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_9$-alcohol

검색결과 453건 처리시간 0.024초

구리 촉매 상에서 C9-알데히드의 수소화 반응에 의한 C9-알코올 합성 (Synthesis of C9-Alcohol through C9-Aldehyde Hydrogenation over Copper Catalysts)

  • 박영권;노상균;조규상;전종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4권4호
    • /
    • pp.363-368
    • /
    • 2006
  • $C_9$-알데히드를 수소화하여 $C_9$-알콜을 제조하는 공정에 사용하기 위한 최적의 촉매를 선정하고, $C_9$-알콜의 수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운전 조건을 확립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리 전구체로 acetate를 사용하고 침전제로 $Na_2CO_3$를 사용하여 제조한 $CuO/ZnO/Al_2O_3$(60:30:10 wt%) 촉매의 표면적 및 구리 비표면적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C_9$-알데히드 수소화 반응에서도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최적화된 촉매를 장착한 trickle bed 반응기를 사용하여 $175^{\circ}C$, 800 psi, $WHSV=3hr^{-1}$의 조건에서 94.1 wt%의 $C_9$-알콜 수율을 얻었다. 알데히드의 수소화 반응에 사용되는 다른 촉매들과 비교한 결과 Ni/kieselghur 촉매와 유사한 성능을 보였으며 $Cu-Ni-Cr-Na/Al_2O_3$ 촉매 및 $Ni-Mo/Al_2O_3$ 촉매의 경우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장기 촉매 테스트를 통해서 촉매의 안정성을 확인한 결과 약 72시간 이후에는 고비점 부산물의 생성량 증가로 인하여 $C_9$-알콜의 수율이 약간씩 감소하였다.

수산동물(水産動物)의 Wax Ester에 관(關)한 연구(연구) (1) -숭어난유(卵油)의 지질조성(脂質組成)에 관(關)하여- (Studies on Wax Esters in Marine Animals(1) -Lipid Composition of Mullet Roe Oil-)

  • 조용계;고광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09-414
    • /
    • 1978
  • 숭어 난유(卵油)의 지질조성(脂質組成)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보면 다음과 같다. 1 숭어의 각조직(各組織)의 지질성분(脂質成分)은 상이(相異)하였다. 즉 근육(筋肉), 난(卵) 및 간(肝)에서 추출(抽出)한 지질주요성분(脂質主要成分)은 각각(各各) triglyceride, wax ester, 유리지방산(遊離脂肪酸)였다. 2. 숭어난(卵)의 지질함량(脂質含量)은 약(約) 20.5%였고, 그 지질(脂質)의 요-드가(價)는 118, 불감화물의 양(量)은 38.7%였다. 3. 숭어난유(卵油)의 중요지질조성(重要脂質組成)은 wax ester가 59.1%로 제일 많았고, 다음이 극성지질(極性脂質)로 26.9%, 그 다음이 triglyceride로 9.0%였으며, Sterol은 3.0%였다. 4. Wax ester의 중요(重要)한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을 보면 palmitic acid가 47.5%로 제일 많았으며, 그 다음이 oleic acid로 23.0%, hexadecatrienoic acid가 6.5%, eicosapentaenoic acid가 4.0%였다. 또 triglyceride의 조성(組成)을 보면 palmitoleic acid가 25.1%, oleic acid가 16.7%, palmitic acid가 16.3%, eicosamonoenoic가 7.9%, stearic acid가 5.5%였다. 극성지질(極性脂質)의 경우는 palmitic acid가 35.0%, oleic acid가 24.7%, palmitoleic acid가 6.1%, eicosapentaenoic acid가 5.3%였다. 5. Wax ester의 중요(重要)한 alcohal은 cetyl alcohol(C16:0)가 51.0%로 제일 많았고. 그 다음이 palmitoleyl alcohol(C16:1)로 18.2%, 그 다음이 oleyl alcohol (C18:1)로 10.7%였다. 또 C15:0, C15:1, C17:0, C17:1, C19:1과 같은 기수탄소(奇數炭素) alcohol가 상당량(相當量) 발견(發見)되었다.

