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_9$-alcohol

검색결과 453건 처리시간 0.021초

Chitin 유도체가 타피오카의 무증자 알콜발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itin Derivatives on Non-steamed Alcohol Fermentation of Tapioca)

  • 정용진;노홍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92-96
    • /
    • 2004
  • Chitin 및 그 유도체(chitosan, glucosamine)의 YPD 배지에서 알콜발효력을 비교한 결과, 대조구에 비하여 모든 첨가구간에서 알콜수율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chitin 첨가구간에서 가장 높았다. 타피오카의 알콜발효에 미치는 영향은 chitin 함량 0.9%, 발효 120시간째에 알콜함량 13.6%로 가장 높게 증가되었다 Chitin 첨가는 알콜수율을 증가시키며 acetaldehyde와 methanol 함량 감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 타피오카의 무증자 알콜발효에 chitin의 이용이 상당히 기대된다.

국내산 수박(Citrullus vulgaris S.) 과 참외(Cucumis melo L.) 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Watermelon(Citrullus vulgaris S.) and Oriental Melon(Cucumis melo L.))

  • 김경수;이해정;김선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22-328
    • /
    • 1999
  • 동시증류추출장치를 사용하여 획득한 수박(Citrullus vulgaris S.)과 참외(Cucumis melo L.)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질량분석법으로 동정하였다. 수박에서 분리동정된 37종의 화합물로는 16종의 alcohol 류, 15종의 aldehyde 류, 2종의 ester류, 2종의 ketone 류와 기타 2종의 화합물이 확인되었다. 전체 상대적 농도의 68.66%를 차지한 alcohol 류가 수박의 주요 향기성분이었으며, 불포화 $C_{9}$ 화합물인 (Z)-3-nonen-1-ol, (Z,Z)-nonadien-1-ol, (E,Z)-2,6-nonadienal, (E)-2-nonenal이 특징적 향기성분으로 나타났다. 참외에서 분리동정된 55종의 화합물로는 26종의 ester 류, 16종의 alcohol 류, 10종의 aldehyde 류와 기타 3종의 화합물이 확인되었으며, 전체 상대적 농도의 63.8%를 차지한 ester류가 참외의 주요 향기 성분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Z)-3-nonenyl acetate, (Z)-6-nonenyl acetate와 (Z,Z)-3,6-nonadienyl acetate, $C_{9}$-불포화 ester 류가 중요한 향기성분이었으며, 황함유 ester 류인 ethyl (methylthio)acetate, ethyl 3-(methylthio) propanoate 또한 참외의 향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화합물이었다.

  • PDF

등줄숭어의 알, 근육 및 내장의 지질조성에 관한 연구 (Lipid Composition of Roe, Muscle and Viscus of Liza Carinata, a Species of the Mugilidae Family)

