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ta}$-phellandrene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36초

솔잎 추출물의 성분 분석 및 염색물의 건강안전 기능성 평가 (Components of Pine Needles Extract and Functionality of the Dyed Fabrics)

  • 전미선;박명자
    • 복식문화연구
    • /
    • 제18권2호
    • /
    • pp.371-381
    • /
    • 2010
  • The pine needles can be used for four seasons in normal living and it can be taken friendly everywhere as it is distributed over 50% in Korea. The pine needles consist of vitamins, protein, minerals, essential oil and enzyme related to antimicrobial activity. It has effect like high blood pressure, neuralgia and hanged over by terpene, glucokinin, rutin, apigenic acid and tannin. Also the extract of them can be used for dyeing of fabrics. However, the extract components and effects of them are not well known ye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olatile components of the pine needles extract and functionality. The pine needles extract was dyed into various fabrics(nylon, silk, wool and soybean) and mordanted with Al, Cu, Cr, Fe and Sn. The extracted aroma compounds were compar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The major volatile compounds of pine needles verified by using SPME were alpha-pinene, beta-pinene, beta-phellandrene, caryophyllene, ethanon, benzen. A total of 15 compounds were identified by using the SPME fibers. In the UV-visible spectra, the maximum absorption of wavelength of the pine needles ethanol extract appeared at 460, 630nm for chlorophyll component and at 237, 281nm for tannin component with the pine needles distilled water extract. Most of sample showed high antibacterial effect in none mordant but wool fabric showed high antibacterial effect in mordants. The result of UV block test showed a superior ability of blocking ultraviolet ray infiltration in all sample.

가열온도에 따른 영귤 과즙의 성분 변화 (Changes of Components of Citrus Sudachi Juice Heated at Various Temperatures)

  • 김영동;이영철;오영주;강영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38-244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가열온도에 따른 영귤 과즙의 성분 변화를 조사하여 영귤 가공의 기초 자료로 사용하고자 총산도, $^{\circ}Brix$, pH, 유기산, 유리 아미노산, 비타민 C, 나린진, 헤스페리딘, 네오헤스페리딘 함량, 향기 성분을 분석하였다. 영귤 과즙에는 유기산이 oxalic, citric, malic acid가 존재하였으며, citric acid가 92.8-94.1%로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그외 malic acid와 oxalic acid 순으로 소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열온도가 $40^{\circ}C$에서 $90^{\circ}C$로 증가할수록 총 유기산의 함량은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가열 전에 비하여 $90^{\circ}C$로 가열 후 약 0.3%가 감소하였다. 영귤 과즙에 존재하는 유리 아미노산은 alanine, threonine, proline, aspargine과 aspartic acid, serine, tyrosine, tryptophane이 주요 유리 아미노산이었다. Arginine, valine, glycine, isoluecine, leucine, histidine등은 소량 존재하였다. 가열함에 따라 유리 아미노산 총량과 개개의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감소하였다. 영귤 과즙에는 비타민 C가 21.3mg% 존재하였으나, 가열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여 $90^{\circ}C$에서는 17.3mg%가 존재하였다. 영귤 과즙에 존재하는 나린진, 헤스페리딘, 네오헤스페리딘 함량은 304mg%였으며, 가열함에 따라 297.0mg%로 약간 감소하였다. 영귤 과즙 향기 성분 중 limonene이 가장 많고, ${\gamma}-terpinene,\;{\alpha}-phellandrene$, myrcene, ${\alpha}-pinene$ 등이 주요 향기 구성 성분으로 나타났다. ${\alpha}-Thujene$는 가열하기 전 과즙에는 존재하였으나, $50^{\circ}C$ 이상 가열한 과즙에는 존재하지 않았다. 반면, ${\alpha}-terpinolene$, terpinene-1-ol, ${\beta}-terpineol$, $cis-{\beta}-terpineol$, ${\alpha}-muurolene$, bicyclo(3.2.0)hept-6-ene, mentha-1.4.8-triene 등은 가열하지 않은 원액과 $70^{\circ}C$까지 존재하지 않았으나, $90^{\circ}C$ 가열시에 새로 생성되었다.

