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5^{th}$ vital sign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41초

암성통증: 제5의 활력징후인 통증의 강도 측정 및 펜타닐 패취(듀로제식$^{(R)}$)의 통증 조절 효과 (FIRST Survey: Fentanyl-TTS is Rational Solution to Treat Cancer Pain and Pain Assessment as a $5^{th}$ Vital Sign in Korean Cancer Patients)

  • 최윤선;이준영;임연근;김철수;송홍석;김삼용;김수현;김준석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7권2호
    • /
    • pp.238-247
    • /
    • 2004
  • 목적: 통증조절 실패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부적절한 통증 평가이다. 규칙적이고 지속적인 암성통증의 평가가 효과적인 통증조절에 도움이 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3년 9월에서 12월 사이 전국 25개 병원에 입원하여 듀로제식$^{(R)}$을 처음 사용한 암환자를 대상으로4일간 통증을 제5의 활력징후로 평가하였다. 평가기간 동안의 일 평균 통증 강도 및 진통제 사용량, 돌발성 통증에 사용한 구제 진통제의 용량 및 투여 횟수를 분석하였다. 결과: 최종 분석대상자는 471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57.2세, 남자가 59.1%이었다. 연구시작 전 대상자의 평균 통증강도는 6.0점이었고 78.6%가 진통제를 사용하고있었다. 듀로제식$^{(R)}$을 붙인 후 통증을 활력징후로 측정하였는데, 4일째 일 평균 통증강도는 2.9점으로 감소하였다(P<0001). 활력징후 측정 횟수가 많을 수록 4일간의 일 평균 통증강도가 감소하였다(r=-0.143, P=0.0018). 일 평균 듀로제식$^{(R)}$의 사용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14). 구제 진통제의 사용량과 횟수는 시간에 따라 감소하였다. 의사65.7%, 환자 58.1%가 듀로제식$^{(R)}$ 사용 후 만족한다고 답하였다. 결론: 암성 통증을 제5의 활력징후로 측정하였을 때 보다 효과적으로 통증조절이 이루어졌다. 듀로제식$^{(R)}$ 또한 암성 통증의 조절에 효과적이며, 안전한 약제이나 처음 사용 시에는 신중한 용량적정이 필요하다.

  • PDF

간호원의 손 오염에 대한 세균학적 연구 (Bacteriological Studies Relating to Contamination of Nurse한s Hands)

  • 이정섭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55-62
    • /
    • 1984
  • This study was performed from september 26th to October 7th 1981 to investigate the contamination problems of Nurse's hands characterized by var-ious nursing functions. A total of 50 nurse's hands were sampled from 5 different wards of H. University Hospital. The samples were cultured for isolation of microorganis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Of 50 Nurses 23 were found to be contaminated by 9 species of bacilli such as Non-fermentative gram negative Bacilli, Gram negative bacilli, Oxidase positive, Enterobacter,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 Acinetobacter, Staphylococcus epidermidis, Gaffkya tetragens, Bacillus subtilis. 2. The contaminate rates by wards where they have been serving are; 7 (87.5%) of 8 nurses from Intensive care unit, 7(70%) of 10 nurses from general surgery ward, 3(50%) of 6 nurses from neurosurgery ward, 2(20%) of 10 nurses from orthopedic surgery ward, 4(25%) of 10 nurses from medical ward. 3. The contamination rates by the types of clinical service offered are 6(85.7%) of 7 nurses after wound dressing assist 6 (55.3%) of 13 nurses after vital sign check. 4. No statistical significance could he observed as to the between the rates of contamination of nurse's hands with various nursing functions (0.1

  • PDF

산모의 열감(熱感), 한출(汗出), 갈증(渴症)에 자하거 약침이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Hominis Placenta Herbal Aupuncture Therapy on the Postpartum Women's Heat Feeling, Sweat and Thirst)

  • 김태희;박가영;박지영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39-155
    • /
    • 2010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ominis placenta herbal aupuncture therapy on the postpartum women's heat feeling, sweat and thirst. Methods: The subjects were 25 women who admitted for postpartum treatment in Hospital of Woosuk University from 15th November 2008 to 5th February 2010. The control group(normal saline group, NSG) were 12 women and hominis placenta herbal acupunture treatment group(HPAG) were 13 women. We injected at Kwanwon(CV4), Sinsu(BL23). We checked VAS(heat feeling, sweat and thirst), vital sign, wrong response. We tested CBC, 7-zone-diagnostic system, HRV before and after clinical study. Results: VAS of thirst was significantly decresed in the HPAG than NSG. Ln(LF) of HPAG was lower than NSG after clinical study.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hominis placenta herbal aupuncture therapy may be useful for the postpartum women.

