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31}^I$

검색결과 1,086건 처리시간 0.023초

국내외 수집종 구기자 잎과 줄기의 페놀화합물 함량 (Determination of Total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in Chinese Matrimony Vine's Accessions)

  • 조진웅;안태환;이석영;박기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409-417
    • /
    • 2012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보존하고 있는 구기자(Lycium chinesis Miller) 유전자원 131점의 잎과 줄기를 에탄올로 추출한 후 페놀화합물의 함량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구기자 잎의 페놀 함량은 $8.8{\sim}14.9mg\;g^{-1}$을 보였으며 $11.6{\sim}13.5mg\;g^{-1}$ 사이에는 약 60%의 유전자원이 분포되어 있었다. CB03286-89 유전자원은 총 페놀함량이 $14.9{\pm}0.3mg\;g^{-1}$으로 가장 높은 반면 CBP03310-250은 $8.8{\pm}0.2mg\;g^{-1}$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줄기에 대한 총 페놀함량은 $6.8{\sim}12.4mg\;g^{-1}$의 함량 범위를 보이고 있으며 잎보다는 상대적으로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기자 잎의 페놀화합물 중 33가지 물질을 정량 분석한 결과 China collection No.1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99797 수집종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catechin 함량은 CB03286-89에서 가장 많았다. Myricetin은 Geumsan jaerae, Japan No.1, China collection No.1, CL32-13, CB04329-13, China collection No.12 그리고 CB03286-89 등에서 분석되었지만 나머지 구기자 유전자원의 잎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줄기에 대한 페놀화합물은 잎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함량이 적었으며 99797 수집종이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으나 CB04329-13에서는 가장 적은 함량을 보였다. (+)catechin 함량은 Japan No.1이 $231.0{\pm}0.5{\mu}g\;g^{-1}$으로 가장 높았으며, myricetin은 Japan No.1, China collection No.1, China collection No.12, CB03286-89 및 99797에서 분석되었지만 나머지 구기자 유전자원의 줄기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남해 가막만의 현생퇴적층 발달특성 (Development of the Holocene Sediments in Gamak Bay of the South Sea, Korea)

  • 김소라;이광수;최동림;김대철;이태희;서영교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9권2호
    • /
    • pp.131-146
    • /
    • 2014
  • 남해대륙붕 가막만의 현생퇴적층 음향특성과 분포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고해상도 탄성파 자료와 퇴적물을 분석하였다. 표층퇴적물의 입도는 주로 $6.3{\sim}9.7{\Phi}$의 분포를 보인다. 퇴적물은 니질과 실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만으로 갈수록 입도가 감소한다. 고해상도 탄성파 자료에서 나타나는 가막만의 층서는 하부 경계면인 음향기반암 위로 2개의 퇴적층서(GB I과 II)로 구성되며 이들 층서는 중간 반사 경계면(최대해침면)에 의해 구분된다. 매우 불규칙한 형태를 보이는 음향기반암은 일반적으로 해수면 아래 약 20 m에서부터 최대 40 m 깊이에서 나타나며, 남쪽으로 갈수록 깊어진다. 하부층인 GB I은 수로를 피복하는 형태로 발달하고 있으며 무층리 반사 특징을 보인다. 이는 후기 해침동안 퇴적된 해침퇴적계열(TST)로, 조간대환경 퇴적층으로 해석할 수 있다. 최대해침면은 평균 해수면 아래 약 15 m에서부터 28 m 깊이에서 나타나며, 탄성파 단면상에서 편평하고 연속적인 반사면으로 나타난다. 최대해침면 위에 놓여있는 GB II는 투명 혹은 반투명한 음향특성, 그리고 평행한 반사 층리로 구성되며, 해수면이 현재의 위치에 도달했던 지난 6,000년 이후에 퇴적된 고해수면 퇴적계열(HST)로 해석된다. 특히, GB II 퇴적층은 고해수면 반사 경계면에 의해 2개의 층(GB II-a and II-b)으로 세분화되며 이는 바람, 해수 유동량, 그리고 조류에 의해 구분된 것으로 생각된다.

