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illus$ $subtilis$ subsp. subtilis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2초

해조류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의 저장기간 연장을 위한 과산화수소의 활용 (Application of Hydrogen Peroxide on the Bacterial Control of Seaweed, Capsosiphon fulvescens (Mesaengi))

  • 김두운;김미정;신태선;김선재;정복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69-173
    • /
    • 2008
  • Bacillus subtilis subsp. subtilis는 녹조류인 매생이에서 분리되는 총 생균주 중에서 90%를 차지하고 있다. Bacillus subtilis subsp. subtilis에 대한 항미생물 활성을 50 ppm 수준에서 과산화수소와 NaOCl의 각각의 처리가 전해수 (50 ppm) 보다 유의적 수준에서 높았다. 매생이를 50 ppm의 과산화수소, NaOCl 그리고 전해수로 처리한 후 $4^{\circ}C$에서 30일간 일반포장 또는 진공포장에 의한 저장실험 후 총균수를 측정한 결과 과산화수소와 NaOCl를 처리시에는 초기 균수보다 $1.8{\pm}0.4$ log cfu/g 감소함을 보였고 전해수를 처리시에는 $1.7{\pm}0.5$ log cfu/g의 감소를 보였으며, 포장방법에 의한 총균수의 감소에는 영향이 없었다. 매생이를 50ppm의 과산화수수 NaOCl 그리고 전해수에 처리한 후 $4^{\circ}C$에서 20일간 저장실험 후 조직감 (경도)를 측정한 결과, 과산화수소와 NaOCl를 처리시에는 초기 경도 ($7.9{\times}10^6dyne/cm^2$)보다 $1.6{\pm}0.1$배 감소하였으나, 전해수 처리는 $2.1{\pm}0.1$배의 경도의 감소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Bacillus subtilis subsp. subtilis 균주가 일반포장과 진공 포장된 제품에서 우점종으로 나타났고, 매생이의 장기 저온 저장 시 중요 관리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제어하는데 과산화수소와 NaOCl이 전해수보다 효율성이 높았다.

Bacillus subtilis subsp. krictiensis로부터 항진균물질 KRF-001의 생산을 위한 발효조건 및 돌연변이 연구 (Effect of Some Factors on the Production of an Antifungal Compound KRF-001 from Bacillus subtilis subsp. krictiensis)

  • 손광희;권혜경;복성해;이항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614-618
    • /
    • 1991
  • 토양세균 B.subtilis subsp. krictiensis로부터 항진균활성물질 KRF-001 복합체를 생산하기 위한 발효 조건을 조사하였다. Whey와 mannitol 등이 탄소원으로, CSL, corn gluten meal 그리고 polypeptone이 복합질소원으로 좋았다. 중온균인 생산균은 중성 pH조건에서 P.oryzae에 대한 bioactivity가 가장 높았으며, 0-10 DO의 낮은 용존산소 조건에서도 bioactivity가 유지되었다. 인산염의 농도가$ K_2HPO_4$, 0.047에서 0.097로 높아짐에 따라 1/2의 bioactivity 감소가 관찰되었다. 한편 UV 및 MNNG에 의한 돌연변이에 의해 우수균주 3개를 선별하였다.

  • PDF

토양으로부터 새로이 분리된 단백질 분해효소 생산 미생물 Bacillus subtilis FBL-1의 동정 (Identification of a Newly Isolated Protease-producing Bacterium, Bacillus subtilis FBL-1, from Soil)

