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_cat$$K_m$

검색결과 396건 처리시간 0.031초

미꾸라지(Misgurnus mizolepis)에서 pFV4CAT 의 조직 특이적 발현 (Nam and Kim #1 Tissue-specific expression of pFV4CAT in transgenic mud loach (Misgurnus mizolepis) germ line)

  • 남윤권;김동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91-98
    • /
    • 1997
  • 외래유전자, pFV4CAT이 이식된 transgenic 미꾸라지 계통 F1 및 F2를 대상으로 조직별 외래 유전자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Transgenic F1에서 pFV4CAT의 mRNA 합성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정소(testis), 간(liver), 근육(muscle), 비장(spleen) 및 심장(heart) 조직을 RT-PCR로 분석한 결과, 조직별 mRNA 존재 여부는 F1 계통간 큰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다른 조직들에 비해 간(liver)과 비장(spleen)에서 보다 빈번히 발현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외래 유전자에 의해 합성된 CAT 단백질을 ELISA로 정량화한 결과, 조직별 및 transgenic 계통별 다양한 차이가 있었으며, 다른 조직에 비해 근육과 심장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발현하는 것으로 나타나 F1 한 계통의 근육에서, 대조군 수치의 최고 68배에 해당하는 CAT 발현이 관찰되였다. 반면 정소에서 가장 낮은 외래 유전자의 발현이 모든 transgenic line에서 관찰되었다.

  • PDF

Pulmonic stenosis with atrial septal defect in a Siamese cat

  • Kim, Ji-Youn;Lee, Sung-Wook;Lee, Seung-Gon;Suh, Sang-Il;Hyun, Changbaig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63-66
    • /
    • 2017
  • A 6-month-old mature intact female Siamese cat presented with exertional dyspnea. Diagnostic studies revealed pleural effusion, grade 4/6 left basal systolic murmur, deep S-wave in electrocardiograph leads I, II, and III, cardiomegaly with pleural effusion on radiography, pulmonic systolic (~5.8 m/sec) and tricuspid (3.6 m/sec) regurgitant jets, atrial septal defect, and a hypoplastic right outflow tract. Based on these results, the case was diagnosed as pulmonic stenosis with atrial septal defect.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case report describing pulmonic stenosis with atrial septal defect in a cat in Korea.

Glucose Oxidase와 Catalase의 동시 고정화 제품과 성질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Coimmobilized Glucose Oxidase-Catalase)

  • 이석희;엄태붕;조숙자;변시명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7권3호
    • /
    • pp.180-186
    • /
    • 1984
  • 비교적 높은 역가의 glucose oxidase(GOD)와 catalase(CAT)를 세포의 효소로 생산하는 균주인 Penicillium spp., PS-8을 선별배지를 사용하여 액체 배양하였으며, 그 결과 배양액 1ml당 2.7units의 glucose oxidase와 2.0units의 catalase를 얻었다. Glucose oxidase와 catalase를 분리하기 위하여 $60{\sim}90%\;(NH_4)_2SO_4$ 분별침전을 행한후 DEAE-cellulose column을 사용하여 두 효소를 완전히 분리하였으며, 이들 효소의 회수율은 54%와 34%이었다. 분리된 glucose oxidase와 catalase는 PS-8 균주를 효소 고정 매개체로 하여 2.5% glutaraldehyde를 가교제로 12시간 동안 처리함으로써 효소를 고정시켰다. 이들 고정화 효소는 CAT/GOD 값이 서로 다르게 동시 고정, 고정후 혼합, glucose oxidase만의 고정 등의 형태로 만들었다. pH에 따른 효소의 활성변화에서는 동시고정 및 고정후 혼합 방법이 수용성 효소보다 안정화됨을 보여 주었으며, 동시 고정에서는 CAT/GOD값이 높을수록 보다 완만한 pH 활성곡선을 나타내었다. GOD와 CAT/GOD=10의 Km' 값은 각각 $7.1{\times}10^{-2}$$5.1{\times}10^{-2}M$이었으며, 이들의 활성화 에너지값은 각각 3.97 및 2.98 kcal/mole/deg이었다.

