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gO-P_2O_5$

검색결과 1,940건 처리시간 0.03초

턱수염 버섯 배양(培養) 균사(菌絲)의 항종양(抗腫瘍) 성분(成分) (An Antitumor Constituent of the Cultured Mycelia of Hydnum repandum)

  • 정경수;최응칠;김병각;김양섭
    • 한국균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91-95
    • /
    • 1983
  • 한국산 담자균류의 항종양성 성분을 탐색하기 위하여 턱수염버섯의 균사를 분리하여 인공배지에서 진탕배 양후, 그 배양균사체로부터 수용셩 단백성 다당류를 추출하였다. 이 성분이 ICR마우스에 이식한 육종 180에 대하여 54.3%의 종양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이 성분은 다당류 42%와 단백질 28%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 중 다당류는 glucose (57.8%), mannose(19.3%), galactose(10.8%), xylose (6.8%), 및 fucose (5.7%)를 함유하고 있었다.

  • PDF

유용미생물(Kluyvera sp. CL-2) 처리가 수박의 유리당 함량 및 토양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luyvera sp. CL-2 on Sugar contents of Watermelon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 홍수영;최승출;서영호;임수정;허수정;윤병성;박영학;홍대기;송재경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77-686
    • /
    • 2018
  •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유용미생물 Kluyvera sp. CL-2 처리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박에 미생물 배양액을 7일 간격으로 2회, 5회 관주처리하여 처리 전 후의 토양 이화학성 변화를 관찰하였고, 또한 미생물 처리 후 수확기의 수박 생육특성 및 유리당 함량을 비교하였다. Kluyvera sp. CL-2 배양액을 $1.0{\times}10^6cfu\;mL^{-1}$로 7일 간격 본포에 2회, 5회 관주처리 한 결과, 산도와 Ca, Mg은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유기물은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였다. EC와 K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유효인산은 무처리구 대비 미생물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수확 직후의 수량, 엽장, 과중, 과장, 과폭, 과피두께는 미생물 처리구와 무처리구 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과폭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2회 처리구는 11.6%, 5회 처리구는 26.2% 증가하였다. 수박의 수확기 유리당 함량을 분석한 결과 sucrose는 모든 처리구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fructose와 glucose의 함량은 무처리구 대비 미생물 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lucose함량은 2회 처리구가 무처리구 대비 13.8%, 5회 처리구는 12.8% 증가하여 미생물 처리횟수 간의 차이는 없었으나, fructose함량은 2회 처리구 14.6%, 5회 처리구에서는 39.8% 증가하여 미생물처리 횟수 증가에 따른 유의수준의 fructose 함량 증진 효과가 확인되어 Kluyvera sp. CL-2의 처리가 수박의 당도를 향상시키는 경과를 보였다.

다양한 잡곡 추출물의 살균.살충활성 (Fungicidal and insecticidal activities of various grain extracts against five insect pests and six phytopathogenic fungi)

  • 이회선;최경자;조광연;이상길;안용준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7-14
    • /
    • 2000
  • 21종 잡곡류의 메탄올 추출물을 대상으로 기주식물상의 온실실험조건에서 6종의 주요 식물병원균의 방제효과 및 5종의 해충에 대한 살충효과를 조사한 효과는 잡곡류의 종류에 따라 커다란 차이를 보였다. 21종의 공시시료를 5 mg/pot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개보리 (E. sibiricus)와 늘보리 (H. vulgare var. nudum)는 벼도열병 및 보리흰가루병, 참깨 (S. indicum (W))와 밀 (T. aestivum)은 밀녹병과 보리흰가루병에 대하여 80% 이상의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5종의 주요해충에 대한 살충효과는 2,500 ppm의 농도로 처리할 때 메밀 (F. esculentum)은 복숭아혹진딧물, 쇠보리 (I. crassipes), (O. sativa var. glutinosa), 기장 (P. miliaceum), 조 (S. italica), 수수 (S. bicolor) 및 밀 (T. aestivum)은 점박이응애에 대하여 80% 이상의 살충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실험에 사용된 잡곡류는 토마토역병, 배추좀나방 및 담배거세미나방에 대해서는 거의 활성이 없거나 활성이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벼도열병, 밀녹병 및 보리흰가루병 등에 높은 방제효과를 보인 상기 잡곡 추출물들은 식물병 방제제로서 사용 가능성이 예상되었으며, 또한 복숭아혹진딧물 및 점박이응애에 강한 살충효과를 보인 추출물은 해충방제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 PDF

