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g_3N_2$

검색결과 4,719건 처리시간 0.036초

물상추를 이용한 중금속 제거에 관한 연구

  • 이상호;이인구;이상을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74-76
    • /
    • 2001
  • 물상추에 의한 Pb 제거효율은 96시간 동안 0.5 mg/L 일 때 71.4%, 1mg/L일 때 65.6%, 1.5 mg/L일 때 81.2%로 나타났으며, 0.5 mg/L 일 때 24시간만에 24.6%로 가장 높은 제거효율을 나타냈다. 또한 농도가 높아질수록 높은 제거효율을 나타냈다. $Cr^{6+}$ 의 제거효율은 높은 농도에서 시간이 지날수록 제거효율이 높아졌다각 수조별 pH 변화는 전반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Pb의 경우는 1.5 mg/L에서 96시간 동안 6.7에서 7.73으로 가장 큰 변화를 보였다. 수온을 23 ~ 26$^{\circ}C$로 유지하면서 물상추의 비성장율을 살펴본 결과 Pb의 경우 1.5mg/L에서 24시간만에 0.046g $day^{-1}$에서 96시간 후에는 1.5 mg/L에서 0.114 g $day^{-1}$로 가장 높은 성장을 보였으며 $Cr^{6+}$ 의 경우도 1 mg/L에서 24시간 후에 0.0l2g $day^{-1}$에서 96시간 후에는 0.5 mg/L에서 0.07g $day^{-1}$로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중금속 수조의 $NH_3-N$, $NO_3$-N, T-P 제거효율을 보면 $NH_3-N$는 전체적으로 50%이상의 높은 제거효율을 보여 영양원으로서의 흡수가능성을 보였고 $NO_3$-N와 T-P의 경우는 전체적으로 낮은 제거효율을 보였다.

  • PDF

Hydrogen Storage Properties of Pure MgH2

  • Kwak, Young Jun;Lee, Seong Ho;Park, Hye Ryoung;Song, Myoung Youp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266-270
    • /
    • 2013
  • The hydrogen storage properties of pure $MgH_2$ were studi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pure Mg. At the first cycle, pure $MgH_2$ absorbed hydrogen very slowly at 573 K under 12 bar $H_2$. The activation of pure $MgH_2$ was completed after three hydriding-dehydriding cycles. At the $4^{th}$ cycle, the pure $MgH_2$ absorbed 1.55 wt% H for 5 min, 2.04 wt% H for 10 min, and 3.59 wt% H for 60 min, showing that the activated $MgH_2$ had a much higher initial hydriding rate and much larger $H_a$ (60 min), quantity of hydrogen absorbed for 60 min, than did activated pure Mg. The activated pure Mg, whose activation was completed after four hydriding-dehydriding cycles, absorbed 0.80 wt% H for 5 min, 1.25 wt% H for 10 min, and 2.34 wt% H for 60 min. The particle sizes of the $MgH_2$ were much smaller than those of the pure Mg before and after hydriding-dehydriding cycling. The pure Mg had larger hydrogen quantities absorbed at 573K under 12 bar $H_2$ for 60 min, $H_a$ (60 min), than did the pure $MgH_2$ from the number of cycles n = 1 to n = 3; however, the pure $MgH_2$ had larger $H_a$ (60 min) than did the pure Mg from n = 4 to n = 6.

낙동강 수계의 수질 현황 (Status of Water Quality in Nakdong River Districts)