  • PDF

Paraquat 스트레스를 받는 무 (Raphanus sativus L) 유식물에서 H2O2 분해 효소에 대한 폴리아민의 효과 (Effects of polyamines on hydrogen peroxide-scavenging enzymes in radish seedling plants under paraquat stress)

  • 진창덕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6권2호
    • /
    • pp.149-156
    • /
    • 2009
  • Application of exogenous polyamines (PAs) reduced the paraquat (PQ)-induced cotyledon injuries in radish seedling plants with 1 mM spermidine (Spd) being the most effective protectant. PQ injury symptoms in the cotyledons, e.g., large accumulation of $H_2O_2$, and losses of fresh weight, chlorophyll, and proteins, were significantly alleviated. Likewise, analysis of $H_2O_2$-scavenging enzymes such as catalase (CAT) and guaiacol peroxidase (GPX) showed that pretreatment with Spd among PAs remarkably increased total CAT activity and strongly retarded PQ-induced rapid decline in total GPX activity. In a native gel assay, one CAT isozyme (CAT1) and two GPX isozymes (GPX1 and a newly synthesized GPX isozyme) proved to be more responsible for PQ tolerance, as manifested by the strong increases in their activities by Spd pretreatment. Based on these results, we can suggest that PAs (especially 1 mM Spd) may function as antioxidant protectors by invoking CAT and GPX enzymes which control the endogenous $H_2O_2$ level in radish cotyledons exposed to PQ.

EtherCAT 기반의 확장성이 뛰어난 슬레이브 모듈 개발 (Implementation of extensive slave module base on EtherCAT)

  • 김상민;여창섭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04-105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갈수록 고성능, 고속화 제어 시스템이 증가하는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실시간성에 대응하기 위한 EtherCAT 기반의 확장성이 용이한 고성능 Remote I/O 모듈을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개발 제품을 통해 장비들과의 실시간 통신을 통한 스마트 제조 공장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으며, 기존 외산 제품을 대체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더 모듈형태의 제품으로 사용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상황을 대응 가능하게 개발되었다.

cAMP 길항제와 PKA 억제제 및 Adenylate Cyclase 촉진제의 백서 파골세포에서 Cathepsin K 생성에 대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Camp Antagonist and Pka Inhibitors, and Stimulatory Effect of Adenylate Cyclase Agonist on Cathepsin K Processing in Cultured Mouse Osteoclasts)

  • 심연수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9
    • /
    • 2006
  • 기계적 자극에 의한 골조직의 개조에서 압박측은 일차적으로 파골세포에 의하여 골기질의 흡수를 위한 유전자 발현에 의하여 기시된다. 그러나 기질을 이루는 유기 단백질의 흡수에 관여하는 단백용해효소의 세포 내 작용 기전은 여전히 완전히 이해되지 않고 있다. 이 연구는 파골세포에서 용해용소체효소인 cathepsin k에 주목하여, cAMP 길항제와 PKA 억제제 및 adenylate cyclase 촉진제에 의한 cathepsin k 생성의 촉진 또는 억제 효과의 기전을 해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cAMP 길항제인 Rp-cAMP와 PKA 억제제인 KT5720과 H89는 cathepsin K의 세포 내성숙을 차단하였으며, 대조적으로 adenylate cyclase 촉진제 forskolin은 파골세포에서의 cathepsin K의 생성과 성숙을 유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cathepsin K의 생성과 성숙에 관여하는 신호전달이 protein kinase C(PKC)와 관련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백서의 골세포를 PKC의 선택적 억제제인 calphostin C로 처리하였을 때 아무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calphostin C는 파골 세포에 의해 매개된 cathepsin K의 생성과 성숙과는 무관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파골세포에서의 cathepsin K의 성숙은 cAmp-PKA 신호전달 경로에 의해 조절됨을 의미한다. 분비된 전구효소는 M6P 수용체를 통하여 세포 내로 다시 진입할 수 있는 잠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하여 M6P가 존재 또는 결여된 상태에서 cAMP 길항제인 Rp-cAMP와 PKA 억제제인 KT5720 및 H89를 시험하였다. 그 결과 Rp-cAMP, KT5720 또는 H89에 의한 cathepsin K의 M6P용량 비례적 생성 억제가 관찰 되었다. 또한 M6P를 주었을 때 Rp-cAMP, KT5720와 H89의 작용이 증가된을 보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Rp-cAMP, KT5720와 H89의 cathepsin K 생성 방해를 통한 골흡수 억제는 골다공증 또는 관절염의 치료와 같은 골흡수의 억제를 필요로 하는 분야에서의 임상적응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 PDF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Pharmcogenetic Variants of Human Cytochrome P450 2C9 in Korean Populations

