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g_3N_2$

검색결과 4,719건 처리시간 0.034초

GaN 나노선의 전기적 특성제어 (Modulation of electrical properties of GaN nanowires)

  • 이재웅;함문호;명재민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7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8
    • /
    • pp.11-11
    • /
    • 2007
  • 1차원 구조체인 반도체 나노선은 앙자제한효과 (quantum confinement effect) 등을 이용하여 고밀도/고효율의 소자 개발이 기대되고 있다. GaN는 상온에서 3.4 eV의 밴드갭 에너지를 갖는 III-V 족 반도체 재료로써 박막의 경우 광전자 소자로 폭넓게 응용되고 있다. 최근 GaN 나노선의 합성에 성공하면서 발광소자, 고효율의 태양전지, HEMT 등으로의 응용을 위한 많은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GaN 나노선의 전기적 특성을 제어하는 기술은 확립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Vapor solid (VS)법을 이용하여 GaN 나노선을 합성하였으며, GaN 분말과 함께 $Mg_2N_3$ 분말을 첨가하여 (Ga,Mg)N 나노선을 성공적으로 합성하였다. 합성시에 GaN와 Mg 소스간의 거리 변화를 통해 Mg 도핑농도를 제어하고자 하였다. 이 같은 방법으로 합 된 (Ga,Mg)N 나노선의 Mg 도핑농도에 따른 결정학적 특성을 알아보고, (Ga,Mg)N 나노선을 이용하여 소자를 제작한 후 그 전기적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X-ray diffraction (XRD)과 high-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HRTEM), EDX를 이용하여 합성된 나노선의 결정학적 특성과 Mg의 도핑 농도를 확인하였다. Photo lithography와 e-beam lithography법을 이용하여 (Ga,Mg)N 나노선 field-effect transistor (FET)를 제작하고, channel current-drain voltage ($I_{ds}-V_{ds}$) 와 channel current-gate voltage ($I_{ds}-V_g$) 측정을 통해 (Ga,Mg)N 나노선이 도핑 농도에 따라 n형에서 p형으로 전기적 특성이 변화함을 확인하였다.

  • PDF

수입어류 중 N-Nitrosamine 함량 (The Content of N-Nitrosamine in Import Fishes.)

  • Myung-Cheol, Oh;Chang-Kyung, Oh;Tai-Suk, Yang;Soo-Hyun, Kim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30-37
    • /
    • 2004
  •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수입어류 8종에 대한 발암성 물질인 N-nitrosamine콰 전구물질들의 함량을 분석하여 위생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수입어류의 질산염 및 아질산염 함량은 각각 0.4∼12.8 mg/kg 및 N.D∼l6.0 mg/kg 이었다. Dimethylamine 함량은 1.0∼70.6 mg/100g 이었으며, Trimethylarnine 함량은 15.4∼70.6 mg/100g이었다. 수입어류 8종에 대한 발암성 물질인 N-nitrosamine은 N-nitrosodimethylamine (NDMA) 만 검출되었으며, 이들의 NDMA 함량은 2.1∼102.2mg/kg으로 러시아산 가자미에서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또한 아르헨티나산 냉동새우는 35.3 $\mu\textrm{g}$/kg, 러시아산 냉동대구에서도 30.6 $\mu\textrm{g}$/kg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 PDF

충북지역 양액 재배용 지하수 및 폐양액의 화학적 특징 (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 Water for Hydroponics and Waste Nutrient Solution after Hydroponics in Chungbuk Area)