무가온 하우스 재배 '듀크' 블루베리에 대한 양분공급시기가 수체생육, 과실품질, 수량에 미치는 영향 (Bush Growth and Fruit Quality of 'Duke' Blueberry Influenced by Nutrition Supply Periods in Unheated Plastic House)

  • 천미건;이영숙;김영봉;헤라쓰 무디얀셀라지;김진국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21-427
    • /
    • 2020
  • 본 시험에서는 블루베리 양액재배시 양분공급시기가 수체 생육과 과실품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신초생장은 1차, 2차 생장량은 비슷한 경향이었으나, 3차 생장량은 수확종료 15일 전 중단한 처리에 비해 수확종료 직후와 수확종료 후 15일에 공급을 중단한 처리가 각각 15.4%, 15.6% 생장을 많이 하는 경향이었고, 수확종료 후 60일에 양분공급을 중단한 처리는 수확종료 15일전에 중단한 처리보다 3차 생장량이 53.2%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양액공급 후 이듬해 꽃눈수를 조사한 결과 수확종료 후 60일에 양분 공급을 중단한 처리는 수확종료 15일전에 중단한 처리보다 26% 적었다. 처리별 과실특성은 과실중, 당도, 산도 등은 처리간 큰 차이가 없었으며, 주당 수량은 수확종료 15일전이 2.1kg, 수확종료 직후와 수확종료 후 15일에 양분을 중단한 처리가 2.5kg으로 가장 많았으며, 수확종료 후 45일과 60일에 양분을 중단한 처리는 1.8kg으로 가장 작았다.

Stress-Reducing Effects of Brown Rice Koji

  • Lee, Geum-Seon;Choi, Ji-Young;Ko, Hong-Sook;Lee, Blendyl Saguan Tan;Yu, Gu-Young;Jeong, Chung-Won;Park, Hyung-Geun;Kim, Mi-Kang;Ryu, Jong-Hoon;Jung, In-Kyung;Cheong, Jae-Hoo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1호
    • /
    • pp.63-69
    • /
    • 2006
  •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a diet supplemented with brown rice koji (BRK) results in a reduced stress response in rats and mice. BRK, which has been suggested as a candidate for use as a stress- and fatigue-fighting supplement, was compared with red ginseng extract (RG) for its stress-reducing potential. The animals in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no-stress, stress, RG, and BRK groups of 8 to 10 animals each. Stress was induced by means of immobilization (being restrained in plastic tubes for 30 min and electroshock (0.5 mA in mice or 2 mA in rats for 5 min). The no-stress group was not exposed to stress. Rats in the RG group received oral doses of 200 mg RG extract/kg body weight daily. The BRK group was fed a 30% BRK diet and exposed to stress. Animals were given supplements for 7 days before being exposed to stress, and then were given supplements for 5 days with exposure to stress. When the stress exposure ended, the animals were observed for stress-related changes in behavior and their plasma corticosterone levels were measured. BRK supplementation was associated with a partial blockade of the effects of stress on locomotion and elevated plus-maze test results in rats and mice. It was also associated with a partial reduction in stress-induced behaviors such as freezing, burrowing, smelling, face-washing, and rearing. BRK supplementa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lasma corticosterone levels, which were increased in the animals exposed to stress (p<0.01). The mice in the RG group received RG in water (2 mg RG/ mL $H_2O$), and the BRK group received a 30% BRK diet (weight) for 7 days. Both groups were evaluated for signs of fatigue. BRK supplementation increased endurance, as indicated by time on the rota-rod, in cold water, and on the horizontal wi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BRK supplementation partially protects the animal from the effects of stress and may also contribute to resistance to fatigue on physical exertion.

천년초(Opuntia humifusa) 추물물의 사염화탄소를 처치한 흰쥐에서의 간보호 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 of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Extract in Rats Treated Carbon Tetrachloride)