  • 임영성;조주식;이홍재;이영한;손보균;허종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26-134
    • /
    • 1999
  • 낙동강 수계 농업용수의 수질개선 및 수자원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낙동강 본류 4개지점과 지류 3개지점의 수질을 1995년 1월부터 1997년 11월까지 매월 1회 총 36회에 걸쳐 수질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온은 본류와 지류의 각 지점별 수온차는 거의 없었으며 동절기는 평균수온이 $5^{\circ}C$이하이고 하절기는 $26^{\circ}C$이상으로 큰 차이를 보였고, 낙동강 본류의 지점별 pH는 $6.3{\sim}9.3$ 범위로서 적포지역과 남지지역은 봄과 가을에 pH8.5 이상으로 대부분 농업용수 허용기준치인 pH $6.0{\sim}8.5$를 초과하였으며, 낙동강 지류의 지점별 pH는 $6.5{\sim}8.5$ 범위였다. 각 지점별 DO는 금호강 하류인 강창지점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8.0{\sim}13mg/l$ 정도의 분포를 나타내었고, BOD는 금호강이 합류되기 전인 다사지점은 $1.5{\sim}4.8mg/l$로서 농업용수 허용기준치인 8mg/l 이하였으나 금호강이 합류된 후인 고령은 $3.8{\sim}8.9mg/l$, 적포는 $3.4{\sim}8.4mg/l$ 그리고 남지는 $3.3{\sim}7.8mg/l$로서 이들 지점은 시기에 따라서 농업용수허용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낙동강 지류인 금호강 강창지점의 BOD는 $7.6{\sim}18.5mg/l$로서 금호강은 낙동강의 주된 오염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COD는 본류의 경우 고령이 $5.2{\sim}13.5mg/l$, 적포의 경우 $5.0{\sim}12.7mg/l$ 그리고 남지는 $5.0{\sim}12.2mg/l$의 범위로서 시기에 따라서 농업용수허용기준치인 8mg/l을 초과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COD값은 BOD값에 비하여 훨씬 높게 나타났으며 하류지역으로 갈수록 그 농도차의 폭이 컸다. $NH_4-N$은 본류의 경우 금호강($0.5{\sim}13.1mg/l$)의 영향을 크게 받는 고령지점이 $0.18{\sim}5.0mg/l$로서 가장 높았고, 적포는 $0.03{\sim}4.49mg/l$, 남지는 $0.01{\sim}3.81mg/l$ 범위였으며, 여름철에 비하여 갈수기인 겨울철에 $NH_4-N$가 매우 높게 검출되었다. T-N은 금호강의 영향을 크게 받는 고령이 $4.96{\sim}12.06mg/l$ 범위로서 가장 높았으며, 다사지점 $2.86{\sim}4.86mg/l$, 적포지점 $4.20{\sim}8.20mg/l$, 남지지점 $3.18{\sim}8.64mg/l$로서 대부분이 농업용수기준치인 1.0mg/l을 훨씬 초과하였다. T-P도 고령이 $0.10{\sim}0.58mg/l$ 범위로서 가장 높았으며, 적포지점 $0.07{\sim}0.36mg/l$, 남지지점 $0.08{\sim}0.41mg/l$로서 대부분이 농업용수기준치인 0.1mg/l을 초과하였으며, 낙동강 수계의 T-N 및 T-P 농도는 매년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중금속은 Cu가 $ND{\sim}0.047mg/l$, Zn는 $ND{\sim}0.041mg/l$ 범위의 농도로 검출되었고 Cd, Pb, Cr, Hg 및 As는 검출되지 않았다.

  • PDF

술패랭이꽃(Dianthus superbus)의 엽육원형질체로부터 식물체 재분화 (Plant Regeneration from Mesophyll Protoplasts of Dianthus superbus)

  • Lee, Eun-Ae;Kim, Joon-Chul;Kim, Won-Bae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1-46
    • /
    • 1995
  • 술패랭이꽃의 엽육원형질체를 2.0mg/L NAA, 0.5 mg/L BAP 및 9%의 mannitol이 포함된 MSPI 9M 액체배지에서 배양하였다. 27$^{\circ}C$, 암조건에서 배양 3-4주일 후 활발한 분열과정을 거쳐 원형질체로부터 colony가 형성되었으며 이들colony는 연속광 (21.5 $\mu$Eㆍ $m^{-2}$ ㆍse $c^{-1}$)하에서 배양 2주일 후 직경 약 3 mm의 녹색 microcallus로 생장하였다. 녹색 microcallus는 2.0 mg/L 2,4-D가 첨가된 고체배지에서 배양30일 후 배발생 캘러스를 형성하였으며 이들 배발생 캘러스는 0.1 mg/L 2,4-D, 2.0 mg/L kinetin 및 2.0 g/L casein hydrolysate가 포함된 $N_{6-}$2 배지에서 캘러스당 10-15개의 multiple shoot의 분화가 이루어졌다. 재분화된 shoot는 2.0mg/L NAA가 포함된 MS 배지에서 뿌리가 유도되었으며 이들을 pot로 이식하여 재분화 개체를 획득할 수 있었다.