탈수한 $Ag_{12-x}Na_x-A$ (x = 4, 6, 및 8)를 루비듐 증기로 처리한 세가지 결정구조 (Three Crystal Structures of Dehydrated $Ag_{12-x}Na_x-A$ (x = 4, 6, and 8) Treated with Rubidium Vapor)

  • 이현도;김운식;박종열;김양
    • 대한화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86-196
    • /
    • 1994
  • $Ag^+$이온이 부분적으로 이온 교환된 zeolite A를 완전히 탈수한 결정 Ag_4Na_8-A, Ag_6Na_6-A, 및 Ag_8Na_4-A를 $250^{\circ}C에서$ 4시간 동안 약 0.1 torr의 Rb 증기로 처리하였다. 세 가지의 결정구조는 $22(1)^{\circ}C$에서 입방공간군 $Pm{\bar3}m$ (a = 12.264(4) $\AA$, a = 12.269(1) $\AA$, and a= 12.332(3) $\AA$임)을 이용하여 단결정 X-선회절법으로 해석하였고, Full-matrix 최소 자승법 정밀화 계산에서 각각 I > $3\sigma(I)$인 131개, 108개 및 94개의 독립반사를 사용하여 각각 최종오차인수 R=0.056,0.068 및 0.070까지 정밀화시켰다. 각각의 구조에서 $Rb^+$이온은 3개의 다른 결정학적 위치에서 발견되었다. 단위세포당 3개의 $Rb^+$ 이온은 8-링 중심에 위치하고 있고, 약 6.0 ~ 6.8개의 $Rb^+$ 이온은 큰 동공의 6-링과 마주보는 위치의 3회 회전축상에서 발견되었으며 약 2.5개의 $Rb^+$이온은 큰 소다라이트 동공내에서 발견되었다. 또한 Ag종은 2개의 서로 다른 결정학적 위치에서 발견되었다. 약 0.6~1.0개의 $Ag^+$이온은 4-링과 마주보는 위치에 존재하였고, 약 1.8~4.2개의 Ag원자는 큰 동공의 중심에서 헥사실버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다. 8-링 위치가 $Rb^+$이온으로 모두 차 있어서 $Ag^0$가 골조 밖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각각의 헥사실버 클러스터는 6-링과 8-링의 $Rb^+$ 이온 및 4-링의 $Ag^+$이온에 의해 안종화된다.

  • PDF

서해 중동부 연안수역과 경기만에서 일차 생사력과 동화계수에 관한 연구 (Primary Productivity and Assimilation Number in the Kyonggi Bay and the mid0eastern coast of Yellow Sea)

  • 강연식;최중기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37-246
    • /
    • 1992
  • 서해 중동부 연안수역과 경기만에서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일차 생산력과 동화계수 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규명하고자 1989년 3월부터 1990년 10월까지 chl-a 농도, 광 조건, 수온, 염분도 및 투명도 등을 현장에서 조사하였다.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chl-a 농도는 서해 중등부 연안수역에서 0.78~4.79 ug/l이었으며, 경기만에서는 0.91~4.3 ug/l의 변화폭을 보였다. 서해 중등부 연안수역에서 일일 평균 일일 생산력과 년 평균 생산력은 각각 37.23~1104.44(평균 361.54) mgC/m$^2$/d,131.96 mgC/m$^2$/yr이었으며 경 기만에서는 37.01~1028.46(평균236.89)mgC/m$^2$/d,86.46mgC/m$^2$/yr 으로 서해 중동부 연안수역이 경기만보다 다소 높게 측정되었다. 동화계수는 살펴보면 서해 중동부 연안 수역에서는 1.13~11.03mgC/mg chl-a/hr 이었으며, 경기만에서는 1.47~24.28mgC/mg chl-a/hr으로 조사되어 경기만이 다소 높게 측정되었다. 연구대상 해역에서는 다른 해 역에 비해 조사된 측정치들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P-I curve에서의 a(light utilization efficiency)는 서해 중동부 연안 수역에서 0.01~0.62[mgC/mg chl-a/hr] 이었으며, 경기만에서는 0.03~0.93[mgC/mg chl-a/hr]/[uE/m$^2$/sec]으로 조사되어 경 기만에 출현하는 식물플랑크톤이 좀더 빚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빛 에 대한 식물플랑크톤의 생리적인 적응상태를 지시하는 I/SUB k/값은 서해 중동부 연 안수역에서 평균120.37uE/m$^2$/sec 이었으며, 경기만에서는 48.35uE/m$^2$/sec으로 측정 되어, 경기만에서 출현하는 식물플랑크톤이 서해 중동부 연안수역에서 출현하는 식물 플랑크톤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광에 적응되어 있었다.