  • 이경자;강보구;이기열;윤태;박성규;이철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2-48
    • /
    • 2007
  • 본 조사는 충북지역의 양액재배 농가에서 양액재배를 위한 지하수 수질과 양액 재배 후 버려지는 폐양액의 수질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양액재배를 위한 지하수의 수질 조사는 19개 지점의 양액재배농가에서 수집하여 분석하였고, 폐양액은 그중 15개 지점을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양액재배에 이용되는 지하수의 수질 분석결과 pH의 수준은 $6.2\sim7.7$이었고, 평균은 6.8이었다. EC의 분포범위는$0.10\sim0.45$ dS $m^{-1}$ 이었고, 평균은 0.23 dS $m^{-1}$ 이었다. $NO_3-N$ 농도의 분포범위는 $0.12\sim13.77$ mg $L^{-1}$, $SO_4^{2-}$의 분포범위는 $1.84\sim63.01$ mg $L^{-1}$, 그리고 $Cl^-$의 분포범위는 $10.46\sim72.09$ mg $L^{-1}$이었다. 그들의 평균값은 각각 4.00 mg $L^{-1}$, 12.70 mg $L^{-1}$ 및 27.57 mg $L^{-1}$이었다. $Ca^{2+}$, $Mg^{2+}$$Na^+$의 분포 범위는 각각 $3.24\sim36.99$ mg $L^{-1}$, $1.44\sim14.93$ mg $L^{-1}$$6.12\sim25.25$ mg $L^{-1}$이었고, 평균 농도 값은 $Ca^{2+}$ 13.06, $Mg^{2+}$ 6.02 및 $Na^+$ 12.08 mg $L^{-1}$이었다. 양액재배 후 버려지는 폐양액에서 pH 수준은 $4.3\sim8.8$ 이었고, 평균은 6.7이었다. EC의 분포범위는 $0.44\sim2.37$ dS $m^{-1}$이었고, 평균은 1.15 dS $m^{-1}$이었다. $NO_3-N$, $PO_4-P$, $K^+$, $Ca^{2+}$, $Mg^{2+}$$Na^+$ 의 분포범위는 각각 $10\sim212$, $0.56\sim26.1$, $10\sim295$, $16\sim215$, $9\sim54$$10\sim53$ mg $L^{-1}$이었다. 평균 농도 값은 $NO_3-N$ 100, $PO_4-P$ 12.15, $K^+$ 99, $Ca^{2+}$ 78, $Mg^{2+}$ 26 및 $Na^+$ 26 mg $L^{-1}$이었다. 양액 재배 후 버려지는 폐양액 중의 무기성분 함량은 양액재배에 이용되는 원수에 비해 상당히 높아졌다.

수산물 가공폐수의 호기성 생분해도에 미치는 염분농도의 영향 (Effect of Salt Concentration on the Aerobic Biodegradability of Sea Food Wastewater)

  • 최용범;권재혁;임재명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56-263
    • /
    • 2010
  • 본 논문은 염분농도가 호기성 생분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수산물 가중 폐수 처리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Cl^-$농도(1,400~18,000 mg/L)에 따른 유기물 제거효율 검토결과, $Cl^-$ 6,000 mg/L 이하에서 미생물들은 염분에 적응하였으나 $Cl^-$ 12,000 mg/L 이상에서는 반응시간이 길어져도 처리효율이 개선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생물학적 분해불가능한 용존성 유기물 함유계수 $Y_I$와 미생물 신진대사에 의한 inert 물질 생성계수 Yp는 염분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Cl^-$ 농도(0~18,000 mg/L)에 따른 용존성 유기물 비율은 10.8~13.1%로, 미생물 신진대사에 의한 inert 물질 생성비율은 7.0~24.6%로 조사되었다. $NH_3$-N 제거효율은, 원폐수는 HRT 18 hr에서 96.2%의 제거효율을 보였으나, $Cl^-$ 6,000 mg/L, HRT 22 hr에서 96.5%, $Cl^-$ 12,000 mg/L, HRT 30 hr에서 90.2%, $Cl^-$ 18,000 mg/L, HRT 45 hr에서 90.3%의 제거효율을 나타내, 질산화 과정이 유기물 제거 보다 염분농도에 더 민감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폐수내 $Cl^-$ 6,000 mg/L 이상부터는 $NO_2$-N에서 $NO_3$-N로의 전환율도 낮게 조사되었다.

연속 회분식 반응조의 최적 운전시스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optimum operation system of Sequencing Batch Reactor)

  • 엄태규;고은주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54-61
    • /
    • 1999
  • SBR process used to evaluate the removal of organics, nitrogen and phosphorus on the basis of a report of research on a precedence at various operation cycle and condition change. Effluent concentration of COD were 50mg/l, 50mg/l, 90mg/l respectively, The removal rates of COD were nearly over 95% at Run 1, 2 and 4. But at Run 3, Effluent concentration of COD was 255.0mg/l, The removal rate of COD was 87% at Run 3. As Oxic/Anoxic rate was fixed and operating cycle of Oxic/Anoxic was changed, the removal rates of T-N were 74.7%, 46.9%, 28.5%, 63.3% respectively at Run 1~4. The case of Run 1 was best result. The removal rates of T-P was appeared in proportion to T-N removal rates and rest of $NO_2-N$. The removal rates of T-P were 51.2%, 35.5%, 41.5%, 51.9% respectively. The removal rates of COD, T-N, T-P were influenced on the change of SBR operation cycle. As organic loading rate was $1.43kgCOD/m^3day$ and C/N ratio was 3.0, operation cycle of Run 1 was best condition of T-N removal rates and T-P removal.

