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gB_6$

검색결과 2,901건 처리시간 0.034초

Estimation of Vitamin B6 Intake and Major Dietary Sources of Vitamin B6 in Elderly Koreans in the Seoul Area

  • Cho, Youn-Ok;Yun, Mie-Ky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9권1호
    • /
    • pp.85-91
    • /
    • 2004
  • Dietary intakes and sources of vitamin B$_{6}$ in 72 healthy Korean elderly subjects (29 men,43 women, $\geq$57 years of age) living in the Seoul area were estimated using a modified Korean vitamin B$_{6}$ database. The dietary vitamin B$_{6}$ intake and food sources were estimated by the three day recall method with the help of a trained interviewer. Food portion sizes were estimated using standard household measures and published average portion sizes. The average daily vitamin B$_{6}$ intake was 2.06$\pm$0.46 mg/d in elderly men, and 1.94$\pm$ 0.47 mg/d in elderly women. Less than 5% of elderly men and 15% of elderly women consumed less than the Korean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RDA) of vitamin B$_{6}$. The average ratios of vitamin Be intake to daily protein intake were 0.03 $\pm$ 0.01 mg/g in both elderly men and women. The intake of vitamin B$_{6}$ was significantly (p <0.01 ∼ p<0.001) and positively correlated to intakes of all other nutrients in elderly women, but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to intakes of several nutrients in elderly men. Foods from animal and plant sources provided 24% and 76%, respectively, of the total vitamin B$_{6}$. Major dietary sources of vitamin B$_{6}$ in Korean elderly were rice, soybean sprout, kimchi, pork, beef, potatoes, garlic, onion, anchovy and kochujang. The major sources accounted for most of the vitamin B$_{6}$ intake with the top 20 foods providing nearly 75∼76% of the total vitamin B$_{6}$ in Korean elderly./ in Korean elderly.

포도종실 에탄올 추출물의 순차 용매 분획에 따른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Grape Seed Ethanol Extract According to Serial Solvent Fractionation)

  • 정하열;윤수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092-1096
    • /
    • 2002
  • 포도종실 에탄올 추출물의 순차 용매 분획물 중에서 에틸아세테이트와 부탄을 분획물의 총 카테킨 함량은 각각 35.7 mg/g, 20.2 mg/g이었으나 두 용매 분획물을 첨가한 시료의 POV 증가 경향은 유사하여 카테킨의 함량에 따른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두 용매 분획물에 함유된 프로안토시아니딘을 이루고 있는 카테킨의 중합도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각 용매 분획물을 Cl8 카트리지로 소분획하여 카테킨의 단량체-이량체 분획 (FI)과 올리고량체 분획(FII) 및 다량체 분획 (FIII) 등의 세가지 그룹으로 분리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는 E-FI(26.0 mg/g) > F-FII(18.6 mg/g) > E-FIII(13.7 mgtg)의 순서로 카테킨 할량이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각각을 1,000 ppm 농도로 첨가한 시료의 POV 증가 경향은 유사하였다. 또한 부탄을 분획 물에서도 B-FI(33.3 mg/g) > B-FI(30.8 mg/g) > B-FIII(22.7 mg/g)의 순서로 카테킨 함량이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항산화 효과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일반적으로 카테킨의 항산화력은 첨 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각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에서 차이가 없었던 것은 포도종실 에탄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총 카테킨의 함량 뿐만 아니라 프로안토시아니딘을 이루고 있는 카테킨의 중합도에 따른 영향을 받고 있으므로 천연 항산화제로서 제조되는 포도종실 추출물의 품질 관리에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기계적 합금화 및 in-situ와 ex-situ의 혼합공정을 통한 C 도핑된 ex-situ $MgB_2$ 선재 제조 (Mechanical Alloying and Combined Process of in-situ and ex-situ to Fabricate the ex-situ C-doped $MgB_2$ Wire)