  • PDF

경상도 전통마른오징어 식해의 향기성분 및 기능성 (Functional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Traditional Kyungsando Squid sikhe)

  • 최청;이희덕;최희진;손준호;김성;손규목;차원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45-352
    • /
    • 2001
  • 경상도 전통마른오징어 식해를 제조하여 $5^{\circ}C$에서 보관하면서 GC와 GC-MS를 이용하여 향기성분의 원인 물질을 분석, 동정하였다. 식해에서 동정된 물질 중에서 ${\alpha}-zingibirene$이 19.73 mg/kg으로 전체상대 농도에서 가장 높았으며 (Z)-Di-2-propenyl disulfide, ${\alpha}-curcumene$, methyl alkyl disulfide, $(E-E)-{\alpha}-farnesene$, pentanol, z-citral, $3-ethyl-1,2-dithi-5-ene-{\beta}-elemene$, acetic acid 및 ${\beta}-phelland$ rene의 함량 순으로 동정되어 이러한 성분들이 식해의 주요성분으로 나타났다. 식해의 향기성분은 hydrocarbone류가 49종, 알데히드류가 15종, 알콜류가 33 종, 케톤류 및 에스테류 11 종을 포함하여 총 162 종을 동정하였다. 식해의 메탄올 추출물을 용매 분획하여 얻은 각 분획물의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200\;{\mu}m$ DPPH radical을 50% 환원시키는데 필요한 $SC_{50}$ 값이 헥산과 물층에서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ethylacetate 층은 $310.64\;{\mu}g/mL$, butanol 층은 $1096.49\;{\mu}g/mL$으로 나타났다. 혈압상승 억제효과를 살펴본 결과 헥산과 물 분획물에서는 전혀 효과가 없었으며 ethylacetate층에서는 $IC_{50}$이 1.623 mg/mL, butanol 층에서는 1.303 mg/mL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xanthine oxidase에 대한 $IC_{50}$은 ethyl acetate 층은 3.591 mg/mL, butanol 층은 2.083 mg/mL로 나타났다.

  • PDF

소나무 천연집단(天然集團)의 변이(變異)에 관(關)한 연구(硏究)(III) -주왕산(周王山), 안면도(安眠島), 오대산(五臺山) 소나무집단(集團)의 차대(次代)의 유전변이(遺傳變異)- (The Variation of Natural Population of Pinus densiflora S. et Z. in Korea (III) -Genetic Variation of the Progeny Originated from Mt. Chu-wang, An-Myon Island and Mt. O-Dae Populations-)