  • PDF

갑상선암의 방사성요오드치료를 위한 저요오드식이 방법 차이에 따른 소변 중 요오드/크레아티닌 비의 비교 (Comparison of Urine Iodine/Creatinine ratio between Patients following Stringent and Less Stringent Low Iodine Diet for Radioiodine Remnant Ablation of Thyroid Cancer)

  • 노지호;김병일;하지수;장세중;신혜영;최준혁;김도민;김종순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0권6호
    • /
    • pp.322-326
    • /
    • 2006
  • 목적: 갑상선암 방사성요오드 치료를 위한 전처치로 1주${\sim}$2주간 저요오드식이를 시행하는 것이 국제 권고안에서 권고되고 있으나 각 병원마다 저요오드식이를 자체적인 교육방법에 따라 시행하고 있으며 저요오드식이를 통해 체내 요오드량을 효과적으로 낮추었는지에 대한 측정도 대부분의 병원에서 시행되지 않고 있어, 연구자들의 병원에 의뢰된 환자들의 소변 내 I/Cr비를 측정하여 고전적인 엄격한 저요오드식 이를 1주일간 시 행하는 방법과 덜 엄격한 저요오드식이를 2주일간 시행하는 방법을 비교하여 그 적절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4월 10일부터 6월 19일까지 본원에 의뢰된 2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제한 및 허용식품 목록, 영양사 교육 유무, 예시 식단 유무, 저요오드식이 기간을 비교하여 가장 빈도가 높은 2가지 방법, 즉 관용적인 기준을 채택하는 군과 엄격한 제한식품을 설명한 군으로 나누어 두 군의 아침 소변을 채집, iodide selective electrode method를 사용하여 소변 내 요오드량을 측정하고 이를 소변 내 크레아티닌으로 나누어 I/Cr비를 구하였다. 두 군의 결과는 t-test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결과: 두 군간의 특성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각 군에서의 소변 내 I/Cr 비는 2주간 덜 엄격한 저요오드식이 군에서 $289.75{\pm}188.24{\mu}g/g$, 1주간 엄격한 저요오드식이를 시행한 군에서는 $127.87{\pm}78.52{\mu}g/g$으로 측정되었으며 1주간 엄격하게 시행한 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p=0.008). 2주간 덜 엄격한 저요오드식이를 시행한 군에서는 14명중 3명(21.42%), 1주간 엄격한 저요오드식이를 시행한 군에서는 13명중 6명(46.15%)이 방사성요오드치료를 위한 적정한 수준으로 제시된 소변 내 요오드배설량 $100{\mu}g/g$이하를 만족했다. 결론: 2주간 덜 엄격한 저요오드식이를 시행한 군에서 1주간 엄격한 교육을 시행한 군보다 높은 소변 내 I/Cr비가 나온 것을 볼 때 교육 방법을 엄격하게 시행하지 않고 간단하게 변형된 방법을 사용할 경우 기간을 길게 하더라도 치료에 필요한 적정 수준의 체내 요오드량 감소를 달성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1주간 엄격한 저요오드식이를 시행한 군에서도 체내 요오드량의 감소가 충분히 감소하는 비율이 여전히 낮기 때문에 엄격한 저요오드식이 방법을 2주간 시행하는 것이 더바람직하리라 기대된다.