  • 조용계;이경희;조연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74-682
    • /
    • 1988
  • 등줄숭어의 알, 근육 및 내장 지질의 지질 조성과 각 지질 분획의 알콜 및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였다. 지질 함량은 알에 18.5%로 제일 많았고, 내장에는 8.5%, 근육에는 4.4%로 제일 적었다. 알의 지질 조성은 매우 특이하여 왁스 에스텔이 63.1%로 제일 많았으나, 트리글리세리드는 9.9%에 지나지 않았다. 이에 반하여 근육 지질의 경우는 트리글리세리드가 66.1%로 제일 많이 검출되었으나, 왁스 에스텔은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내장 지질에도 왁스 에스텔이 32.8%나 검출되었다. 알콜 조성을 보면 세칠알콜(C16 : 0)이 알과 내장 왁스 에스텔의 중요한 성분으로 각각 53.0%, 61.7%였으며, 그 다음으로 주요한 알콜은 알의 경우는 올레알콜(C18 : 1), 팔미토올레알콜(C16 : 1) 및 스테아르알콜(C18 : 0)이, 내장의 경우는 펜타데카놀(C15 : 0), 스테아르알콜 이였다. 또 두 왁스 에스텔에는 C15 : 0, C15 : 1, C17 : 0, C17 : 1, C19 : 0 및 C19 : 1과 같은 기수 알콜도 상당량 함유되어 있었다. 알과 내장의 왁스 에스텔의 지방산 조성은 팔미토올레산, 올레산 및 ???l타데카모노엔산과 같은 모노엔산이(49.7-56.6%)로 제일 많았으며 아이코 사펜타엔산도 상당히 함유(12.2%, 10.1%)되어 있었다. 또 알의 트리글리세리드의 지방산 조성을 보면 고도 불포화지방산 함량(28.4%)은 근육, 내장의 그것보다(19.4%, 19.2%)보다 훨씬 높았으나, 스테아르산, 팔미트산과 같은 포화지방산 함량은 근육, 내장의 그것보다 약간 낮았다. 알의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근육의 그것과 비슷하여 고도 불포화지방산이 약 50%로 내장의 34.2% 보다 훨씬 높았다. 근육에 있어서 유리지방산 조성이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과 흡사한 것으로 보아, 이 유리지방산은 인지질의 가수분해물로 생각된다.. 젓갈의 pH도 숙성기간중 서서히 증가되었다.13{\sim}126Kcal/mol$로 감소하였으며, 동결속도 $-0.5^{\circ}C/min$하에서 동결에 필요한 최소 활성화에너지는 126Kcal/mol, 최대 활성화에너지는 270Kca1/mo1 이었다.$C_{22:6}$ 등이었다. 제품저장중 품질안정성에 대해 검토한 결과 진공포장함으로서 저장중 지질산패, 갈변 등 품질저하를 억제시킬 수 있었다.>가 20mM, $Na_2SO_3{\cdot}7H_2O$가 15mM 그리고 $NaHSO_3$가 25mM로 나타났다., 수원(水原)19호(號)와 제천옥(堤川玉)에서는 linoleic acid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8) 당지질(糖脂質)의 구성지질성분(構成脂質成分)은 MGS, MGC 그리고 MGDG를 함유(含有)하며, MGS와 MGC는 진주옥(晋州玉)에서 가장 높은 반면에, 횡성옥(橫城玉)과 제천옥(堤川玉)에서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9) 총지질(脂質)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은 oleic, palmitic, linoleic그리고 heptadecanoic acid가 주성분(主成分)을이루고, 진주옥(晋州玉)에서 oleic acid가 가장 높은 반면에 heptadecanoic acid는 가장 낮게 나타났고, 제천옥(堤川玉)에서는 이와 반대(反對) 경향(傾向)을 보였다. 10) 순지질(燐脂質)의 구성지질성분(構成脂質成分)은 PI 및 PC를 함유(舍有)하며, 횡성옥(橫城玉)과 황옥(黃玉) 3호(號)에서 PI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11) 순지질(燐脂質)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은 palmitic, heptadecanoic 그리고 oleic acid가 주성분(主成分)을 이루고, 횡성옥(橫城玉)에서 oleic acid가 가장 높은 반면에, heptadecanoic acid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I.

  • PDF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감잎과 엉겅퀴로부터 항산화성분의 추출공정 최적화 (Optimization of Extraction Process for Antioxidant from Persimmon Leaf and Thistle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이승범;장현식;홍인권
    • 공업화학
    • /
    • 제28권4호
    • /
    • pp.442-44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고, 이를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추출공정을 최적화하였다. 또한 감잎과 엉겅퀴로부터 추출된 유효성분의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함으로써 유효성분의 기능성을 평가하였다. 추출공정의 독립변수로는 추출시간, 추출온도, 용매의 비율을 설정하였고, 반응치는 수율,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확인하였다. 감잎의 경우 추출시간(3.1 h), 주정/초순수 부피비(63.4 vol%), 추출온도($54.6^{\circ}C$)에서 수율(27.7%), 폴리페놀 함량(33.2 mg GAE/g), 플라보노이드 함량(47.8 mg QE/mg dw)의 최적 결과를 얻었으며, 엉겅퀴의 경우에는 추출시간(2.9 h), 주정/초순수 부피비(40.7 vol%), 추출온도($68.4^{\circ}C$)에서 수율(27.0%), 폴리페놀 함량(17.9 mg GAE/g), 플라보노이드 함량(28.8 mg QE/mg dw)으로 예측되었으며, 종합만족도는 71.7%이다.