  • 임경빈;권기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6-63
    • /
    • 1976
  • 1974년(年) 천연(天然)소나무집단(集團)에 대한 유전적변이(遺傳的變異)를 분석(分析)하고져 먼저 경북(慶北) 청송군(靑松郡) 소재(所在) 주왕산(周王山)소나무림(林), 충남(忠南) 서산군(瑞山郡) 소재(所在) 안면도(安眠島) 소나무림(林), 그리고 강원도(江原道) 평창군(平昌郡) 소재(所在) 소나무림(林)을 대상(對象)으로하여 각(各) 집단(集團)에서 되도록 소면적(小面積)의 범위내(範圍內)에 서있는 소나무 개체(個體)를 각(各) 20주(株)씩 총 60주(株)를 택(擇)하여 그 모수(母樹)에 대한 형태학적(形態學的) 특성(特性)등을 조사측정(調査測定)하고 집단간(集團間)에 보이는 차이(差異) 그리고 한 집단내(集團內)에 있는 각개체수목(各個體樹木)의 형질(形質)을 조사보고(調査報告)한바 있다(제일보고문(第一報論文). 1974년(年) 가을에 가계별(家系別)로 종자(種字)을 채취(採取)하여서 가계별(家系別) 및 산지별(産地別)의 차이(差異)를 분석(分析)하고 동시(同時)에 그 종자(種字)를 파종하여서 1-0묘(苗) 및 1-1묘(苗)를 대상(對象)으로 생장인자(生長因子)에 대한 측정(測定)을 하고 그 유전력(遺傳力)을 계산(計算)해 보았다. 그밖에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 또는 monoterpene등의 함량(含量)의 차이(差異)를 분석(分析)해 보았다. 종자(種字)의 형태학적(形態學的) 특성(特性)에 있어서는 집단간(集團間) 또 가계간(家系間)에 유의차(有意差)를 보이지 않는 것도 있었으나 대체(大體)로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었다. 그리고 각형질간(各形質間)의 상관(相關)을 보았는데 구과폭(毬果幅)과 종자익(種字翼)의 폭(幅), 구과장(毬果長)과 종자익(種字翼)의 길이간(間), 그리고 구과(毬果) 생중량(生重量)과 종자중량간(種字重量間)에는 정(正)의 상관(相關)이 보였다. 묘고(苗高)와 근원경(根元徑)의 성장(成長)에 있어서는 가계간(家系間) 그리고 집단간(集團間)에 차이(差異)가 인정되었다. 묘고(苗高)의 유전력(遺傳力)은 집단(集團)의 평균치(平均値)를 가지고 분석(分析)하였다. 즉 집단(集團)에 관계(關係)되는 분산(分散)을 유전분산(遺傳分散)으로 보고서 유전력(遺傳力)을 계산(計算)해 보았는데 1-0묘(苗)의 묘고(苗高)에서는 0.29, 1-1묘(苗)에서는 0.14가 그리고 근원경(根元徑)에 있어서는 1-0묘(苗)는 0.15, 1-1묘(苗)에서는 0.06이였다. 기공열수(氣孔列數)에 있어서는 집단간차이(集團間差異)가 있었으나 거치밀도(鋸齒密度)에는 차이(差異)가 없었다. 침엽(針葉)의 특성(特性)에 관(關)해서는 모수(母樹)와 차대간(次代間)에 상관(相關)이 없었다.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은 집단간차이(集團間差異)는 보였으나 가계간차이(家系間差異)는 없었다. monoterpene의 성분(成分)에 있어서는 myrcene과 ${\beta}$-phellandrene의 함량(含量)으로 집단차(集團差)를 볼 수 있었다.

  • PDF

한우 수정란 생산에 있어서 체외성숙의 생물학적 요인 III. 소 난포란의 체외성숙에 있어서 단백질 변화

  • 박용수;이재협;변명대;박흠대
    • 한국발생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발생생물학회 2003년도 제3회 국제심포지움 및 학술대회
    • /
    • pp.117-117
    • /
    • 2003
  • 체외에서 한우 난포란의 감수분열과 배발달 능력의 획득에는 단백질 합성이 수반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와 관련된 연구 보고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본 실험은 난자의 핵성숙과 관련된 세포질내 단백질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체외성숙 시간에 다른 배발달율과 세포질내 단백질을 비교하여 배발달능력 획득과 관련 있는 단백질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한우 난소에서 2-8mm의 가시난포로부터 난포란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난포란은 10% FBS와 호르몬이 첨가된 TCM199 용액에서 18시간 또는 24시간 체외성숙을 실시하였다. 난자 세포질내 단백질 변화는 2D gel electrophoresis를 이용하였고,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낸 spot은 peptide mass fingerprinting을 통하여 단백질 동정을 실시하였다. 체외수정은 fer-TALP 용액을, 체외배양은 CR1aa 용액을 배양 3일째까지는 0.3% BSA, 그 이후에는 10% FBS와 난관상피세포를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은 t-test를 이용하였다. 난자의 세포질에 대한 이차원전기영동 결과 29개의 단백질 spot들을 확인하였다. 한편 체외성숙 18시간째에 PB가 출현된 난자는 PB가 출현되지 않은 난자에 비하여 15개의 spot에서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이들 중 4개의 단백질 spot은 낮았고, 11개 spot의 수준은 높은 경향이었다. 체외성숙 18시간째와 24시간째의 배발달율을 조사한 결과 18시간째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배반포 발달율을 나타냈다. 그리고 체외성숙 18시간과 24시간째 난자의 세포질내 단백질 spot들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PB가 출현된 난자 세포질에서 단백질의 변화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그러나 2개의 단백질 spot은 상반된 경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난자의 핵성숙과 관련 있는 15개의 spot을 확인하였고, 이들 단백질 spot중에서 2개가 배발달 능력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보다는 육질등급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육질 1등급에서 배발달율이 낮은 이유는 육질 향상을 목적으로 암소를 비육 하는 경우 발생하는 번식장애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각각 가장 높았다. 배양 8일째 배반포의 세포수에 있어서 총세포수와 TE 세포수는 차이가 없었으나, ICM 세포수가 l0mg 첨가군에서 가장 높았다. 본 실험 결과에서 체외성숙 배지에 NEAA와 EAA 첨가가 배발달율에는 효과가 없었지만, 첨가농도의 증가에 따라 ICM 세포수가 증가하였다. 한편 체외성숙 배지에 LAH 첨가는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배발달율은 낮았지만 ICM 세포수는 증가하였다.에 Csk가 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성적 성숙에 따른 생쥐 정소 내 Src-Csk loop의 발현과 Src kinase 활성의 변동은 정소 내 간충조직, 세정관 상피의 증식 및 기능적 분화 과정을 매개하는 생리적 활성분자 수용체 하위의 신호전달 과정에 Src-Csk loop에 의한 조절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rugrene의 향기성분이 주요 성분군으로 확인되었다. 2. 생강나무에서 생강의 향기를 발산하는 성분으로는 $\beta$-myrcene, o-terpinolene, phellandrone, ι-limonene, $\beta$-eudesmol, $\delta$-cadinone, elemol, trans-caryophyllene으로 동정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phellandrene, $\beta$-eudesmol이 주된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 확인하였다. 유의적인 관련성이 나타났고, 복부 비만의 지표인 허리엉덩이둘레비는 GPT, alkaline phosphatase, 공복시 혈당 및 MCV 등 다양한 건강지표와 관련성을 나타내어 향후 비만에 있어 다양한 혈액 성상의 변화 및 역할규명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hat