  • 박민경;이영재;강은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822-82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천년초 줄기 물추출물의 전처치가 사염화탄소로 유발한 흰쥐의 간 손상에 대해 보호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천년초 추출액은 건조 고형분량을 측정하고 1g/kg 및 0.5g/kg 체중이 되는 양을 일정시간에 1일 1회 14일동안 경구투여 하였다. $CCl_4$는 올리브유로 희석하여(1:4) 0.5ml/kg체중이 되도록 시료 마지막 투여 종료 3시간 후에 대조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 복강주사하였다. 사염화탄소 처치에 의해 혈청 AST, ALT 및 ALP 활성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각각 4.3, 4.7 및 1.2배 증가하였다. 반면, 천년초 줄기 추출물을 1g/kg 투여한 군의 AST, ALT 및 ALP의 활성은 $CCl_4$군과 비교하여 각각 약 36%, 41% 및 22% 감소하였다. 사염화탄소에 의해 간의 지질과산화 반응이 증가하였으며 SOD 및 GST활성이 감소하였다. 1g/kg의 천년초 줄기 추출물의 투여는 간의 지질과산화 반응을 감소시키고 SOD 및 GST의 활성을 회복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천년초 줄기 추출물은 $132.2{\mu}mol$ vit. C eq/g의 OH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페놀화합물의 함량이 6.52mg/g이다. 이러한 결과는 천년초 줄기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사염화탄소로 부터 간손상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Modified Photo-Fenton Reaction을 이용한 Methyl Tert-butyl Ether (MTBE)의 분해 Kinetic 및 메커니즘 규명에 관한 연구 (Degradation Kinetic and Mechanism of Methyl Tert-butyl Ether (MTBE) by the Modified Photo-Fenton Reaction)

  • 김민경;공성호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1권6호
    • /
    • pp.69-75
    • /
    • 2006
  • 지하 저장 탱크로부터의 유류 유출로 인하여 전세계적으로 넓은 지역의 토양 및 지하수가 오염되고 있다. Methyl tert-butyl ether(MTBE)는 대기 오염 감소를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유류 첨가제이지만 토양 및 지하수로 유입되어 섭취 되었을 때 발암 가능성이 있는 유독 물질이다. 본 연구는 고도 산화 처리 기법 중 유기 오염물의 분해에 높은 효율을 나타내는 고전적 Fenton reaction의 최대 단점인 강한 산성(pH 2.5-3) 의존성을 극복한 새로운 산화 처리 기법을 개발하여 고농도의 MTBE를 효과적으로 분해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여 자연 친화적인 chelating agents를 사용하여 중성 영역에서 Fenton reaction을 가능하게 하는 기법인 Modified Fenton reaction과 Ultra Violet light(UV)를 이용하여 분해효율을 극대화 하는 Photo-assisted Fenton reaction을 응용한 Modified Photo-Fenton reaction system을 개발하여 최적 반응 조건 및 반응 차수, 반응 메커니즘을 밝혀내었다. 낮은 독성과 높은 생분해성을 나타낸 Citrate ion을 chelating agents로 선정하였으며 최적 반응 조건은 [$Fe^{3+}$] : [Citrate] = 1 mM : 4 mM, 3% $H_2O_2$, 17.4 kWh/L UV dose, 초기 pH 6.0이며 이 조건에서 1000 ppm MTBE를 분해한 결과 6시간 후 86.75%, 16시간 후 99.99%의 높은 분해율을 나타냈으며 최종 pH는 6.02로 안정적이었다. 또한 Modified Photo-Fenton reaction을 이용한 MTBE 분해 반응은 유사 1차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methoxy group이 ${\cdot}OH$ radical과 주로 반응하여 tert-butyl formate(TBF)가 주요 분해 산물이 되는 분해 경로를 따른 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연구로 개발된 Modified Photo-Fenton reaction에서 발생되는 산화제인 ${\cdot}OH$ radical의 비선택적 반응성을 고려할 때 본 system은 다른 종류의 유기 오염물 분해에도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시설재배 오이의 생육시기별 엽 중 다량요소와 미량요소 함량 (Macro and Micro Nutrient Contents in Leaves of Greenhouse-grown Cucumber by Growth Stages)

