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mary Productivity and Assimilation Number in the Kyonggi Bay and the mid0eastern coast of Yellow Sea

서해 중동부 연안수역과 경기만에서 일차 생사력과 동화계수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1992.09.01

Abstract

In order to examine controlling factors on primary productivity and assimilation Number of phytoplankton, chlorophyll-a concentrations, light intensity, temperature, salinity and transparency were measured in the Kyonggi Bay and in the mid0eastern coast of Yellow Sea from March 1989 to October 1990. Chlorophyll-a concentration of phytoplankton ranged from 0.91 to 4.30 ug/; in the Kyonggi Bay, and from 0.78 to 4.97 ug/l in the mideastern coast of Yellow Sea. Daily averaged primary productivities and annual primary productivities of phytoplankton ranged from 37.23 to 1104.44 (averaged 361.54) mgC/m$^2$/day, 131.96hC/m$^2$/yr in the mid0eastern coast of Yellow Sea, respectively. Assimilation Number of phytoplankton ranged from 1.47 to 28.28 mgC/mg chl-a/hr in the Kyonggi Bay, and of phytoplankton in the Kyonggi Bay was higher than that of the mid0eastern coast of Yellow Sea. Light utilization efficiencies (a) in the P-I curve ranged from 0.03 to 0.93 [mgC/mg chl-a/hr]/[ue/m$^2$/sec]in the Kyonggi Bay, and from 0.01 to 0.62 [mgC/mg chl-a/hr]/[ue/m$^2$/sec] in the mid-eastern coast of Yellow Sea. Their results indicated that phytoplankton in the Kyonggi Bay utilized light more efficiently than those of the mid0eastern coast of Yellow Sea. The average values of I/SUB k/ were 48.15 ue/m$^2$/sec in the Kyonggi Bay, and 120.37 uE/m$^2$/sec in the mid-eastern coast of yellow Sea. It means the phytoplankton populations in the Kyonggi Bay seem to be adapted to lower light intensity than those of the mid-eastern coast of Yellow sea.

서해 중동부 연안수역과 경기만에서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일차 생산력과 동화계수 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규명하고자 1989년 3월부터 1990년 10월까지 chl-a 농도, 광 조건, 수온, 염분도 및 투명도 등을 현장에서 조사하였다.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chl-a 농도는 서해 중등부 연안수역에서 0.78~4.79 ug/l이었으며, 경기만에서는 0.91~4.3 ug/l의 변화폭을 보였다. 서해 중등부 연안수역에서 일일 평균 일일 생산력과 년 평균 생산력은 각각 37.23~1104.44(평균 361.54) mgC/m$^2$/d,131.96 mgC/m$^2$/yr이었으며 경 기만에서는 37.01~1028.46(평균236.89)mgC/m$^2$/d,86.46mgC/m$^2$/yr 으로 서해 중동부 연안수역이 경기만보다 다소 높게 측정되었다. 동화계수는 살펴보면 서해 중동부 연안 수역에서는 1.13~11.03mgC/mg chl-a/hr 이었으며, 경기만에서는 1.47~24.28mgC/mg chl-a/hr으로 조사되어 경기만이 다소 높게 측정되었다. 연구대상 해역에서는 다른 해 역에 비해 조사된 측정치들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P-I curve에서의 a(light utilization efficiency)는 서해 중동부 연안 수역에서 0.01~0.62[mgC/mg chl-a/hr] 이었으며, 경기만에서는 0.03~0.93[mgC/mg chl-a/hr]/[uE/m$^2$/sec]으로 조사되어 경 기만에 출현하는 식물플랑크톤이 좀더 빚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빛 에 대한 식물플랑크톤의 생리적인 적응상태를 지시하는 I/SUB k/값은 서해 중동부 연 안수역에서 평균120.37uE/m$^2$/sec 이었으며, 경기만에서는 48.35uE/m$^2$/sec으로 측정 되어, 경기만에서 출현하는 식물플랑크톤이 서해 중동부 연안수역에서 출현하는 식물 플랑크톤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광에 적응되어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