  • 김민아;시진범;위영중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85-193
    • /
    • 2016
  • 경상북도 경산시에 위치한 영남대학교 내의 토양으로부터 protease를 생산하는 신규 미생물 FBL-1을 분리하였다. 본 균주는 Biolog test 및 API 50CHB test 결과, Bacillus 속 미생물 중 하나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16S rDNA 염기서열 분석결과로부터 FBL-1 균주는 B. subtilis subsp. subtilis NCIB 3610 (99.5%), B. subtilis subsp. inaquosorum KCTC 13429 (99.4%), B. subtilis subsp. spizizenii NRRL B-23049 (99.3%), B. methylotrophicus KACC 13105 (99.3%) 등과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이러한 생리적, 형태학적, 계통학적 특성에 따라 균주 FBL-1은 B. subtilis에 속하는 균으로 최종 동정하여 B. subtilis FBL-1으로 명명하였다. B. subtilis FBL-1을 이용한 protease 생산시 탄소원으로는 fructose, 질소원으로는 yeast extract가 균체 성장 및 protease 활성을 위하여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B. subtilis FBL-1 균주는 protease를 생산하는데 활용할 수 있으며, 향후 배지 및 발효조건 최적화와 효소의 특성 규명 등의 연구를 통하여 식품, 세제 등의 다양한 산업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omplete Genome of Bacillus subtilis subsp. subtilis KCTC 3135T and Variation in Cell Wall Genes of B. subtilis Strains

  • Ahn, Seonjoo;Jun, Sangmi;Ro, Hyun-Joo;Kim, Ju Han;Kim, Sei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10호
    • /
    • pp.1760-1768
    • /
    • 2018
  • The type strain Bacillus subtilis subsp. subtilis KCTC $3135^T$ was deeply sequenced and annotated, replacing a previous draft genome in this study. The tar and tag genes were involved in synthesizing wall teichoic acids (WTAs), and these genes and their products were previously regarded as the distinguishing difference between B. s. subtilis and B. s. spizizenii. However, a comparative genomic analysis of B. subtilis spp. revealed that both B. s. subtilis and B. s. spizizenii had various types of cell walls. These tar and tag operons were mutually exclusive and the tar genes from B. s. spizizenii were very similar to the genes from non-Bacillus bacteria, unlike the tag genes from B. s. subtilis. The results and previous studies suggest that the tar genes and the tag genes are not inherited after subspecies speciation. The phylogenetic tree based on whole genome sequences showed that each subspecies clearly formed a monophyletic group, while the tree based on tar genes showed that monophyletic groups were formed according to the cell wall type rather than the subspecie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tar genes and the presence of ribitol as a cell-wall constituent were not the distinguishing difference between the subspecies of B. subtilis and that the description of subspecies B. s. spizizenii should be updated.

Bacillus subtilis subsp. krictiensis가 생산하는 항진균 물질 KRF-001의 구조 결정 (Structure Determination of Antifungal KRF-001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subsp. krictiensis)

  • 김성기;이남경;정태숙;김영국;최진자;복성해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98-603
    • /
    • 1991
  • 신규 미생물 Bacillus subtilis subsp. krictiensis의 배양액으로부터 식물 및 인체 병원균에 폭넓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는 DRF-001으로 총칭되는 6개의 cyclic peptide의 복합체(A에서 F)를 분리하였다. 이 6개 peptides의 분자량은 FAB-MS 측정결과, A가 1042, B와 C가 1056, D와 E가 1070 그리고 F가 1084였다. 이 복합체의 구조를 각종 자기분석을 통해 해석한 결과, 구조 중에 1몰씩의 glutamine, proline, tyrosine, serine 및 unusal $\beta$-amino acid와 3몰의 asparagine을 공통적으로 갖고 있으나, $\beta$-amino acid의 탄소수와 말단 methyl 구조에 차이점이 있음을 알 수있었다. 구성 amino acid들의 서열과 입체구조 결정에 의하여 KRF-001의 잠정구조를 결정하였다.

  • PDF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arine Microorganisms Producing Cellulase from the Seashore of the Kyungsang Province in Korea