  • 황수민;이창민;임준형;최준혁;박진현;주진호;전병혁;김찬중
    • Progress in Superconductivity
    • /
    • 제10권2호
    • /
    • pp.79-86
    • /
    • 2009
  • We successfully fabricated C-doped ex-situ $MgB_2$ wires using two different methods such as mechanical alloying(MA) and combined process(CP) of in-situ and ex-situ. In the MA, the precursor powder was prepared with a mixture of $MgB_2$ and 1 at% C powders by planetary ball milling for 0-100 h. In the CP, on the other hand, C-doped $MgB_2$ powder was prepared with Mg, B, and C powders by in-situ process via compaction, sintering, and crushing. The powders prepared by two methods were loaded into Fe tube and then the assemblages were drawn by a conventional powder-in-tube technique. The MA treatment of C-added $MgB_2$ decreased the particles/grains size and resulted in C-doping into $MgB_2$ after sintering, improving the critical current density($J_c$) in high external magnetic field. For the C-doped $MgB_2$ wire by MA for 25 h, the $J_c$ was $4.1{\times}10^3A/cm^2$ at 5 K and 6.4 T, which was 5.9 times higher than that of pure and untreated $MgB_2$ wire. The CP also provided C-doping into $MgB_2$ and improved the $J_c$ in high magnetic field; the C-doped $MgB_2$ wire fabricated by CP exhibited a $J_c$ being 2.3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ex-situ wire used commercial $MgB_2$ powder at 5 K and 6.0 T($2.7{\times}10^3A/cm^2\;vs.\;1.2{\times}10^3A/cm^2$).

  • PDF

더덕 물 추출물의 경구 투여가 마우스 면역 세포 활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lant Water Extract Codonopsis Lanceolatae on Mouse Immune Cell Activation Ex Vivo)

  • 류혜숙;김경옥;김현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3호
    • /
    • pp.207-212
    • /
    • 2009
  • 생체 내 (ex vivo) 실험에서 더덕의 물 추출물을 4주간 격일로 마우스 체중 kg 당 0, 50, 500 mg/kg B.W.의 농도로 마우스에 경구 투여한 후 비장세포 증식능, LPS에 의해 활성화된 복강 대식세포가 분비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 ${\beta}$, IL-6, TNF-${\alpha}$) 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더덕 물 추출물은 ConA나 LPS로 자극하지 않은 경우 500mg/kg B.W.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비장 증식능을 보였다. LPS에 의해 활성화된 복강 대식세포의 사이토카인 분비량을 측정한 결과에서도 IL-1 ${\beta}$, TNF-${\alpha}$의 분비량은 마우스 체중 kg 당 500 mg/kg B.W. 농도의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생성량을 보여주었으며, 50 mg/kg B.W.의 농도 투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IL-6의 경우 50 mg/kg B.W.과 500 mg/kg B.W. 두 농도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분비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 따르면 더덕 추출물의 비장세포 증식능과 사이토카인 분비 효과는 500 mg/kg B.W. 농도 투여시 가장 효과적으로 면역 세포와 면역 기관의 주요기능을 증진시킬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더덕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개발에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된다.

Quality comparison of non-thermal sterilized raw apple vinegar and commercial apple vinegar products

  • Sun Hwa Kim;Ji-Hyung Seo;Yong-Jin Jeong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35-244
    • /
    • 2024
  • A nonthermally sterilized raw apple vinegar was manufactured using an ultra-fine filtration process (0.2 ㎛ membrane filter) and its quality was comparable to commercially available vinegar products. First, using apple concentrate as a raw material, it was possible to produce non-thermal sterilized Using a two-stage fermentation process of alcohol and acetic acid fermentations, a non-thermally sterilized raw apple vinegar with pH 2.94 and an acidity of 6.20% was produced from an apple concentrate. The fermentation process increased the browning index significantly. However, the fundamental quality parameters of the non-thermal sterilized raw apple vinegar (A) with sterilized apple vinegar (B)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The pH (2.92-2.95) of apple vinegar (A and B) was higher than that (pH 2.65-2.70) of commercial vinegar (C and D), and the total acidity, which is in the range of 6.20-6.21% and 6.53-6.90%, respectively, was higher in samples C and D than in samples A and B. However, four kinds of organic acids were detected in non-thermal sterilized raw apple vinegar (A), and its total organic acid content (6,245.00 m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other samples (B, C, D) (p<0.05). In particular, malic acid content, as a main organic acid in apples, was very high in sample (A) (244.83 mg%) and sample (B) (210.21 mg%), compared to commercial products C (125.78 mg%) and D (86.90 mg%).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ermented apple vinegar (A, B) were more than twice as high as those of commercial products (C, D). Vinegar A had higher total polyphenol content than vinegar B. The above results suggest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nd commercialize non-thermal sterilized raw apple vinegar with higher organic acid content and antioxidant properties using ultra-fine filtration.