  • PDF

공주와 진주지역에서 상수리나무 낙엽의 분해율 및 분해과정에 따른 영양염류 함량 변화 (Decay Rate and Nutrient Dynamics during Litter Decomposition of Quercus acutissima in Gongju and Jinju)

  • 원호연;오경환;문형태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37-545
    • /
    • 2012
  • 낙엽활엽수인 상수리나무 낙엽의 지역에 따른 분해율 및 분해과정에 따른 영양염류의 함량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2008년 12월 공주의 상수리나무림과 진주지역의 낙엽-상록침엽수 혼효림 임상에 낙엽주머니를 설치하고 2011년 3월까지 33개월 동안 분해율, 분해상수 (k), 그리고 분해과정에 따른 C/N 비, C/P 비의 변화와 영양염류의 동태를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33개월경과 후 공주와 진주에서 상수리나무 낙엽 잔존률은 각각 $41.2{\pm}0.4%$$28.3{\pm}0.6%$, 분해상수 (k)는 각각 0.39와 0.61로 진주지역이 공주지역에 비해 분해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진주지역이 공주에 비해 연중 기온과 강수량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상수리나무 낙엽의 분해과정에 따른 C/N. C/P 비율은 초기에 각각 46.8, 270.9 이었으나 33개월경과 후에는 공주지역에서 각각 22.0과 106.8, 진주지역에서는 각각 19.2와 170.2로 낮아졌다. 낙엽의 초기 N, P, K, Ca, Mg 함량은 각각 8.31, 0.44, 4.18, 9.38, 1.37 mg/g이었으며, 33개월경과 후 N, P, K, Ca, Mg의 잔존률은 공주지역에서 각각 91.0, 85.4, 30.2, 47.9, 11.7 %, 진주지역에서는 각각 67.0, 54.2, 19.9, 30.0, 40.8%로 Mg을 제외하고 진주지역의 잔존률이 낮았다. 조사기간 동안에 질소와 인은 부동화 후 무기화가, 칼륨, 칼슘, 마그네슘은 지속적인 무기화가 진행되었다.

먹는물 수질오염물질 표준시료에 대한 신뢰도 검증 - 질산성질소, 불소 - (Quality Control on Standard Samples of $N-NO_3$ and $F^-$ of Drinking Water Quality Pollutant)

  • 박선구;송기봉;김평청
    • 분석과학
    • /
    • 제13권2호
    • /
    • pp.229-233
    • /
    • 2000
  • 질산성질소와 불소의 저농도 $0.74mgN(NO_3)/l$, $0.58mgF^-/l$ 및 고농도 $2.14mgN(NO_3)/l$, $1.25mgF^-/l$ 표준시료에 대해 정도관리차트에 따라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정밀도가 각각 0.010, 0.017, 0.056, 0.019로 우수하게 나타났다. 분석의 숙련도가 다른 A, B, C 세명에 대해 각각의 표준시료로 6회 반복 측정분석한 결과 학력 및 연구경력이 가장 나은 C가 A, B보다 신뢰도가 우수한 측정분석결과를 산출하였다. 3명 모두 평균값이 조제값에 아주 가까운 분석데이타를 산출함으로서 이 표준시료를 외부정도관리 평가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갈대 및 부들 습지셀의 연못시스템 방류수 질소제거 비교 (Comparison of Nitrogen Removal Between Reed and Cattail Wetland Cells in a Treatment Pond System)

  • 양홍모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34-239
    • /
    • 2004
  • [ $NO_3$ ]-N and T-N removal rates of cattail wetland cell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reed wetland cells. The examined cells were a part of a pond-wetland system composed of two ponds in series and six wetland cells in parallel. Each wetland cell was 25m in length and 6m in width. Cattails (Typha angustifolia) were transplanted into three cells and reeds Phragmites australis) into another three ones in June 2000. Water of Sinyang stream flowing into Kohung Estuarine lake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as pumped into the primary pond, its effluent was discharged into the secondary pond Effluent from the secondary pond was funneled into each cell. Two cattail and reed cells were chosen for this research. Water quantity and quality of influnt and effluent were analyzed front May 2001 through October 2001. The volume of influent and effluent of the cells averaged about $20.0\;m^3/day$ and $19.3\;m^3/day$, respectively. Hydraulic retention time was approximately 1.5 days. Influent $NO_3$-N concentration for the four cells averaged 2.39 mg/L. Effluent $NO_3$-N concentration far the cattail and reed cells averaged 1.74 and 1.78 mg/L, respectively. Average $NO_3$-N retention rate for the cattail and reed cells by mass was 30 and 29%, respectively. Influent T-N concentration far the four cells averaged 4.13 mg/L. Effluent T-N concentration for the cattail and reed cells averaged 2.55 and 2.61 mgL respectively. Average T-N retention rate for the cattail and reed cells by mass was 39 and 38%, respectively. $NO_3$-N and T-N concentrations in effluent from the cattail cells were significantly low (p=0.04), compared with those from the reed cells. Cattail wetland cells were more efficient for $NO_3$-N and T-N abatement than reed ones.