  • PDF

Pseudomonas 속균이 생산하는 Alcohol Dehydrogenase에 관한 연구 (제1보) Alcohol Dehydrogenase 정제와 일반적성질 (Alcohol Dehydrogenase Active on Furfuryl Alcohol from Pseudomonas sp. (Part 1)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Alcohol Dehydrogenase)

  • 강순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7-32
    • /
    • 1980
  • 본 실험에서 얻은 성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circled1 Furfuryl alcohol를 단일탄소원으로 이용하여 ADH를 생산하는 세균을 토양중에서 분리하고, 균학적 성질에 따라 Pseudomonas sp.라 동정하였다. \circled2 본 효소는 disc 전기영동적, SDS 전기영동적, 초원침강적, 분석에서 완전히 균일하였다. \circled3 본 효소의 침강계수는 7.6S, 반응최적활성 pH는8.5~9.0에 위치하였으며, 최적활성온도는 45$^{\circ}C$ 이었다. \circled4 4개의 동일 subunit (M.W 30,000)가 회합하여 본 활성효소를 형성하는 tetramer이며, 분자량은 개략 120,000이다. \circled5 본 효소의 subunit 1분자는 266개의 amino 산 residues로 구성되고 있다.

  • PDF

고압에서 폴리(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용매계의 상거동에 관한 연구 (Phase Behavior of Poly(ethylene-co-vinyl alcohol)-Solvent System at High Pressure)

  • 변헌수;김종배
    • 공업화학
    • /
    • 제9권3호
    • /
    • pp.424-429
    • /
    • 1998
  • 본 연구는 두 가지의 공중합체인 poly(ethylene-co-vinyl alcohol)(PEVA) [9.9mol%와 17.8mol% vinyl alcohol(VA)]에 용매인 에틸렌, 프로판, 프로필렌, 부탄, 1-부텐, 디메틸 에테르(DME) 및 클로로디플로로메탄(CDFM)과의 구름점(cloud-point)을 얻기 위해 온도 $230^{\circ}C$와 압력 1,800bar까지 상거동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장치로는 평형조(view cell)를 이용한 고온, 고압에서 실험할 수 있는 정지형(static type)을 사용하였다. PEVA(9.9mol% VA) -DME계에 있어서 PEVA의 농도를 1.4~20.0wt%에 걸쳐 변화시킬 때의 압력과 온도에 따른 상거동을 알아보았다. PEVA(17.8mol% VA)-DME계의 압력-온도에 따른 상거동은 1.9~6.8wt%에 걸친 농도 범위에서 나타내었다. PEVA(9.9mol%와 17.8mol% VA)와 DME간의 혼합물 구름점은 VA와 DME간의 수소결합에 의하여 압력이 480bar 이하에서 나타났다. PEVA(9.9mol%와 17.8 mol% VA)-DME계에 대해 압력-농도(P-x) 등온곡선 관계를 나타내었다. PEVA(9.9mol%와 17.8 mol% VA)와 용매인 에틸렌, 프로판, 프로필렌, 부탄, 1-부텐 및 CDFM과의 상거동은 1,800bar 이하에서 음의 기울기를 보였으며, PEVA(9.9mol% VA)-DME계에 대한 상거동은 $80^{\circ}C$에서 $160^{\circ}C$ 온도범위에서 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압력이 감소하는 양의 기울기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 PDF

Alcohol Fermentation of Opuntia ficus Fruit Juice

  • Lee, Sam-Pin;Lee, Suk-Kyung;Ha, Young-Duc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5권1호
    • /
    • pp.32-36
    • /
    • 2000
  • Prickly pear juice(PPJ) extracted from prickly pear fruit (Opuntia ficus-indica)was used as raw material for the production of alcoholic beverages. Prickly pear juice (PPJ) had 0.88 oBrix of soluble solid, pH 3.96 and 0.14% of total acidity. Alcohol fermentation of 25% PPJ including 22 oBrix of sugar and 1$\times$106 of inoculum was suitable for alcohol fermentation indicating the rapid decrease of sugar content. The 22 oBrix of sugar in PPJ (25%)GJ (50%) mixture was changed to 6.5 oBrix after fermentation at 3$0^{\circ}C$ for 7 days. The alcohol content was 9.2% (w/v). PPJ (70%)/GJ (30%) mixture produced alcoholic beverage with 6.9% alcohol content resulting in the gradual decrease of soluble for 7 days. On the other hand, PPJ (50%)/GJ(50%) mixture carried out completely the alcohol fermentation at 22$^{\circ}C$ for 6 days and enhanced the red color of alcoholic beverages.