Overexpression, Purification,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the Thermostable NAD-dependent Alcohol Dehydrogenase from Bacillus stearothermophilus

  • Shim, Eun-Jung;Jeon, Sang-Hoon;Kong, Kwang-H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5호
    • /
    • pp.738-744
    • /
    • 2003
  • The gene ADH encoding NAD-dependent alcohol dehydrogenase from Bacillus stearothennophilus was cloned and overexpressed as a GST fusion protein at a high level in Escherichia coli. The expressed fusion protein was purified simply by glutathione affinity chromatography. GST fusion protein was then cleaved by thrombin, while soluble enzyme was further purified by glutathione affinity chromatography. The recombinant enzyme had the same elctrophoretic mobility as the native enzyme from Bacillus stearothennophilus. The recombinant enzyme catalyzed the oxidation of a number of alcohols and exhibited high activities towards secondary alcohols. The $K_m\;and\;V_{max}$ values of the recombinant enzyme for ethanol were 5.11 mM and 61.35 U/mg, respectively. Pyridine and imidazole notably inhibited the enzymatic activity. The activity of the recombinant enzyme optimally proceeded at pH 9.0 and $70^{\circ}C$. The midpoint of the temperature-stability curve for the recombinant enzyme was approximately $68^{\circ}C$, and the enzyme was not completely inactivated even at $85^{\circ}C$. The recombinant enzyme showed a high resistance towards denaturing agents (0.05% SDS, 0.1 M urea). Therefore, due to its stability and relatively broad substrate specificity, the recombinant enzyme could be utilized in bio-industrial processes and biosensors.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an Apple cDNA Encoding Cinnamyl Alcohol Dehydrogenase

  • Kim, Sung-Hyun;Lee, Jae-Rin;Shin, Yong-Uk;An, Gyn-Heung;Kim, Seong-Ry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475-481
    • /
    • 1999
  • The study of lignin, a major component of secondary cell wall, has been partly focused on its removal from the woody part in the kraft pulping industry. Cinnamyl alcohol dehydrogenase (CAD; EC 1.1.l95) catalyzes the synthesis of cinnamyl alcohols from corresponding cinnamaldehydes. A cDNA clone, MdCADl, encoding putative CAD from apples (Malus domestica Borkh. cv Fuji) was characterized in this study. The clone contains an open reading frame of 325 amino acid residues, which shows a greater than 80% identity with Eucalyptus CADl. MdCADl mRNA was detectable in vegetative tissues and was strongly expressed in the fruit. The expression pattern of MdCADl mRNA in the fruit peel after light exposure was also examined. The mRNA was rapidly increased until 1 day after light exposure and remained stable thereafter, suggesting that MdCADl is light inducible. The inducibility of the MdCADl gene was examined using several environmental stresses. Mechanical wounding of leaves increased the MdCADl mRNA level and the induction was further increased by salicylic acid. Southern blot hybridization showed that there is either one or a few copies of CAD genes in apples. To our knowledge, it is believed that MdCADl is the first CAD clone expressed predominantly in fruit.

  • PDF

폴리비닐알콜을 이용한 직접메탄을 연료전지용 이온교환막 제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epar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 ion Exchange Membranes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

  • 임지원;천세원;전지현;남상용
    • 멤브레인
    • /
    • 제13권3호
    • /
    • pp.191-199
    • /
    • 2003
  • 본 연구는 직접메탄을 연료전지(Direct Methanol Fuel Cell, DMFC)용 전해질 막으로 이용되는 양이온교환막의 개발에 관한 것이다. 투과증발공정에서 메탄을 Barrier로 잘 알려져 있는 Poly(vinyl alcohol)을 Base polymer로 사용하고 양이온 교환기가 포함되어 있는 Poly(acrylic acid)를 가교제로 사용하여 가교제의 함량변화에 따른 메탄을 투과도(Methanol permeability), 이온전도도(Ion conductivity), 이온교환용량(Ion exchange capacity), 함수율(Water content), 고정이온농도(Fixed ion concentration)를 통해 막 특성을 측정하였다. 메탄올 투과도와 이온전도도는 가교제인 PAA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다가 15%이상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것은 가교제의 함량증가로 인한 가교의 영향과 가교제에 포함되어 있는 친수성기의 도입으로 이와 같은 결과가 나타난다고 예상된다. 실험결과를 통해 DMFC에 적용가능성이 있는 막은 $25^{\circ}C,\; 50^{\circ}C$에서의 메탄을 투과도가 $6.49{\times}10^{-8}/cm^2/s,\; 2.85{\times}10^{-7}/cm^2/s$, $25^{\circ}C,\; 50^{\circ}C$에서의 이온전도도가 $2.66{\times}10^{-3}\;S/cm,\; 9.16{\times}10^{-3}\;S/cm,$ 이온교환용량이 1.32 meq/g membrane, 함수율이 0.25 g $H_2O$/g membrane, 고정이온농도가 5.25 meq/g $H_2O$인 PVA/PAA-$160^{\circ}C$ 15% 막으로 예측된다.