  • Jo, Kang-Ick;Lee, Bo-Hwa;Kim, Bo-Kyung;Jo, Hae-Young;Kim, Sung-Koo;Nam, Soo-Wan;Lee, Jin-Woo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5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VII)
    • /
    • pp.307-311
    • /
    • 2005
  • 해양에서 유용물질을 생산하는 미생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경상도 지역의 해안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총 371 균주의 해양미생물을 얻었으며 전분, CMC 및 단백질 등과 같은 기질에 대한 분해활성을 측정하여 CMC에 대한 우수한 분해 능력을 가진 30균주를 선별하였다. 이들 30 균주를 배양하여 CMCase의 생산능력이 우수한 12 균주를 선발하였다. 이들 해양미생물을 배양하고 섬유소 분해효소를 생산한다고 알려진 B. amyloliquefaciens DL-3와 CMCase의 활성을 비교하였다. 이 중 다대포에서 분리하여 명명한 A-53 균주가 가장 높은 CMCase 활성을 나타를 생산한다고 알려진 B. amyloliquefaciens DL-3와 CMCase의 활성을 비교하였다. 이 중 다대포에서 분리하여 명명한 A-53 균주가 가장 높은 CMCase 활성을 나타내었다. A-53 균주를 16S rDNA partial sequencing 및 gyrase A partial sequencing하여 동정한 결과, Bacillus subtilis subsp. subtilis로 확인되었으며 B. subtilis subsp. subtilis A-53으로 명명하였다.

  • PDF

Cloning of a Hemolytic Mosquitocidal Delta-endotoxin Gene (cyt) of Bacillus thuringiensis 73E10-2 (serotype 10) into Bacillus subtilis and Characterization of the cyt Gene Product

  • Kim, Kwang-Hyeon;Ohba, Michio;Kim, Byung-W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6권5호
    • /
    • pp.326-330
    • /
    • 1996
  • To illustrate whether a hemolysin in $\delta$-endotoxins of Bacillus thuringiensis strain 73E10-2 and subsp. israelensis had immunological identity, a cyt gene of the strain 73E10-2 which encodes a hemolysin was cloned to B. subtilis (transformant 2753). The transformant 2753 containing cyt gene produced the hemolysin which lysed sheep erythrocytes after treatment of proteinase K. The hemolysin was proved also to be toxic against mosquito larvae (Aedes aegypti). The molecular weight of the hemolysin produced from the transformant 2753 was determined to be about 25 kDa by SDS-PAGE and immunoblot. The hemolysin in $\delta$-endotoxin of subsp. israelensis and subsp. kyushensis did not react on immunoblot using polyclonal anti-$\delta$-endotoxin of the strain 73E10-2, but 70-140 kDa mosquitocidal toxins in $\delta$-endotoxin of subsp. kyushuensis reacted.

  • PDF

구기자(Lycium chinense Mill.) 유기재배시 병해충 발생 및 친환경제제의 방제효과 (Studies on Outbreak of Diseases and Pests and Effect of Environmental Friendly Control Materials in Boxthorn (Lycium chinenseMill.) Organic Cultivation)

  • 이보희;박영춘;이석수;김영국;안영섭;유승헌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85-396
    • /
    • 2011
  • 본 연구는 구기자 유기재배 시 발생하는 주요 병해충에 대해 친환경적인 방제방법을 개발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관내 주요 유기재배 농가의 병해충의 발생을 조사한 결과 18종의 병해충이 조사되었는데 그 중 발생의 정도에 따라 병해로 흰가루병과 뒷면곰팡이병 해충으로 복숭아혹진딧물과 꽃노랑총채벌레 및 나방류가 친환경적인 방제연구가 필요하였다. 이에 방제 시험한 결과 초여름 발생하는 흰가루병에는 Bacilus subtilis QST 713 수화제와 Sulfur 수화제가 효과가 좋았고 초가을에 발생하는 흰가루병에는 Sulfur 수화제와 Copper hydroxide 수화제, Paraffinic oil 유제의 효과가 좋았다. 또한 뒷면곰팡이병 방제시험 결과 Paraffinic oil 유제와 Bacilus subtilis GB-0365 액상수화제의 방제효과가 70% 이상으로 좋았다. 해충 친환경 방제시험에서 총채벌레의 방제에 천적인 유럽애꽃노린재(Orius laevigatus)를 방사하여 80%이상 방제가능 하였다. 왕담배나방은 미생물농약인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aizawai GB413 액상수화제와 Bacillus thuringiensis aizawa 0423 수화제로 70%이상의 방제가로 방제할 수 있었으며, 구기자 뿔나방(Hedma lycia sp.)은 B.T. servar aizawai 수화제가 70% 이상의 방제가로 효과가 우수하였다. 마지막으로 복숭아혹진딧물을 친환경제제로 방제 시험한 결과 Bacillus subtilis(Seoncho)와 Bacillus subtilis(Jinsami)가 80%이상의 방제가로 약효가 우수하였으며 Ginkgo nut extract로도 70%이상 방제할 수 있었다. 이상의 방제시험으로 구기자 유기재배시 우선 문제되는 5종의 병해충에 대해서 방제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다.