  • 이주영;성좌경;이수연;장병춘;김록영;강성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15-220
    • /
    • 2011
  • 시설오이 재배작형에 따른 시기별 잎의 무기성분의 지표를 설정하기 위하여 촉성재배 지역 5농가, 반촉성재배 지역 5농가, 전체 10 농가포장을 대상으로 재배현황 및 수량성을 조사하였으며, 잎을 채취 분석하여 생육단계별 엽 중 무기성분 함량을 제시하였다. 작형별 수량은 생육기간이 9개월인 촉성재배가 14.8 톤 $10a^{-1}$, 생육기간이 6개월인 반촉성재배가 10.7 톤 $10a^{-1}$으로 촉성재배에서 현저히 높았다. 오이의 생육초기에 있어서 토양의 pH, 유기물, 치환성 칼륨 등 염기함량은 작형 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EC와 질산태질소, 유효인산 함량 등은 대체로 높은 함량을 보이면서 촉성재배지가 반촉성재배지에 비하여 적정수준이거나 적정수준에 근접하였다. 토양온도 역시 대체로 수량이 많았던 촉성재배지에서 적정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엽 중 무기성분함량 중 다량요소인 NPK의 최고함량은 촉성재배에서 정식후 60~80일, 반촉성재배는 100일에서 높았으며, 최고함량으로 볼 때 촉성재배에서 다소 높았다. 촉성재배에서 Ca과 Mg함량은 생육시기별 큰 차이가 없으나 반촉성재배에서 정식 후 80~100일에서 최고값을 보였다. 엽 중 Fe, Mn, Zn 등의 미량요소 함량은 생육기간 간에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나 Mn함량은 토양 pH가 다소 낮은 촉성재배에서, B함량은 토양의 유효 B함량이 높았던 반촉성재배에서 높은 결과를 보였다.

낙동강유역 땅콩재배지 홍수에 의한 침수피해가 땅콩 생육,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ubmersion by Heavy Rain on Growth, Yield and Qua1i1y of Peanut Plant Cultivated in Nakdong Riverside)

  • 김창배;이숙희;윤재탁;김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92-296
    • /
    • 1999
  • 땅콩의 착협비대기인 '98. 8. 5 - 8. 6 사이 2일간 207 mm에 달하는 집중호우에 의거 침수피해가 발생된 지역에서 약 1개월 후 시료를 채취하여 땅콩의 생육, 수량 및 품질변화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주경장, 분지장, 생체중 등 지상부 생육과 종실수량은 침수일수가 길수록 현저히 감소되었고, 침수기간이 1일 정도 짧아도 침수기간 3일과 큰 차이없이 피해가 컸으며 땅콩종실의 저장기간중 지질의 산패율은 침수일수가 길수록 산패가 빨랐고, 불포화지방산인 Linoleic acid 조성비도 낮아 품질이 다소 저하되는 경향이었다. 침수일수에 따른 식물체의 지상부 무기성분은 질소, 인산 및 고토의 함량은 침수일수가 길수록 증가되었으나 칼리함량은 감소되었다. 침수피해지의 토양 분석결과 토양중 유기물, 인산 등 각종양분의 함량이 현저히 적어 무침수지에 비하여 양분용탈 및 유실이 심하여 비옥도가 크게 떨어졌다. 따라서 홍수에 의한 침수일수가 길수록 땅콩식물체의 무기성분함량. 품질 및 토양 비옥도에 크게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 PDF

양동마을의 노거수 생육실태 분석 (An Analysis of Growth Conditions of old Trees in Yangdong Villages)

  • 김영훈;덩베이지아;유주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95-107
    • /
    • 2020
  • 본 연구는 양동마을에 분포하는 노거수를 생육실태 및 분석하여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조사항목은 수목정보, 토양정보, 수목건강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양동마을 내 수목정보는 향나무, 왕버들, 능수버들, 팽나무, 느티나무, 주엽나무, 조각자나무로 총 7종 30주이며, 수고는 4.0~17.0m, 흉고직경은 0.51~1.34m로 17번 향나무가 가장 넓었다. 토양분석 결과로는 산도 pH4.1~6.3, 경도 5~48mm, 유기물함량 21.2~29.1g/kg, 전기전도도 0.34~1.76dS/m, 유효인산 79.8~451.6mg/kg, 치환성 칼륨 0.22~1.71cmol+/kg, 치환성 칼슘 4.98~7.44cmol+/kg, 치환성 마그네슘 0.67~2.19cmol+/kg, 치환성 나트륨 0.19~1.04cm ol+/kg, 양이온치환용량 7.23~13.02cmol+/kg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수목건강도의 건강수치 중 가장 높은 노거수는 팽나무 11주 중 8주, 느티나무 7주 중 2주, 조각자나무 3주로 전체 30주 중 13주이며, 감염과 부패 및 공동수치가 높은 노거수는 건강수치를 제외한 나머지 수목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대상 노거수의 절반이상이 감염·부패 및 공동부위로 차지하고 있는 실태로, 손상이 부위는 외과수술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감염부위가 건강부위로 전이가 되는 2·3차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수세회복을 위한 뿌리영양공급 및 체내 양분조절을 통해 보존보호조치가 시행되어야 하며, 지속적인 수목 모니터링을 노거수 입지환경개선 및 관리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