안와바닥과 내벽의 두께에 대한 전향적 생체 계측학적 연구 (Prospective Morphometric Study for Orbital Floor and Medial Wall Thickness in Vivo)

  • 박창식;김용규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67-70
    • /
    • 2009
  • Purpose: Anatomical basis around orbit can be helpful in periorbital surgery, and there are many articles about measurement between periorbital reference points. In 1967, Jones and Evans measured the orbital wall thickness of Asian cadavers and this article has been cited more than 50 times. But there is no research in orbital thickness in Vivo. Author's idea was based on difference between live human and human cadaver. Material & Method: We conducted this study from 63 consecutive blow out fracture patients between January, 2000 to june, 2005 by collecting the bone fragments and measured the thickness of that fragment using vernia calipers. Anatomically, orbital floor is separated two area by inferior orbital fissure and we measured each area. Three areas were zone I (medial wall), zone II (medial to inferior orbital fissure) and zone III (lateral to inferior orbital fissure). Result: When the overall results were considered, the thickness of Zone I (medial wall of orbit) was average $0.131{\pm}0.006mm$ in male and $0.129{\pm}0.007mm$ in female and Zone II (medial side of orbital floor) was $0.251{\pm}0.005mm$ in male and $0.245{\pm}0.006mm$ in female, Zone III (lateral side of orbital floor) was $0.237{\pm}0.006mm$ in male and $0.226{\pm}0.006mm$ in female.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orbital wall thickness of male and female. Also, orbital wall thickness of adults measured $0.130{\pm}0.005mm$, $0.250{\pm}0.005mm$, $0.232{\pm}0.006mm$ in Zone I, Zone II, Zone III and $0.128{\pm}0.006mm$, $0.233{\pm}0.005mm$, $0.215{\pm}0.007mm$ in Zone I, Zone II, Zone III from childs, and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adult and child. Conclusion: This article is the first study about Korean orbital wall thickness, and can be helpful to periocular surgery.

인체(人體) 활막세포(滑膜細胞)를 대상으로 한 봉양침액(蜂藥鍼液)의 염증(炎症) 치료(治療) 기전(機轉) 연구(硏究) (The Study of Anti-inflammtory Mechanism with Bee Venom on Human Synoviocytes)

  • 배철우;송호섭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1권3호
    • /
    • pp.121-131
    • /
    • 2004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ion how the bee venom(BV) prevents inflammation in human cell. Methods : we induced inflammation on human synoviocyte cell by lipopolysaccharide(LPS) and sodium nitroprusside(SNP), treated the bee venom and melittin on this cell, surveyed the expression of Nisotric oxide(NO),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iNOS), Cyclooxygenease-2(COX-2), cytolic phospholipase $A_2(cPLA_2)$, Prostaglandin $E_2(PGE_2)$ and nuclear factor-${\kappa}B$(NF-${\kappa}B$), and got below conclusions. Results : Compared with control 1. Expressions of LPS-induced $PGE_2$(BV 1, $5{\mu}g/m{\ell}$) and SNP-induced PGE2(BV 0.5, 1, $5{\mu}g/m{\ell}$)were decreased significantly. 2. Expressions of LPS-induced NO(BV 0.5, 1, $5{\mu}g/m{\ell}$) and SNP-induced NO(BV 1, $5{\mu}g/m{\ell}$)were decreased significantly. 3. Expressions of LPS-induced COX-2(BV 1, $5{\mu}g/m{\ell}$) and SNP-induced COX-2(BV $5{\mu}g/m{\ell}$)were decreased significantly. 4. Expressions of LPS-induced iNOS(BV 0.5, 1, $5{\mu}g/m{\ell}$) and SNP-induced iNOS(BV $5{\mu}g/m{\ell}$) were meanless by all dose. 5. Expressions of LPS-induced $cPLA_2$(BV 1, $5{\mu}g/m{\ell}$) and SNP-induced cPLA2(BV 1, $5{\mu}g/m{\ell}$)were decreased significantly. 6. Expressions of LPS-induced NF-${\kappa}B$(BV $5{\mu}g/m{\ell}$, melittin $5{\mu}g/m{\ell}$) and SNP-induced NF-${\kappa}B$(BV 0.5, 1, $5{\mu}g/m{\ell}$, melittin 5, $10{\mu}g/m{\ell}$)were decreased significantly. 7. Expressions of LPS-induced NF-${\kappa}B$ binding activity (BV $1{\mu}g/m{\ell}$, melittin $5{\mu}g/m{\ell}$, melittin $5{\mu}g/m{\ell}$+ DTT 20mM)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Conclusion : The bee venom treatments on synoviocyte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LPS and SNP induced NO, iNOS, COX-2, cPLA2, PGE2 and NF-${\kappa}B$, these results suggest that bee venom is effective to inflammations and establish the process of bee venom therapy, so we expect active use of bee venom to control the inflammation.