PVA 폴리머를 이용한 니켈 알루미네이트 분말의 합성 및 특성연구 (Characteristics of Nickel Aluminate Ceramics Synthesized by Organic (PVA)-Inorganic Solution Technique)

  • 이상진;김주원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0권7호
    • /
    • pp.690-695
    • /
    • 2003
  • 고순도의 세라믹분말을 합성할 수 있는 용액 화학적 합성방법의 하나로서, 폴리머를 이용한 분말합성방법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PVA(Polyvinyl Alcohol)을 이용하여 니켈 알루미네이트(NiAl$_2$O$_4$) 분말을 합성하였다. PVA 첨가에 의하여 용액내의 금속 양이온들의 분산을 극대화하며, 순수한 니켈 알루미네이트를 얻기 위한 결정화 온도를 낮출 수 있었다. PVA 폴리머를 이용함으로써 분쇄가 용이한 부드러운 팽창성 분말을 얻을 수 있었으며, 볼 밀링에 의하여 약 300 nm의 크기를 보이는 좁은 입도의 미세한 분말이 얻어졌다 1$600^{\circ}C$, 1시간 소결에 의하여 4.35 g/㎤의 밀도를 보이는 치밀한 니켈 알루미네이트를 얻을 수 있었으며, 측정된 경도, 곡강도, 파괴인성 및 열팽창계수 값은 각각 14.2 ㎬, 304 ㎫, 4.8 ㎫.m$^{1}$2/과 9.8$\times$$10^{-6}$/$^{\circ}C$를 보였다.

PVA/PSSA-MA 이온교환막을 이용한 물/에탄올 계의 투과증발분리 (Pervaporation Separation of Water/Ethanol Mixture Using PVA/PSSA-MA Ion Exchange Membranes)

  • 임지원;조현일;서무영;김대훈;박인철;남상용
    • 멤브레인
    • /
    • 제16권3호
    • /
    • pp.235-239
    • /
    • 2006
  • 본 연구는 poly(vinyl alcohol) (PVA)와 가교제 poly(strene sulfonic acid-co-maleic acid) (PSSA-MA)을 이용하여 제조된 막을 물/에탄올 계에 대한 투과증발 실험을 25, 35 및 45$^{\circ}C$에서 수행하였다. 가교제의 함량은 7, 9, 11 wt.%를 사용하였으며, 원액의 조성은 무게비로 물 50, 20, 10 및 공비점인 4.4%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일반적인 투과증발 결과와 마찬가지로 가교제 함량의 증가 및 조업온도 증가에 따라 투과도 및 선택도에 대한 대표적 경향을 보여 주었다. 물 : 에탄올 = 10 : 90 조성에서 그리고 $45^{\circ}C$에서 선택도 12003와 투과도 $58.92g/m^2{\cdot}hr$를 PSSA-MA 11 wt%의 막이 보여 주었다.

소용량 EHD 발전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mall Capacity EHD Power Generation)

  • 전춘생;이재복;임응춘
    • 태양에너지
    • /
    • 제9권2호
    • /
    • pp.58-68
    • /
    • 1989
  • This paper describes an experimental study that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limiting factors on the power output in the closed cycle Electro-Hydro-Dynamic generator of small capacity. A corona discharge for producing unipolar charged particles used as the charging method. The experiment demonstrated that the corona method of charging was an efficient and effective means of producing unipolar charged particles. Four factors having an effect on the power output characteristics of EHD generator are discussed and examined experimentally, using methyl alcohol and kerosene as working fluides; a. The conversion length between attractor and collector. b. The corona current of Emitter. c. The flow velocity of working fluids. d. Load resistance. This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in a critical value in conversion length for its maximum power output. 2) Power output increases almost linearly with corona current and flow velocity. 3) There is the critical value of load resistance producing a maximum power output. 4) Kerosene is known better working fluid than Methyl alcohol in this EHD generato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