  • PDF

Comparison of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from Three Conifer Trees; Pinus densiflora, Cryptomeria japonica, and Chamaecyparis obtusa

  • Lee, Jeong-Ho;Lee, Byung-Kyu;Kim, Jong-Hee;Lee, Sang-Hee;Hong, Soon-Kw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4호
    • /
    • pp.391-396
    • /
    • 2009
  • The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effects of essential oils extracted from three coniferous species, Pinus densiflora, Cryptomeria japonica, and Chamaecyparis obtusa, were investigated. Gas chromatography mass analysis of the essential oils revealed that the major components and the percentage of each essential oil were 16.66% $\beta$-phellandrene and 14.85% $\alpha$-pinene in P. densiflora; 31.45% kaur-16-ene and 11.06% sabinene in C. japonica; and 18.75% bicyclo [2,2,1] heptan-2-ol and 17.41% 2-carene in Ch. obtusa. The antimicrobial assay by agar disc diffusion method showed that $2.2{\mu}g$ of Ch. obtusa oil inhibited most effectively the growth of Escherichia coli ATCC 33312 and Klebsiella oxytoca ATCC 10031, whereas the C. japonica oil gave weak antimicrobial activity. Th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MIC) values for bacterial strains were in the range of 5.45-21.8 mg/ml depending on essential oils, but most Gram-negative bacteria were resistant even at 21.8 mg oil/ml. P. densiflora oil showed the most effective antifungal activity and the MIC values for Cryptococcus neoformans B42419 and Candida glabrata YFCC 062CCM 11658 were as low as 0.545 and 2.18 mg/ml, respectively. Cryp. neoformans B42419 was the most sensitive to all essential oils in the range of 0.545-2.18 mg/ml. Our data clearly showed that the essential oils from the three conifers had effective antimicrobial activity, especially against fungi.