  • PDF

Biofilter 공정에서 유입 C/N비와 DO가 지하수의 질산성 질소제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fluent C/N Ratio and DO on Denitrification of Nitrate Polluted Groundwater in a Biofilter Process)

  • 이무재;박상민;박노백;전항배;김공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55-361
    • /
    • 2006
  • 고정상 생물여과지(biofiiter)에서 유입 C/N(COD/Nitrate)비와 용존산소(DO) 농도가 지하수로부터 질산성 질소를 제거하는데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유입 C/N비 10과 4.0에서 30 mg/L로 유입된 질산성 질소는 생물학적 탈질반응에 의해 완전히 제거되었다. 반면, 유입 C/N비 2.0에서는 전자공여체가 부족하였기 때문에 5.0 mg/L의 질산성 질소가 유출되었다. 게다가, 유입 C/N비가 2로 감소함에 따라 5.0 mg/L에 달하는 아질산성 질소가 발생하였다. 유입 C/N비 5에서 DO 농도의 증가는 탈질반응을 저해하였으며, 질산성 질소제거효율을 감소시켰다. 아황산나트륨($Na_2SO_3$)을 이용하여 유입 DO농도를 조절할 경우, 0.3 mg/L의 낮은 DO에도 불구하고 유출수 중 3.6 mg/L의 아질산성 질소가 잔류하였다. 반면, 질소가스를 이용하여 DO농도를 0.3 mg/L로 조절한 경우, 유입된 질산성 질소는 완전히 제거되었으며, 아질산성 질소는 검출되지 않았다. 생물여과지에서 유입된 질산성 질소를 제거하는데 소비된 유기물은 $3.0{\sim}3.5gSCOD/g{NO_3}^--N$의 범위이었으나, DO 농도가 5.5 mg/L로 증가함에 따라 소비된 그 양은 증가하였다. 높은 DO 농도 및 낮은 유입 C/N비와 함께 아황산나트륨을 이용한 DO 농도 조절은 생물학적 탈질반응에 영향을 주었으며, 질산성 질소제거효율을 감소시키고 아질산성 질소가 축적되었다.

人工湖 生産層에서 植物플랑크톤의 질소화합물 동화속도 (In situ Assimilation Rate of Nitrogenous Compounds by Phytoplankton in the Euphotic Layer of Reservoirs)

  • Mitamura,Osamu;Kyu-Song Cho;Sa-Uk Ho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6권3호
    • /
    • pp.261-273
    • /
    • 1993
  • The nitrogen assimilation rate of nitrogenous nutrients by reservior phytoplankton was masured in the in situ condition in the euphotic layer of Lakes Soyang, Chuncheon and Uiam located on the upper reaches of the North Han River System in August, 1983, Korea. The assimilation rate of ammonia, nitrate and urea nitrogen in surface water was 13, 2 and $13{\mu}g$ at. $N{\cdot}m^{-3}{\cdot}(12:10~18:15)^{-1}$ in Lake Soyang, 325, 27 and $59{\mu}g$ at. $N{\cdot}m^{-3}{\cdot}(12:30~18:30)^{-1}$ in Lake Chuncheon, and 174, 12 and $45{\mu}g$ at. $N{\cdot}m^{-3}{\cdot}(12:30~19:30)^{-1}$ in Lake Uiam. Ammonia and urea were perferntially utilized by reservoir phytoplankton. The dark/light ratios of nitrate assimilation were much lower than those of ammonia and urea assimilation of nitrate showed little contribution. The primary productuin was estimated as 59mg $C{\cdot}m^{-2}{\cdot}day^{-1}$ and 6.9mg $N{\cdot}m^{-2}{\cdot}day^{-1}$ in Lake Spyang, 217mg C{\cdot}m^{-2}{\cdot}day^{-1}$ and 26mg N{\cdot}m^{-2}{\cdot}day^{-1}$ in Lake Chuncheon, and 110mg C{\cdot}m^{-2}{\cdot}day^{-1}$ and 13mg N{\cdot}m^{-2}{\cdot}day^{-1}$ in Lake Uiam, with production ratios of 8.6, 8.4 and 8,4, respectively. The turnover time o ammonia and urea in the upper euphotic layer was 2 to 47 days and 4 to 38 days, respectively. Nitrate required much longer periods. In the euphotic layer of reservoirs, ammonia and urea played signigicant roles in the biogeoKDICical nitrogen metabolism.