Hordeum spontaneum에서의 callus 유기와 식물체 양생 (Callus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in Hordeum spontaneum)

  • 최종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66-470
    • /
    • 1987
  • Hordeora spontaneum의 7계통의 trisomic 식물체에서 미숙배를 채취하여 2.4-D 1mg/$\ell$와 2mg/$\ell$가 첨가된 B5배지와 CI 배지에 치상하여 callus 형성을 유도했다. Callus 유기는 2.4-D 1mg/$\ell$ 첨가구에서는 B5배지보다 CI배지에서 양호하였으나, 2mg/$\ell$첨가구에서는 B5배지와 CI배지간에 차이가 없었다. 또 trisomic type에 따른 callus유기율에서도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으며, 평균 Callus 유기율은 83 %였다. 식물체재생에서는 kinetin 1mg/$\ell$첨가구가 무첨가구보다 양호하고, 무첨가구에서는 B5배지보다 SI 배지가 좋은 경향을 나타냈으나 다같이 유의차는 없었다. 합계 46개체가 재생되었으며 그후 17개체가 엽녹소 결핍개체였고 재생율은 7.6%였다.

  • PDF

열처리조건 변화에 따른 in-situ $MgB_2$ 초전도 특성 비교 (Comparison of in-situ $MgB_2$ Superconducting Properties Under Different Annealing Environment)

  • 정국채;;장세훈;김정호
    • Progress in Superconductivity
    • /
    • 제14권2호
    • /
    • pp.116-121
    • /
    • 2012
  • Effect of mixed gas and additional Mg powder in an annealing process of the $MgB_2$ is investigated. Four different type of samples were prepared, each in different annealing environment of Ar, $Ar+4%H_2$, Ar with Mg powder and $Ar+4%H_2$ with Mg powder. Different annealing environment did not affect the electron-phonon interaction which is reflected from the same superconducting transition of 36.6 K for all samples. The reducing effect of hydrogen is clearly depicted from the presence of excess Mg in sample synthesized in $Ar+4%H_2$ gas implying the reduced rate of reaction between Mg and B. This has manifested itself in terms of slightly increased high-field critical current density of the sample. In contrast, the sample synthesized in $Ar+4%H_2$ with Mg powder, has shown overall enhancement in the superconducting properties as presented by higher diamagnetic saturation and critical current density.

용도가 다른 보리와 밀 3품종의 영양성분 (The Chemical Composition of Barley and Wheat Varieties)

  • 최정숙;연지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23-229
    • /
    • 2005
  • 보리와 밀의 품종에 따른 영양성분을 규명하기 위하여 보리 3품종(진미찹쌀보리, 서둔찰보리, 두산8호)과 밀 3품종(알찬밀, 탄동밀, 올그루밀)의 영양소 함량을 분석하였다. 보리의 경우 품종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인 성분은 단백질과 지방(각각 p<0.001), 섬유소(p<0.05)였으며, 단백질은 진미찹쌀보리가 다른 두 품종에 비해 낮았고, 지방함량은 서둔찰보리가 유의적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 진미찹쌀보리, 두산8호 순으로 나타났다. 밀은 지방(p<0.001) 함량이 차이를 보였는데, 탑동밀이 1.27 %으로 다른 두 품종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무기질 함량은 보리와 밀의 모든 품종에서 칼륨>인>마그네슘>칼슘>나트륨>철>아연 순으로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리의 경우 칼슘 함량은 진미찹쌀보리가 31 mg%로 다른 두 품종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고(P<0.001), 아연 함량은 두산8호가 1.4 mg%로 가장 높았으며 철 함량은 진미찹쌀보리와 서둔찰보리에서 모두2.9 mg%으로 두산8호에 비해 많았다. 밀의 칼슘 함량은 알찬밀과 올그루밀에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인은 을그루밀이 270 mg%로 가장 많았다. 철은 탑동밀에서 5.6 mg%으로 마그네슘은 올그루밀에서 127 mg%로 다른 두 품종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인 무기질은 칼슘(p<0.001), 인(p<0.001), 철(p<0.01)과 마그네슘(p<0.01)이었다. 보리의 비타민 B$_1$ 함량은 진미찹쌀보리와 서둔찰보리에, 비타민 B$_2$는 서둔찰보리에 유의적으로 많이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0.01) niacin 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밀의 비타민 B$_1$ 함량은 알찬밀이, 비타민 B$_2$는 올그루밀이 가장 많았다. Niacin함량은 탑동밀이 2.81 m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다음으로 알찬밀, 올그루밀 순이었다. 지방산 조성은 보리와 밀에서 Cl8:2>Cl6:0>Cl8:1 순으로 보리는 전체의 90%, 밀은 92%를 차지하였다. 단일 불포화지방산은 보리가 11∼13%, 밀이 21∼27%이며, 다중불포화지방산은 보리가 57∼59%, 밀은 36∼50%로 보리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PUFA/SFA 비율은 보리의 경우 2.1로 품종별로 지방산 조성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 밀은 1.0∼1.9 범위로 품종별로 지방산 조성에 차이를 나타내었다. 보리와 밀의 아미노산 함량은 glutamic acid를 가장 많이 함유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보리 품종별 필수아미노산 함량을 살펴보면 Lysine, valine, tryptophan 함량은 두산8호에서, phenylalanine 함량은 서둔찰보리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밀 품종별 Iysine, isoleucine 함량은 탑동밀에서 다소 낮았다.