  • Cho, Myung-A;Yoon, Jihoon G.;Kim, Vitchan;Kim, Harim;Lee, Rowoon;Lee, Min Goo;Kim, Donghak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7권6호
    • /
    • pp.577-583
    • /
    • 2019
  • Human cytochrome P450 2C9 is a highly polymorphic enzyme that is required for drug and xenobiotic metabolism. Here, we studied eleven P450 2C9 genetic variants-including three novel variants F69S, L310V, and Q324X-that were clinically identified in Korean patients. P450 2C9 variant enzymes were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and their bicistronic membrane fractions were prepared The CO-binding spectra were obtained for nine enzyme variants, indicating P450 holoenzymes, but not for the M02 (L90P) variant. The M11 (Q324X) variant could not be expressed due to an early nonsense mutation. LC-MS/MS analysis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catalytic activities of the P450 2C9 variants, using diclofenac as a substrate. Steady-state kinetic analysis revealed that the catalytic efficiency of all nine P450 2C9 variants was lower than that of the wild type P450 2C9 enzyme. The M05 (R150L) and M06 (P279T) variants showed high $k_{cat}$ values; however, their $K_m$ values were also high. As the M01 (F69S), M03 (R124Q), M04 (R125H), M08 (I359L), M09 (I359T), and M10 (A477T) variants exhibited higher $K_m$ and lower $k_{cat}$ values than that of the wild type enzyme, their catalytic efficiency decreased by approximately 50-fold compared to the wild type enzyme. Furthermore, the novel variant M07 (L310V) showed lower $k_{cat}$ and $K_m$ values than the wild type enzyme, which resulted in its decreased (80%) catalytic efficiency. The X-ray crystal structure of P450 2C9 revealed the presence of mutations in the residues surrounding the substrate-binding cavity.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these genetic variants can help understand the pharmacogenetic outcomes.

Monosodium Glutamate가 고양이 고색신경의 미각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nosodium Glutamate on the Taste Response of Chorda Tympani Nerve of Cat)

  • 홍혜경;이현덕;이철호;홍승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7-43
    • /
    • 1991
  • 고양이의 고색신경(chorda tympani nerve)을 통한 미각신형 impulse 발사시험을 실시하여 MSG의 미각신경 반응특징을 기본맛의 그것과 비교하였으며 MSG 용액의 첨가가 기본맛 성분의 미각반응 impulse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고양이의 혀에 자극된 맛성분의 종류와 농도에 따라 고색신경을 통한 신경 impulse 발사빈도수는 다르게 나타났다. 구연산에 대한 반응 impulse가 가장 높은 빈도수를 나타내었고 NaCl, KCl, MSG가 비슷한 수준이었고 sucrose는 다른 맛성분에 비하여 그 반응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여러 가지 다른 농도의 MSG 용액으로 미리 자극된 맛성분을 투하할 경우 식염의 짠맛에 대한 반응은 MSG 농도 0.02 M에서 크게 증가되나 0.08 M에서 증가폭이 다소 낮아졌다. 설탕의 경우, MSG에 의하여 반응 impulse가 약화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구연산의 경우에는 MSG에 의하여 반응 impulse 빈도수가 뚜렸이 감소하였다.

  • PDF

Electrically Stimulated Relaxation is not Mediated by GABA in Cat Lower Esophageal Sphincter Muscle

  • Park Sun-Young;Shin Chang-Yell;Song Hyun-Ju;Min Young-Sil;La Hyen-O;Lee Jun-Woo;Kim Do-Young;Je Hyun-Dong;Sohn Uy-Don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9권5호
    • /
    • pp.400-404
    • /
    • 2006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Gamma-Amino butyric acid (GABA) and selective GABA receptor related drugs on the electrically stimulated relaxation in the lower esophageal sphincter muscle (LES) of a cat. Tetrodotoxin $(10^{-6}\;M)$ suppressed the electrically stimulated (0.5-5 Hz) relaxation of the LES. However, guanethidine $(10^{-6}\;M)$ and atropine $(10^{-6}\;M)$ had no effect indicating that the relaxations were neurally mediated via the nonadrenergic and noncholinergic (NANC) pathways. NG-nitro-L-arginine methyl ester ($10^{-4}M$, L-NAME) also inhibited the relaxant response but did not completely abolish the electrically stimulated relaxation with 60% inhibition, which suggests the involvement of nitric oxide as an inhibitory transmitter. This study examined the role of GABA, an inhibitory neurotransmitter, on neurally mediated LES relaxation. GABA ($10^{-3}-10^{-5}M$, non selective receptor agonist), muscimol ($10^{-3}-10^{-5}M$, GABA-A agonist), and baclofen ($10^{-3}-10^{-5}M$, GABA-B agonis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electrically stimulated relaxation. Moreover, bicuculline ($10^{-5}M$, GABA-A antagonist) and phaclofen ($10^{-5}M$, GABA-B antagonist) had no inhibitory effect on the electrically stimulated relaxation. This suggests that GABA and the GABA receptor are not involved in the electrically stimulated NANC relaxation in the cat 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