울산 지역 주요 호소(사연호, 대암호, 선암저수지, 회야호)의 수질 및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구조 분석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Water Quality in the Major Lakes (Lake Sayeon, Lake Daeam, Seonam Reservoir, Lake Hoeya) of Ulsansi)

  • 이미진;권혁영;이혜진;서정관;이재관;이종은
    • 생태와환경
    • /
    • 제44권4호
    • /
    • pp.396-406
    • /
    • 2011
  • 2010년 2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울산 지역에 위치한 선암저수지, 대암호, 사연호, 회야호 4개 호소에 대하여 각 호소 내의 수질 및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상 조사를 수행하였다. BOD는 평균 $14.2\;mg\;L^{-1}$로, 4개 호소 중 선암저수지에서 연간 편차가 가장 컸으며, 회야호를 제외한 모든 호소에서 2월에 최대값, 5월에 최소값을 나타냈고, 회야호는 7월에 최소값을 나타냈다. 영양염 항목은 평균 TN $0.051mg\;L^{-1}$, TP $0.100mg\;L^{-1}$, $NH_3-N\;0.606mg\;L^{-1}$, $NO_3-N\;0.014mg\;L^{-1}$로, TN 항목은 4개 호소에서 6월에 최대값을 나타냈고, TP는 3월에 최대, 5월에 최소값을 나타냈다.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4월과 10월에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평균 TN 및 $NO_3-N$ 농도가 $0.082mg\;L^{-1}$, $0.023mg\;L^{-1}$로 가장 높았던 선암저수지에서 총 36종 평균 208 inds. $m^{-2}$로 가장 많은 종이 출현하였고, 대암호 21종 59 inds. $m^{-2}$, 회야호 17종 125 inds. $m^{-2}$, 사연호 16종 58 inds. $m^{-2}$가 출현하였다. 영양염 항목과 저서성대형 무척추동물 종수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울산 지역 내 4개 호소에 서식하는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종수는 해당 호소의 연평균 TN 농도와의 상관계수 0.962 (P<0.05), $NO_3-N$ 농도와의 상관계수 0.999 (P<0.05)로, 종수는 TN과 $NO_3-N$에 대해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안동호 수질의 장기적인 변화 (Long-term Variation of Water Quality in Lake Andong)

  • 권상용;김범철;박주현;허우명
    • 생태와환경
    • /
    • 제33권3호통권91호
    • /
    • pp.260-266
    • /
    • 2000
  • 안동호의 강우량은 연평균 약 1,076mm이며, 연간 수위변화는 약 27m로 변화폭이 비교적 크다. 표층수의 수온은 계절별로 4${\sim}$28$^{\circ}C$ 범위를 보였으며, 혼합시기(turnover)의 수온은 4${\sim}$5$^{\circ}C$ 내외이였다. 연도별로 하절기의 최저 투명도 값은 '93년부터 '98년까지 각각 2.0, 2.1, 1.8, 1.5, 1.2 및 1.2m로 매년 점차 낮아지고 있다. 탁도는 강우량이 비교적 많았던 '97년에 호수 전층에서 60${\sim}$70 NTU로 높았다. 표층수 (0${\sim}$5 m)의 평균 총인 (TP) 농도는 약 21 mgP/m$^{3}$으로 '93년에 11${\sim}$30 mgP/m$^{3}$ 범위였으나, '98년에는 18${\sim}$42 mgP/m$^{3}$으로 매년 1.85 mgP/m$^{3}$ 씩 증가하였다. 총질소 (TN)의 표층 평균 농도는 '93년에 1.81${\sim}$2.96 mgN/L의 범위이었으나, '98년에는 1.48${\sim}$2.57 mgN/L로 점차 감소하였다. TN/TP 무게비의 연변화를 보면 '93년에 82${\sim}$281이었으나, '98년에는 21${\sim}$143으로 크게 감소되었다. 용존무기인 (DIP)은 연평균 3.6 mgP/m$^{3}$이었으며, 질산성질소 (NO$_{3}$-N)는 연평균 1.50 mgN/L으로 '95년 이후 점차 낮아지고 있다. 엽록소 a 농도의 하계 평균 표층(0${\sim}$5 m) 값은 '93년부터 '98년까지 각각 4.8, 11.2, 6.4, 17.6, 10.0 및 5.0 mg/m$^{3}$이었다. 따라서 안동호는 총인, 총질소 및 엽록소 농도로 볼 때 중영양호에서 부영양호의 사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