MgO(100) 기판 위에 증착된 Ag/CoFeB 박막의 스퍼터링 조건에 따른 미세성장구조 변화 연구 (Effects of Sputtering Conditions on the Growth of Ag/CoFeB Layer on MgO(100) Substrate)

  • 전보건;정종율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214-21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DC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을 이용해 MgO 단결정 기판 위에 성장된 Ag/CoFeB 박막의 스퍼터링 조건에 따른 박막 미세구조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Ag 박막의 결정성 및 표면 거칠기는 인가전력(sputtering power) 및 증착온도의 변화에 따라 증착온도가 증가하는 경우 (200) 방향의 결정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인가전력이 증가되는 경우 표면 거칠기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분해능 TEM(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및 XRR(X-ray reflectivity) 측정을 통해 MgO 기판 위 Ag층의 켜쌓기 성장 및 MgO 기판과 Ag층 사이에 산화층에 해당하는 계면층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증착온도의 증가에 따른 Ag의 섬상구조 형성 및 intermixing 효과에 의한 Ag/CoFeB 계면층의 변화 및 자기적 특성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순물을 이용한 꽃송이 버섯 균사체 배양액의 항균활성 평가 (Antimicrobial Effect of the Submerged Culture of Sparassis crispa in Soybean Curd Whey)

  • 이은지;김지은;박민주;박동철;이삼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1-120
    • /
    • 2013
  • 꽃송이 버섯 균사체 배양의 최적 조건을 확립하여 얻어진 꽃송이 버섯 균사체 배양액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색하였다. 순물에 glucose 2%를 첨가하여 10일 배양한 꽃송이 버섯 배양액은 pH 6.91, 균사체 함량은 17.76 g/L로 나타났으나, 제한 배지에서 10일 배양 후 분석한 결과, pH 3.26, 균사체 함량은 3.45 g/L로 측정되었다. 또한 순물을 이용한 버섯 배양액의 수용성 단백질 함량은 511.85 mg%, 타이로신 59.6 mg%, 환원당 188.44 mg%이며, 베타글루칸 함량은 10.64%로 나타났다. 순물을 이용한 꽃송이 버섯 배양액의 항균활성 평가를 위해 8 종의 유해세균에 대한 꽃송이 버섯 균사체 배양액을 disk diffusion method로 항균효과를 검색하였다. B. cereus, St. aureus, L. monocytogenes, S. typhimurium 균주는 0.13 mg/disc에서 6.28 mg/disc의 범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나타났다. 배양액을 $85^{\circ}C$에서 15분, $100^{\circ}C$에서 5분간 열처리 후에도 항균 활성에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한외여과법을 이용하여 3 kDa 이하의 저분자 물질의 항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B. cereus는 34.3 mm, St. aureus는 29.3 mm, L monocytogenes는 23.7 mm, S. typhimurium는 16.7 mm로 생육 억제 환을 보였다. 미세희석법을 이용한 꽃송이 버섯의 항균물질의 최소저해농도(MIC)는 B. cereus 2.6 mg/mL, St. aureus, L. monocytogenes 12.6 mg/mL, S. typhimurium 62.8 mg/mL인 것으로 나타났다. 꽃송이 버섯 배양액의 항균물질은 열과 단백질 분해효소 처리에 안정한 저분자 물질인 것으로 나타나 천연 항균 소재로서 산업적 활용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