Bacillus subtilis MJP1이 생산하는 항세균 물질의 분리.정제 및 특성규명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bacterial Compound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MJP1)

  • 임은정;양은주;장해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84-92
    • /
    • 2010
  • B. subtilis MJP1이 생산하는 항균물질을 분리 정제하기 위하여 SPE, IEC, GFC를 통한 정제를 수행하였다. 정제된 항세균 물질은 tricine SDS-PAGE에서 하나의 band임을 확인 한 후 N-말단 아미노산 서열분석을 하였으나 N-말단이 blocking 되어 그 서열을 분석할 수 없였다. 이에 그 내부서열을 알아보기 위한 LC를 이용한 ESI-MS/MS를 시행하였으나 내부서열도 확인할 수 없었고, UPLC를 이용한 ESI-MS/MS를 시행한 결과 항세균 활성 물질은 분자량이 매우 유사한 2개의 peptide(3356.54 Da, 3400.5244 Da)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정제된 항세균 물질의 항균 spectrum을 조사한 결과, L. monocytogenes에 가장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며 이외에 B. subtilis, S. aureus subsp. aureus, E. faecalis 등의 Gram 양성균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였다. 정제된 B. subtilis 항세균 물질은 pH 3.0부터 pH 9.0 범위에서는 안정하였으며 $4^{\circ}C$, $30^{\circ}C$, $50^{\circ}C$에서 24시간, $100^{\circ}C$에서 5분 동안 매우 안정하였고, $70^{\circ}C$에서 24 시간, $100^{\circ}C$에서 30분 동안 처리한 구간부터 역가가 감소하여 $121^{\circ}C$에서 15분 동안 처리한 구간에서는 역가가 완전히 소실되었다. 효소 안정성 실험에서 정제된 항세균 물질은 일부 단백분해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역가를 상실하였으며, lipase나 $\alpha$-amylase에서는 안정함을 나타냈다. 이로부터 정제된 항세균 물질이 넓은 pH 범위에서 안정하고,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도 활성을 유지한다는 점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단백분해효소에 의해 분해되므로 bacteriocin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B. subtilis MJP1으로부터 분리 정제된 bacteriocin은 class IIa군의 특성과 유사하며, B. subtilis MJP1은 본 분리 bacteriocin 이외에도 다른 항세균 물질과 항진균 물질을 생산하는 균주임을 알 수 있었다.

Construction of Shuttle Promoter-probe and Expression Vectors for Escherichia coli and Bacillus subtilis, and Expression of B.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HD-73 Crystal Protein Gene in the Two Species

  • Park, Seung-Hwan;Koo, Bon-Tag;Shin, Byung-Sik;Kim, Jeong-I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권1호
    • /
    • pp.37-44
    • /
    • 1991
  • A shuttle promoter-probe vector, pEB203, was derived from pBR322, pPL703 and pUB110. Using the vector, a useful DNA fragment, 319 bp EcoRI fragment, having strong promoter activity has been cloned from Bacillus subtills chromosomal DNA. Selection was based on chloramphenicol resistance which is dependent upon the introduction of DNA fragments allowing expression of a chloramphenicol acetyl transferase gene.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319 bp fragment has been determined and the putative -35 and -10 region, ribosome binding site, and ATG initiation codon were observed. This promoter was named EB promoter and the resultant plasmid which can be used as an expression vector was named pEBP313. The crystal protein gene from B.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HD-73 was cloned downstream from the EB promoter without its own promoter. When the resultant plasmid, pBT313, was introduced into Escherichia coli and B. subtilis, efficient synthesis of crystal protein was observed in both cells, and the cp gene expression in B. subtilis begins early in the vegetative phase. The cell extracts from both clones were toxic to Hyphantria cunea larva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