흡착튜브 - 열탈착 정량분석 기법에 기반한 과일시료로부터 자연적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배출특성 연구 (Biogenic Volatile Organic Compounds (BVOC) Emissions from Fruit Samples Based on Sorbent Tube Sampling and Thermal Desorption (ST-TD) Analysis)

  • 안정현;김기현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757-772
    • /
    • 2013
  • In this study, a combination of sorbent tube (ST)-thermal desorption (TD)-gas chromatography (GC)-mass spectrometry (MS) was used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liquid phase standards of 10 BVOC ((1) (+)-${\alpha}$-pinene, (2) (+)-${\beta}$-pinene, (3) ${\alpha}$-phellandrene, (4) (+)-3-carene, (5) ${\alpha}$-terpinene, (6) p-cymene, (7) (R)-(+)-limonene, (8) ${\gamma}$- terpinene, (9) myrcene, and (10) camphene). The results of BVOC calibration yielded comparatively stable pattern with response factor (RF) of 23,560~50,363 an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of 0.9911~0.9973. The method detection limit (MDL) of BVOC was estimated at 0.03~0.06 ng with the reproducibility of 1.30~5.13% (in terms of relative standard error (RSE)). Emissions of BVOC were measured from four types of fruit samples ((1) tangerine (TO), (2) tangerine peel (TX), (3) strawberry (SO), and (4) sepals of strawberry (SX)). The sum of BVOC flux (${\sum}flux$ (BVOC) in ng/hr/g) for each sample was seen on the descending order of (1) TX=291,614, (2) TO=2,190, (3) SO=1,414, and (4) SX=2,093. If the results are compared between the individual components, the highest flux was seen from (R)-(+)-limonene (265,395 ng/hr/g) from TX sample.

소나무 침엽(針葉)의 Monoterpene 조성(組成)과 솔잎혹파리에 대한 저항성(抵抗性)에 관(關)하여 (Monoterpene Composition in Needles of Pines in relation to the Resistance to Pine Gall Midges)

  • 김종수;박노동;박창규;이석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3권3호
    • /
    • pp.189-197
    • /
    • 1980
  • 소나무의 monoterpene조성(組成)가 솔잎혹파리에 대(對)한 저항성(抵抗性) 관계(關係)를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솔잎혹파리 저항성(抵抗性) 소나무 5개(5個) 수종(樹種)가 감수성(感受性)소나무 2개(2個) 수종(樹種), 그리고 감수성(感受性) 해송(海松)가운데 피해목(被害木)과 선발목(選拔木)의 침엽(針葉)을 GLC로 분석(分析)하여 monoterpenes의 조성(組成)을 근거(根據)로 저항성(抵抗性) 또는 감수성(感受性) 수종(樹種)을 구별(區別)할 수는 없었다. 그러나 적송수종내(赤松樹種內)의 피해목(被害木)과 선발목간(選拔木間)에는 limonene, ${\alpha}-pinene$, myrcene 및 ${\beta}-phellandrene$의 농도(濃度)아 조성비(組成比)에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되였다. 적송(赤松)의 선발목(選拔木)에서 limonene의 농도(濃度)는 솔잎혹파리 산란이후(産卵以後) 점차(漸次) 증가(增加)하였으나 피해목(被害木)에서는 증가(增加)하지 않았다. 적송(赤松)의 선발목(選拔木)에서 솔잎혹파리에 대(對)한 내충성분은limonene으로 보였다.

  • PDF

Priming, 온도 및 광질이 미국자리공 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iming, Temperature and Light Quality on Germination of Pokeweed(Phytolacca americana) Seed)