  • PDF

한국인에서 알코올 섭취가 관상동맥질환 관련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 (2005년) (Alcohol Consumption and the Coronary Heart Disease-Related Risk Factors in Korean Adults;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2005)

  • 박성희;강영희;박현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1권3호
    • /
    • pp.232-241
    • /
    • 2008
  • Moderate alcohol consumption has been known to be associated with reduced risk for coronary heart disease (CHD). We assessed the association between alcohol consumption and CHD-related risk factors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DM) , high total cholesterol, high triglyceride (TG), low HDL-cholesterol (HDL-C), and high LDL-cholesterol (LDL-C)] in Korean. After excluding those with extreme intake values, the number of final subjects included in the analysis was 4,662 Korean adults aged over 20 years (1,961 men, 2,701 women) who participate in the 200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four or five groups; none-alcohol consumption group, moderate alcohol consumption group (<15 or 15.0-29.9 g/d), heavy alcohol consumption group (30-69.9 g/d or ${\geq}$ 70 g/d in men, ${\geq}$ 30 g/d in women). Odds ratios (ORs) were estimated from logistic regression adjusting for potential covariates. Alcohol consumption was inversely associated with low HDL-C in both men and women. However, heavy alcohol intake (${\geq}$ 70 g/d) significantly increased risk for hypertension, DM, and hypertriglyceridemia in men. The frequency of alcohol intake was also associated with CHD risk. The risk for low HDLC was decreased with alcohol consumption (${\geq}$ 1 times/wk), but frequent alcohol intake (${\geq}$ 4 times/wk) increased the risk for hyperten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moderate alcohol consumption has protective effect on CHD-related risk factors in Korean population.

현미 품종별 알코올발효액 및 부산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Alcohol fermentation Broth and By-Product of Brown Rice Varieties)

  • 우승미;김태영;여수환;김상범;김진숙;김미현;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57-56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현미 4종의 알코올 발효액 및 부산물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비열처리 알코올발효 구간에서 알코올함량은 대안벼(A), 백진주(B) 및 설갱(C)이 각각 9.5, 9.7 및 9.8%로 높게 나타났으며 고아미(D)가 3.5%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비열처리구간의 유리당 총 함량은 고아미가 244.2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열처리 알코올 발효구간이 전반적으로 당 함량이 높았으며 현미 품종간 차이는 약간 있었다. 비열 및 열처리 알코올 발효 방법에 따른 부산물의 총식이섬유 소 함량은 설갱 > 백진주 > 대안벼 > 고아미 품종순으로 높았다. 고아미의 알코올발효방법에 따른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비열처리 고아미 부산물 > 고아미 분말 > 열처리 고아미 부산물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고아미(D)는 비열처리 알코올발효에서 수율은 가장 낮았으나 발효 부산물의 활용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아미 발효 부산물에는 전분, 식이 섬유소, 유리아미노산 등 영양성분이 많아 다양한 식품재로 활용이 기대되었다.

자외선조사에 의한 다공질 실리콘 알코올 센서의 감도 개선 (Improvement of Sensitivity in Porous Silicon Alcohol Gas Sensors by UV Light)

  • 김성진;최복길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기물성ㆍ응용부문C
    • /
    • 제48권9호
    • /
    • pp.676-680
    • /
    • 1999
  • To do breath alcohol measurement, a sensor is necessary that it can detect low alcohol gas concentration of 0.01% at least. In this work, a capacitance-type alcohol gas sensor using porous silicon layer is developed to measure low alcohol gas concentration. The sensor using porous silicon layer has some sensitivity at room temperature by very large effective surface area, but there is still much room for improvement. In this experiment, we measured the capacitance of the sensor under 254 nm UV light on the porous silicon layer, in which alcohol solution was kept in a flask at 25, 35, and $45^{\circ}C$ by a heater. As the result, the improvement of sensitivity by illuminating UV light was observed. The increasing rate of the capacitance was shown to be double more than those measured under UV-off state. It is supposed that UV light activates response of the oriental and interfacial polarizations which have slow relaxation time for AC field.