  • PDF

콩단백질과 고기단백질 식이가 인체내 단백질과 칼슘.인.마그네슘 대사에 미치는 영향 : 중기간 급식 효과 (Effects of Soy Protein and Meat Protein Diets on Protein, Calcium, Phosphorus, and Magnesium Metabolism in Young Korean Adults : Mid-Tern Feeding Study)

  • 주은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2권6호
    • /
    • pp.516-530
    • /
    • 1989
  • A 44-day metabolic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s of soy protein and meat protein on N, Ca, P, and Mg metabolism in young Korean males. Meat protein diet(MPD) and soy protin diet(SPD) were provided for 3 weeks each. For MPD, meat protein Supplied 50.3% of total protein and mean daily suplies of Ca, P, and Mg were 33.28mg, 1013.01mg, 226.81mg respectively. For SPD, soy protein supplied 51.8% of total protein and mean contents of Ca, P and Mg were 737.86mg, 1261.76mg, and 451.3mg. Mean daily fecal and urinary excretions of Ca were 350.6mg and 113.3mg for MPD and 515.0mg and 118.3mg for SPD. Apparent absorption rates in MPD and SPD were 4.2mg in MPD and 700.4mg and 475.1mg SPD. Apparent absorption rates were 65.6% in MPD and 44.5% in SPD(p<0.01). For Mg, fecal and urinary excretions were 144.8mg and 81.2mg in MPD and 292.4mg and 65.5mg in SPD. Apparent absorption rates were 37.5% in MPD and 35.2% in SPD. The correlations between urinary Ca, P, and their balance were significant (p<0.001) in MPD, but not in SPD. Urinary Ca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urinary N, P, Mg(p<0.001) in MPD, but not in SPD. From these results, meat protein seems to increase the excretions of major minerals compared to soy protein.

  • PDF

Urea Transformation and Nitrogen Loss in Waterlogged Soil Column

  • Seol, Su-Il;Lee, Sang-Mo;Han, Gwang-Hyun;Choi, Woo-Jung;Yoo, Sun-Ho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2호
    • /
    • pp.86-93
    • /
    • 2000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obtain the quantitative data on the transformation and loss of applied urea-N in waterlogged soil columns. The soil columns were pre-incubated for 35 days to develop oxidized and reduced soil conditions prior to urea application. After urea application at the rate of $150kg\;N\;ha^{-1}$(29.5 mg N), the amounts of nitrogen which were volatilized, leached, and remained in soil column were measured during 38 days of incubation period. On 2 and 4 days of incubation, 54.1%(15.9 mg N) and 98.4%(29.0mg N) of the applied urea was hydrolyzed, respectively. Most of the applied urea was completely hydrolyzed within 6 days. After urea application, the rates of ammonia volatilization were increased with the floodwater pH when the floodwater pH were higher than 7.0. The maximum rate of ammonia volatilization was $0.3mg\;d^{-1}$ when pH of the floodwater showed maximum value of 7.6. The total amount of volatilized nitrogen was 6.1% (1.8mg N) of the applied urea-N. A 63.2 % (18.6mg N) of the applied urea was remained in soil as $NH_4{^+}-N$ and 28.0% (8.2mg N) of the applied urea was leached as $NH_4{^+}-N$ at the end of the incubation. Amount of $NO_3{^-}-N$ in soil was smaller than 2.0 mg throughout the incubation period. The total amount of $NO_3{^-}-N$ leached was very small, which value was 1.8 mg. It suggested that nitrification process was not significant in waterlogged soil column of this study due to high infiltration rate of urea solution applied to the soil column. Therefore only small amount of $NO_3{^-}-N$ was lost by denitrification and leaching process.

  • PDF

강우시 산업단지에서의 오염물질 유출특성 (Characterization of Stormwater Pollutants Runoff in Industrial Complex)

  • 박기웅;이준호;최종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41-353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단지 유역에서 강우시 유출수를 조사하여 수질변동과 초기유출 특성 등 오염물질 유출특성을 파악함에 있다. 조사대상유역은 청주산업단지내 유역특성이 상이한 8개 소유역을 선정하여 1997년 6월부터 1998년 8월까지 조사하였다. 분석항목은 $BOD_5$, COD, SS, $NO_3-N$, TKN, $PO_4-P$, TP, n-Hexane 추출물질, Cr, Cu, Pb, Fe 등 중금속이다. 강우시 산업단지에서 발생하는 유출수의 농도범위는 $BOD_5$, COD, SS, $NO_3-N$, TKN, $PO_4-P$, TP, n-Hexane 추출물질 Cr, Cu, Pb, Fe에 대해 각각 2~324 mg/L, 5~810 mg/L, 1~1.110 mg/L, 0.01~10.89 mg/L, 0.1~59.8 mg/L, 0.08~7.02 mg/L, 0.1~7.8 mg/L, 0.1~1,723.6 mg/L, 0.001~0.363 mg/L, 0.001~0.488 mg/L, 0.001~1.28 mg/L, 그리고 0.26~18.91 mg/L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초기유출현상에 대하여 수량화하였으며, 불투수층면적 비율이 증가할수록 초기유출현상의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