온.냉욕 전신침수욕시 기간에 따른 vital sign의 변화 (Variation of Vital Sign according to Time in Full Immersion of Hot and Cool Bath)

  • 이승주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35-49
    • /
    • 1996
  • 본 연구는 온 냉입욕시 신체의 vital sign(수축기 및 이완기혈압, 맥박수, 호흡수, 체온 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1995년 6월 27일 안동전문대학 물리치료과 2학년 재학생 총 52 명 중 질병을 앓고 있거나 생리 중인 여학생 및 미참가 학생을 제외한 32명(6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안정시 수축기 및 이완기혈압의 평균은 각각 105.3mmHg, 67.3mmHg 였으며, 맥박수는 분당 70.7회였고, 호홉수의 평균은 15.6회였으며, 체온은 $36.6^{\circ}C$였다. <성별과 온 냉욕 적용시 각각의 해당 시간마다 vital sign의 변화> 1. 수축기혈압은 온욕조에 입욕후 3분, 6분, 9분, 그리고 12분 등에서 모두 남자가 여자 보다 높았으며, 냉욕조에서도 남자가 여자 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3분 시점에서 남자가 110.77mmHg로 99.47mmHg인 여자 보다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43), 9분에서도 남자가 108.46mm班g로 여자의 96.84 mmHg 보다 높았고(P=0.0200), 역시 12분에서도 남자가 108.46mmHg로 여자의 100.00mmHg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165). 2. 이완기혈압은 온 냉욕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비교적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냉욕시의 9분에서 남자가 74.61 mmHg로 여자의 63.68mmHg 보다 높았고(P=0.0051), 12분에서도 남자가 75.38mmHg로 64.21 mmHg의 여자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왔다(P=0.0031). 3. 맥박수는 온욕에 입욕시 모두 남자가 여자 보다 유의하게 높았는데, 3분의 시점에서 남자가 97.76회, 여자가 82.11회 이고(P=0.0024), 6분은 남자 104.23회, 여자 89.42회 이며(P=0.0025), 9분에서도 113.3회가 남자이고, 92.63mmHg는 여자로 남자가 높았다(P=0.0001). 12분도 남자가 115.46mm班g로 여자의 94.21회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006). 냉욕에 입욕시 3분과 5분에서는 남자가 여자 보다 높았으나, 9분과 12분 시점에는 여자가 남자 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4. 호흡수도 온욕에서 해당 시간에 따라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는데, 남여 각각 3분에서 19.84회와 18.78회이고 (P=0.4815), 6분에서 24.92회 및 20.57회 (P=0.0413), 9분에서 24.92회와 20.57회 (P=0.0413), 그리고 12분에서도 33.31회의 남자가 24.00회의 여자 보다 높았다(P=0.0010). 냉욕에서도 남자가 여자 보다 높았다. 5. 체온은 온욕조에 입욕시 3분에서 여자의 $37.54^{\circ}C$가 남자의 $37.31^{\circ}C$ 보다 높았고(P=0,0175), 6분에서는 남자가 $37.8^{\circ}C$로 여자의 $37.76^{\circ}C$ 보다 약간 높았으며, 9분에서도 남여 각각 $38.30^{\circ}C,\;37.97^{\circ}C$로 남자가 여자 보다 높게 나타났고(P=0.0131), 12분에서도 남자가 $38.55^{\circ}C$로 여자의 $38.14^{\circ}C$ 보다 높게 나타났다(P=0.0008). 냉욕에서는 각각 시점에서 남여가 비슷하였다. <시간에 따른 vital sign의 변화> 1. 수축기혈압은 안정시와 온욕에 입욕후 3분, 5분, 9분, 그리고 12분의 시점에서 각각 105.15 muHg, 104.69 mmHg, 104.24 mmHg, 103.03 mmHg, 그리고 96.69 mmHg로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감소하였다(P=0.3006). 냉욕시에도 100.91mmHg, 103.33 mmHg, 103.33 mmHg, 100.91 mmHg로 감소하였으나 마지막 12분에서는 103.09 mmHg로 약간 증가하였다(P=0.7566). 2. 이완기혈압은 온욕에서 수축기혈압과 비슷하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약간씩 감소하였고, 냉욕은 3분과 6분에서 약간 증가하였으나 9분에서 감소하다가 다시 12분에서 약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3. 맥박수는 온욕에서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분당 70.42회, 86.96회, 93.57회, 99.30회, 그리고 101.78회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점점 증가하였고(P=0.0001), 냉욕에서도 약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4. 호흡수는 온욕에서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는데, 각각 15.75회, 19.09회, 22.09회, 24.94회, 그리고 25.48회로 유의하게 높아졌다(P=0.0001). 냉욕에서는 안정시에서 3분 및 6분까지 각각 15.75회, 19.30회, 19.39회로 점차 증가하였으나, 9분과 12분에서는 18.67회와 18.09회로 약간 감소하였다(P=0.0176). 5. 체온은 온욕에서 역시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36.63^{\circ}C,\;37.45^{\circ}C,\;37.81^{\circ}C,\;38.12^{\circ}C$, 그리고 $38.33^{\circ}C$ 등으로 점점 증가하였는데(P=0.0001), 냉욕에서는 안정시에서 3분간에는 $36.63^{\circ}C$$37.40^{\circ}C$로 약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6분, 9분, 그리고 12분에서는 각각 $37.33^{\circ}C,\;37.37^{\circ}C,\;37.36^{\circ}C$로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P=0.0001). 따라서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온 냉욕에서 수축기 및 이완기혈압은 감소하였고, 맥약수 및 호흡수, 체온 등은 온욕에서 뚜렷한 증가를 보였고, 냉욕에서도 호흡수와 체온은 증가하였으나 맥박수는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로 환자에게 직접 적용할 수는 없으나 수치료 적용시 참고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되며, 향후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요구된다.