  • PDF

스트레스 음파 처리에 따른 아메리카잎굴파리(Liriomyza trifolii)의 생리 변화와 프로테오믹 분석 (Effects of Sound Stress on Physiological Processes of the American Leafminer, Liriomyza trifolii, and Proteomic Analysis)

  • 박정아;;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31-139
    • /
    • 2011
  • 본 연구는 음파 처리에 따른 아메리카잎굴파리(Liriomyza trifolii)의 생리 변화를 발육 시기별로 분석하였다. 유충의 섭식량은 섭식을 통해 형성된 잎 내부 갱도의 길이로 분석했다. 이때 5,000 Hz (95 dB)의 음파 처리는 섭식 행동을 크게 둔화시켰다. 이러한 스트레스 음파는 또한 용발육에 영향을 주어 315 - 5,000 Hz 음파 범위에서 발육 지연 효과를 나타냈고, 1,000 - 5,000 Hz 음파 범위에서 우화를 억제하였다. 스트레스 음파는 암컷의 산란 행동을 억제시켰으나 성충의 주광성 행동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스트레스 음파(5,000 Hz, 95 dB)를 받은 용은 이차원 전기영동 분석 결과 단백질 발현 양상에서 무처리구와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특정 단백질에 대한 MALDI-TOF 분석 결과는 trafficking protein particle complex I, triosephosphate isomerase, hypothetical protein TcasGA2_TC013388, polycystin-2, paraneoplastic neuronal antigen MA1 및 tropomyosin I (isoform M)의 단백질들이 무처리구에서 발견되고, 음파 처리구에서는 소멸되었다. 반면에 DOCK9, cytoskeletal keratin II 및 $F_0F_1$-ATP synthase beta subunit은 스트레스 음파 처리에 따라 새롭게 나타나는 단백질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스트레스 음파는 아메리카잎굴파리의 살충제에 대한 감수성을 크게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는 아메리카잎굴파리의 생리 과정을 교란하는 스트레스 음파가 작용한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이러한 스트레스 음파를 이용하여 아메리카잎굴파리에 대한 새로운 물리적 해충 방제 기술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Silhouette의 변천(變遷)에 관(關)한 고찰(考察) - 여자(女子)의복(衣服)을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the Change of Silhouette (Mainly on Wonen's Costume))

  • 이순홍
    • 복식
    • /
    • 제1권
    • /
    • pp.131-150
    • /
    • 1977
  • The new sense of costume is controlled by silhouette. The sense of the times is sensitively reflected in silhouette. For we can perceive the transition of the times through silhouette it is significant to know what course of changes the western costume, which almost became the international costume today, had been going through. I began with the definition and condition of silhouette in this study of silhouette. I took a general survey of silhouette study-ing various kinds of silhouette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material and silhouette. I sought the factors which causec the changes in costume and also studies the process of the changes The process of the costume changes is studied by the order of ancient times, mediaeval times, mordern ages and present days. I selected one representative silhouette of women's costume of each period. The darpery form of the ancient time's costume became the tunic form and the tunic form became the tight tunic form today. From this we can perceive that the Gothic period was the limitation of westrn costume. It means that the ancient times was the period of drapery, the midiaeval times was the period of transition from tunic into tight tunic and the modern ages is the period of development of tight tunic. In Egyptian period thin materials were used for costume which was worn in exposed style. In Greek period the costume had the drapery style. The Roman's magnificent costume resembled the Greek's. The mediaeval costume was formed in Byzantium where the northern Europe style of costume was mixed with the gay oriental costume. The Romanesque and Gothic period followed the Byzantine period completing the midiaeval costume. Tight tunic is developed in modern ages. Italian fashion of tight tunic was the first fashion of the modern ages. Germanic and spanish fashion came after it. As Baroque period opened the French royal costume became magnificent and added Brition fashish to it. With the commencement of the modern ages the royal fashion came to an end. Modernages became peaple's period and the costume was simplified. After the First world wav designers and fashion books appeared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us the period of fashion industry came. For the designers in 20th country competed to create new designs, the fashion was changed year by year. The simplicity and practicality are not ignored in design, arid the designers added more atristic sense to dresses.