  • 강진호;류영섭;김동일;이외숙;김성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53-159
    • /
    • 1997
  • 미국자리공은 용도가 다양하고 유용한 기능성 물질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어 선진국에서는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에서는 환경오염이 심한 공단 인접지역에 거대한 군낙을 형성하여 생태계 파괴를 가속화하는 식물로 알려져 있어서 이의 자원화 및 번식억제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발아에 관여하는 요인으로서 nitrates를 이용한 priming, 온도 및 광질이 미국자리공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추적하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발아율은 priming 하지 않은 것에 비하여 priming 처리한 종자에서 현저히 높았으며, 치상 8일 후부터 C3(NO$_3$)$_2$처리에 비하여 KNO$_3$ 처리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KNO$_3$를 이용한 priming 처리에서 처리 농도를 증가할수록 발아율은 증가하나 150mM과 300mM간에는 차이가 없었고, priming 처리기간에 차이가 거의 없는 1일과 3일에 비하여 6일간 처리할 때에는 발아가 현저히 둔화되었다. 3. 광질에 관계없이 발아온도 2$0^{\circ}C$ 항온에서는 발아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며, 주/야 20/3$0^{\circ}C$ 변온, 3$0^{\circ}C$ 항온, 주야 30/2$0^{\circ}C$ 변온의 순서로 발아율이 증가하였다. 4. 암상태보다는 빛이 있는 조건에서 발아율이 높았으며, 백색광에 비하여 적색광에서 발아율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5. 주/야 30/2$0^{\circ}C$ 또는 20/3$0^{\circ}C$ 변온에서 Priming을 가한 종자는 암상태에서도 발아되었다.-chamigrene, 1-(1,5-diMe-4-hexenyl) -4-mebenzene, $\beta$-endesmol의 성분이, 줄기의 경우는 sabinene, $\beta$-myrcene, ι-limonene, phellamdrene, $\alpha$-terpinene, ledene, 1-borneol, ${\gamma}$-terpinene, 2,4a,5,6,7,8,9,9a-octahydroben-zocycloheptane, elemol, ${\gamma}$-selinene, cis-3-hexanal, (Z)-3-hexen-1-ol acetate, ${\gamma}$-elemene, $\delta$-guaiene, $\delta$-cadinene, 9-octadecanal, 1-(1,5-diMe-4-hexenyl) -4-mebenzeno, $\beta$-endesmol, $\alpha$-charugrene의 향기성분이 주요 성분군으로 확인되었다. 2. 생강나무에서 생강의 향기를 발산하는 성분으로는 $\beta$-myrcene, o-terpinolene, phellandrone, ι-limonene, $\beta$-eudesmol, $\delta$-cadinone, elemol, trans-caryophyllene으로 동정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phellandrene, $\beta$-eudesmol이 주된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 확인하였다. 유의적인 관련성이 나타났고, 복부 비만의 지표인 허리엉덩이둘레비는 GPT, alkaline phosphatase, 공복시

  • PDF

숲속 공기와 주변 우점수목 정유의 모노테르펜류 분포 비교 (Comparision of Monoterpene in Ambient Air at Forest and Essential Oil)

  • 오길영;서윤규;박귀환;김익산;배주순;박송인;하훈;양수인;이지헌;이완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3호
    • /
    • pp.309-314
    • /
    • 2013
  • 산림공기 중 약리효과를 주는 것으로 알려진 모노테르펜류의 분포양태 파악을 위해 고흥 팔영산, 보성 제암산, 장흥 우드랜드 숲속 공기와 그 주변에 우점하고 있는 나무의 정유에서 ${\alpha}$-pinene, camphene, ${\beta}$-pinene, 2-carene, myrcene, ${\alpha}$-phellandrene, ${\alpha}$-terpinene, d-limonene, eucaliptol, cymene, terpinolene, linalool, camphor, menthol, borneol, thymol, asarone, coumarine 농도분포를 비교하였다. 숲속 공기는 3 계절(봄, 여름, 가을), 정유는 봄, 여름기간 수행하였다. 공기 중에는 4 시간 평균농도 기준으로 ${\alpha}$-pinene, ${\beta}$-pinene과 2-carene이 각각 높은 농도로 나타났다. 측정된 3계절 평균 농도는 소나무가 우점하고 있는 보성 제암산에서 2,597 pptv로 가장 높았다. 계절별로는 고흥 팔영산과 보성 제암산은 봄, 장흥 우드랜드는 가을에 최고치를 보였다. 정유 중 테르펜은 편백나무가 우점하고 있는 고흥 팔영산이 가장 높았고, 장흥 우드랜드 >보성 제암산 순으로 숲속 공기와는 다른 분포형태를 보였다. 주요 성분도 달라 고흥 팔영산은 sabinene, myrcene, limonene이 높은 반면 장흥 우드랜드는 ${\alpha}$-terpinene, linalool, camphor가 보성 제암산은 cymene, camphor, borneol이 높게 나타났다. 정유 중 함량은 10~20령의 비교적 어린 편백나무가 높았고, 특히 봄철에 매우 높게 조사되어 정유를 활용하는 산림산업에 수종 및 채취시기 등을 시사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