억제함으로써 염증매개성 물질의 발현 억제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구멍갈파래 에탄올 추출물은 각각 iNOS, COX-2, $NF-{\kappa}B$ 및 MAPKs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고 그에 따른 염증 매개인자들의 생성도 효과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추출물이 마우스 귀부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대조군의 경피와 진피의 두께에 비해 추출물 처리군의 조직 두께가 상대적으로 현저히 줄어들었으며 귀 조직에 침윤된 mast cell의 감소에도 추출물이 그 효과를 현저하게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들을 종합해 보았을 때, 구멍갈파래의 에탄올 추출물은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새로운 천연물질로 이용 가능하여 고부가 가치 제품 개발이 가능한 천연 소재로 판단된다.

발효 홍삼의 NF-${\kappa}$B 신호전달 조절을 통한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Fermented Red Ginseng Via Regulation of NF-${\kappa}$B Signal Transduction)

  • 황성인;주현정;김효동;곽태원;유병홍;김성구;이철원;황태호;안원근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21-527
    • /
    • 2011
  • Recently, Korean ginseng, as immuno-activator, was actively investigated on its effect and mechanism. But purified fermented red ginseng (PFRG) has not been researched enough compared to red ginseng (RG, steamed and dried root of Panax ginseng C. A. Meyer, family Araliaceae) and fermented red ginseng (FRG, fermented red ginseng by Lactobacillus brevis 13094). In this study, we examined RG, FRG and PFRG to compare their anti-inflammatory effect by LPS. According to the result, RAW 264.7 cells survival rates did not largely change by RG and FRG. Only PFRG expressed weak toxicity at 10 ug/ml. The expression of iNOS and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decreased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RG, FRG and PFRG. And the expression of COX-2 also decreased. We tried western blotting for detecting that the expression of iNOS, COX-2 was caused by NF-${\kappa}B$. The result supported that the inhibition of NF-${\kappa}B$ by RG, FRG and PFRG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iNOS, COX-2 and affected the production of TNF-${\alpha}$. While the anti-inflammatory effect was confirmed from all three types of red ginseng (RG, FRG, PFRG), the effect of PFRG was superior to others.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on other effects of PF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