  • PDF

자가 섬유아세포-히알루론산 복합체를 이용한 당뇨발의 치료 (Treatment of Diabetic Ulcer Using Autologous Fibroblast-Hyaluronic Acid Complex)

  • 엄수진;한승규;구자혜;정성호;김우경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5호
    • /
    • pp.548-554
    • /
    • 2009
  • Purpose: To evaluate clinical efficacy and safety of hyaluronic acid based autologous dermal fibroblasts (Hyalograft 3D) in the treatment of diabetic foot ulcers. Methods: A total of 28 patients with diabetic ulcers were randomized to either the control group with nonadherent foam dressings(n=14) or the treatment group with autologous tissue - engineered grafts(n=14). Weekly assessment contained vital sign checks, ulcer size measurements, and wound photos. At 12th week, percentages of complete wound healing and mean healing times were compared. Safety was also monitored by adverse events. Results: Complete wound healing was achieved in 84.6% of the treatment group and 23.1% of the control group (p<0.005). The mean times of closures for the treatment versus control groups were 6.1 weeks and 10.9 weeks, respectively. No adverse events related to the study treatment occurred. Conclusion: The use of hyaluronic acid based autologous fibroblast grafts was found to be a safe and effective treatment for diabetic foot ulcers.

늑골골절 환자에서 지속적 경막외 신경차단에 의한 진통효과 (Effects Of Continuous Epidural Analgesia For Fractured Ribs)

  • 안상구;김재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9호
    • /
    • pp.1017-1022
    • /
    • 1996
  • 늑골골절을 입은 환자들은 심한 흉통으로 괴로워하며 이 통증은 기침, 심호흡과 기도세척을 방해하여 결국 무기폐와 호흡부전등을 초래할 수 있다. 통증의 완화는 환자를 편하게 해주고 효과적인 물리요법으로 객담배출을 용이하게한다. 늑골골절 환자에서 경막외 신경차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경막외 진통제을 투여한 10명은 실험군, 진통제를 근육주사한 10명은 대조군으로 정하 여 통증호소와 운동장애의 정도, 말초동맥혈 산소분압 및 폐기능(FRC, FEVI)의 변화를 입원직후와 경막외 진통제투여 시작후 12, 24시간 및 3일, 5일 그리고 7일째에 각각측정조사 하였다. 신경차단군에서 통증호소와 운동장애의 정도는 감소하였고 동맥혈 산소치는 약간 증가하였으나 의의가 없었으며 FRC와 FEVI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경막외 신경차단의 부작용은가벼웠으며 쉽게 치료되었다. 위의결과로 저자들은 늑골골절 환자에서 경막외 신경차단에 의한진통법이 동통완화효과와 폐기능 향상에 괄목할만한 효과을 나타내므로 이의 임상적 이용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 PDF

갈색세포종이 유발한 심인성 쇼크의 체외순환 보조 요법에 의한 성공적 치료 (Pheochromocytoma-induced cardiogenic shock successfully treated by extracorporeal circulation)