  • PDF

쌍화추출물의 추출조건에 따른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of Ssangwha Extract according to Extraction Conditions)

  • 박상순;이근보;한명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68-373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쌍화차의 품질 향상과 수율 증대를 위해 쌍화 추출물의 최적 추출조건을 설정하고, 설정된 조건으로 추출한 쌍화 추출물의 품질 특성의 차이를 확인하여 다류 제조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추출조건에 따른 쌍화 추출물의 수율은 추출온도 9$0^{\circ}C$에서 추출용매의 주정농도가 50%일 때 그 수율이 가장 높았으며, 추출용매의 주정농도가 올라갈수록 추출 수율이 높게 나타났다. 추출온도 8$0^{\circ}C$와 9$0^{\circ}C$일 때 추출용매의 주정농도가 30%이상에서는 용매의 주정농도가 높아져도 수율의 증가가 둔화되는 경향을 보였는데, 주정농도가 높아질수록 생산원가가 높아져 제품의 경제성을 감안할 때 추출온도를 8$0^{\circ}C$이상으로 높일 경우 주정농도는 30%가 적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쌍화 추출물의 고형분의 함량은 추출온도가 올라 갈수록, 주정농도가 높을수록 대체로 고형분의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유기산의 산도는 추출온도 60∼7$0^{\circ}C$에서 주정농도 50%일 때 각각 1.28%, 1.27%로 가장 높았으며, 주정함량의 증가에 따라 산도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온도증가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온도가 더욱 높아진 80∼9$0^{\circ}C$에서는 60∼7$0^{\circ}C$에서 나타난 현상과는 달리 산도가 증감을 반복하여 주정농도와 추출온도에 따른 변화는 일정하지 않았다. 추출물의 pH는 산도에서 나타났던 결과와는 반대의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유기산 산도에 의한 pH 저하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쌍화 추출물의 물 불용성 침전물은 추출온도와 주정농도가 높을수록 물 불용성 침전물의 양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주정농도가 30%이상에서 물 불용성 침전물의 양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물질의 과다 발생은 품질과 수율 저하를 발생시킨다. 주정농도가 30%일 때 물 불용성 침전물이 추출온도 8$0^{\circ}C$ 및 9$0^{\circ}C$에서 각각 1.64%, 1.69%로 주정농도 30%이하에서 나타난 수치와 크게 차이가 없으므로 주정농도는 30%가 적정하다고 볼 수 있다. 비중은 추출온도와 주정농도와 관계없이 추출조건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와 같이 쌍화추출물의 추출조건은 추출온도를 9$0^{\circ}C$로 하여 추출용매의 주정농도를 30%로 설정하는 것이 적정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Anti-complement Effects of Anion-Substituted Poly(vinyl alcohol) Membranes

  • Ryu, Kyu-Eun;Rhim, Hyang-Shuk;Park, Chong-Won;Chun, Heung-Jae;Hong, Seung-Hwa;Kim, Young-Chai;Lee, Young-Moo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46-52
    • /
    • 2004
  • In a continuation of our previous studies on blood compatibility profiles of anion-substituted poly(vinyl alcohol) (PVA) membranes, in which hydroxyl groups have been replaced with carboxymethyl (C-PVA) and sulfonyl groups (S-PVA), we have studied the activation of complement components and the changes in white cell and platelet count in vitro and compared them with those of unmodified PVA, Cuprophane, and low-density polyethylene. Complement activation of fluid phase components, C3a, Bb, iC3b, and SC5b-9, and of bound phases, C3c, C3d, and SC5b-9, were assess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and immunoblot, respectively. The changes in the number of white cells and platelets following complement activation were counted using a Coulter counter. C-PVA and S-PVA activated C3 to a lesser extent than did PVA, which we attribute to the diminished level of surface nucleophiles of the samples. In addition, C- and S-PVA exhibit increased inhibition of Bb production, resulting in a decrease in the extent of C5 activation. Consequently, because of the reduced activation of C3 and C5, C- and S-PVA samples cause marked decreases in the SC5b-9 levels in plasma. We also found that the negatively charged sulfonate and carboxylate groups of the samples cause a greater extent of adsorbtion of the positively charged anaphylatoxins, C3a and C5a, because of strong electrostatic attraction, which in turn provides an inhibition of chemotaxis and activation of leukocytes. The ability to inhibit complement production, together with the binding ability of anaphylatoxins of the C- and S-PVA samples, leads to a prominent decrease in lysis of leukocytes as well as activation of platel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