  • PDF

항암활성 수종생약의 B16-Fo와 A549 암세포에 대한 항전이 효과( I ) (Antimetastatic effect of several crude drugs with antitumor activity on B16-Fo and A549 cells ( I ))

  • 김성훈;유시용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1-131
    • /
    • 1996
  • For the development of antimetastatic agent 41 kinds of crude drugs were used for the evaluation of inhibitory effect of several crude drugs on cell adhesion of pulmonary cancer cells and platelet aggregation.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Water extracts of crude drugs inhibited cell adhesion of A549 to complex extracelluar matrix over 40 % of contol were Houttuyniae Herba, Mylabris, Rhei Radix et Rhizoma, Meliae Cortex, Ferula Resina, Oldenlandiae diffusae Herba at the higher concentration of $10^{-3}g/ml$ while those inhibiting cell adhesion of Bl6-Fo over 40 % of control were $10^{-5}g/ml$ of Houttuyniae Herba, Aurantii Fructus, Lithospermi Radix, Zedoariae Rhizoma. Prunellae Spica, Foeniculi Fructus, Rbei Radix, Scutellariae Radix, Meliae Cortex, Ferula Resina and Oldenlandiae diffusae Herba. 2. MeOH extracts of crude drugs at the concentration of $4{\times}10^{-4}g/ml$ inhibiting cell adhesion of A549 specifically to single extracelluar matrix over 40 % of control were Lithospermi Radix, Agrimoniae Herba, Rhei Radix and Ferula Resina to collagen I, Houttuyniae Herba, Lithospermi Radix, Bupleuri Radix, Salviae miltiorrhizae Radix, Orostachys Herba, Sappan Lignum, Meliae cortex ferula Resina and Coicis Semen to collagen Ⅳ, Mylabris, Agrimoniae Herba to laminin, Houttuyniae Herba and Meliae Cortex to fibronectin. 3. NeOH extracts of crude drugs at the concentration of $4{\times}10^{-4}g/ml$ inhibiting cell adhesion of B16-Fo specifically to single extracelluar matrix over 60 % of control were Lithospermi Radix, Salviae miltiorrhizae Radix, Meliae Cortex and Ferula Resina to collagen I, Lithospermi Radix, Bupleun Radix, Saiviae miltiorrhizae Radix, Ferula Resina and Acanthopanacis Cortex to collagen Ⅳ, Bupleuri Radix, Orostachys Herba to laminin, Houttuyniae Herba to fibronectin. 4. MeOH extracts of crude drugs inhibiting platelet aggregation over 40% of ADP control were at the concentration of $50{\mu}g/m{\ell}$ of Houttuyniae Herba, Angilicae gigantis Radix, Zedoariae Rhizoma. Coicis Semen and $100{\mu}g/m{\ell}$ of Ferula Resina, Orostachys Herba, Salviae miltiorrhizae Radix, Curcumac Radix, Carthami Flos, Lithospermi Radix, Gleditsiae Spina, Sappan Lignum, Acanthopanacis Cortex.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veral crude drugs including Ferula Resina, Houttuyniae Herba, Lithospermi Radix and Salviae miltiorrhizae Radix chiefly have more possibility to exert antimetastatic activity and require in vivo antimetastatic stud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