  • 이민영;이상배;차현서;유지홍;최의영;박종숙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4권2호
    • /
    • pp.285-289
    • /
    • 2017
  • Pheochromocytoma can present with various symptoms including cardiogenic shock and cardiac arrest. Particularly, in cases of cardiogenic shock of unknown origin, pheochromocytoma should be considered. A 20-year-old woman without any medical history visited our emergency department due to nausea, vomiting, headache, and chest pain. Echocardiography revealed severe left ventricular dysfunction. Mechanical ventilation and veno-arterial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were implemented owing to her unstable vital signs. For unstable vital sign and cardiogenic shock in a young woman without any previous medical history, pheochromocytoma was considered and diagnosed based on elevated levels of catecholamine derivatives in a 24-hour urine sample. Cardiac function recovered and ECMO was discontinued on the 5th day of hospitalization. She later underwent an elective adrenalectomy and no recurrence was found during the follow-up period. We reported a case of pheochromocytoma which was presented with cardiogenic shock in a young woman with no concomitant disease, and successfully treated with ECMO followed by an elective adrenalectomy.

전자기파 조사가 실험동물의 뇌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icrowave Irradiated on Rabbit's ICP)

  • 박진한;김성호;한동로;배장호;김오룡;최병연;조수호;이준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1권2호
    • /
    • pp.213-220
    • /
    • 1994
  • 전자기파에 조사된 후 시간경과에 따라 측정한 24마리의 가토의 뇌압을 분석한 결과 조사 직후, 조사 하루, 3일 후, 5일 후, 7일 후에 측정된 각각의 뇌압과 조사전 뇌압간에는 유의성 있는 변화는 없었고 조사 시간(10분, 20분, 30분)에 따라 나누어진 각군의, 조사 후 뇌압 변화 역시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실험으로 전자기파의 조사는 뇌압의 경미한 변화는 초래할 수 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는 일으키지 않는다고 판단된다.

  • PDF

경증의 아토피 환자에서 한약 추출물 함유 외용제에 대한 임상 연구 (A Clinical Study for the Effect of External Applications Containing Herbal Extracts on Mild Atopic Dermatitis Patients)

  • 강민서;김정범;김희택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40-55
    • /
    • 2014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s of external applications(CLANCHE SM A Clinic) containing herbal extracts on patient with atopic dermatitis. Methods : A total of 24 patients who visited Semyung Oriental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5th, 2014 to February 20th, 2014 were included in the study. In this study, the patients were treated with external applications(CLANCHE SM A Clinic) containing herbal extracts. For 4 weeks of gross examination and instrumental assesment were made before and after the study. Results : 1. In the primary endpoint, SCORAD index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line. 2. In the secondary endpoint, index of skin hydration and index of TEWL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3. In the secondary endpoint, index of skin pH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4. To evaluate the safety of the products for the human body, vital sign check were conducted and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And There were no severe adverse events during this study.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safety of the products, if used for certain period, should be safe for the human body. 5. In global assesment of efficacy, both experimenter and subjects evaluated external applications were effective. Conclusions : According to the above experiments, it is suggested that external applications(CLANCHE SM A Clinic) containing herbal extracts should be effective for the atopic dermatitis.

탁리소독음(托裏消毒飮) 함유 외용제의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for the effect of ointment contained Takrisodok-Eum on recovering the damaged skin barrier by Atopic dermatitis)

  • 오민지;유영법;임신혁;김희택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84-107
    • /
    • 2011
  • Purposes :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detect the effects of ointment contained Takrisodok-Eum on the skin barrier's recovery of the Atopic dermatitis. Methods : A total of 44 patients who visited Semyung Oriental Medical Center from April 27th, 2011 to September 20th, 2011 were included in the study. In this study, the patients were treated with Takrisodok-Eum (experimental group) and positive control group. For 8 weeks of gross examination, hematological examination and instrumental asessment were made before and after the study to examine how well the products for experimental group with those for control group in recovering the damaged skin barriers by Atopic dermatitis. Results : 1. In the primary endpoint, SCORAD Index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line in experimental group. 2. In the secondary endpoint index of skin hydration,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3. In the secondary endpoint index of TEWL,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greater statistical significance than the control group. 4. In the secondary endpoint index of skin pH, skin pH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line in both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within the normal range. 5. In the secondary endpoint index of Total IgE, Eosinophil count, IL-10, IL-13,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6. To evaluate the safety of the products for the human body, hematological examination and hematological biochemical examination, vital sign check were conducted; both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showed no abnormal level. And There were no severe adverse events during this study.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safety of the products, if used for certain period, should be safe for the human body. Conclusions : According to the above experiments, it is suggested that Takrisodok-Eum should be effective for the Atopic dermatit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