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4}C-endosulfan$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7초

생쥐 체내에서 $^{14}C-{\alpha}-Endosulfan$의 대사 (Metabolism of $^{14}C-{\alpha}-Endosulfan$ in Mouse in vivo)

  • 김인선;이강봉;심재한;서용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0-76
    • /
    • 1996
  • 생쥐 체내에서 $^{14}C-{\alpha}-Endosulfan$의 흡수, 분포, 대사, 배설 등의 동태를 구명하기 위하여 약제를 7.5mg $kg^{-1}$ 수준으로 복강주사 처리하여 수행한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약제처리 후 4 일 이내에 처리 방사능의 63.9%가 소변을 통해 배설되었고, 그 후부터는 배설율이 일정하였다. 2. 약제처리 후 각 조직별 방사능의 분포는 처리 30분 이내에는 심장에 가장 높게 분포하였으며, 2시간에는 간과 신장에서 그 분포율이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분포율은 점점 감소하였다. 3. $^{14}C-{\alpha}-endosulfan$은 생쥐 체내에서 ${\beta}-endosulfan({\beta}-E)$, endosulfan ether(EE), endosulfan sulfate(ES), 그리고 endosulfan alcohol(EA)로 대사되었으며 주요 대사산물은 간에서 EA(13.25%) 그리고 신장에서는 EHE(19.37%)였다. 4. 소변중에 배설된 대사산물로는 EA(43.21%), ES(4.78%), ${\beta}-E$(7.21%), EE(3.72%), EHE(18.04%) 등이었다.

  • PDF

In vivo 시험에 의한 잉어(cyprinus carpio L.)체내 endosulfan의 대사 (In vivo Metabolism of Endosulfan in Carp (cyprinus carpio L.))

  • 이강봉;심재한;서용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3호
    • /
    • pp.194-202
    • /
    • 1994
  • $^{14}C-{\alpha}-endosulfan$을 공시어인 잉어(Cyprinus carpio L.)에 대해서 $LC_{10}$ 농도$(4.5\;{\mu}g/L)$로 처리하여 in vivo 대사과정을 추적한 결과 endosulfan은 처리 직후에 공시어에 빠르게 흡수되었다가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잉어체내로부터 제거되었다. 잉어의 간과 신장, 소화관에서 발견된 endosulfan의 대사물질로는 EE(endosulfan ether), EA(endosulfan alcohol), EHE(endosulfan hydroxyether), EL(endosulfan lactone)이었으며 주된 대사물질은 EE와 EA이었다. 다만 식물체와 포유류 등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알려진 ES(endosulfan sulfate)는 공시어의 어느 조직에서도 발견되지 않았다. $^{14}C-endosulfan$의 공시어 머리와 근육, 소화관에서의 흡수는 처리 8시간 후에 최대에 이르렀으나 간과 신장에서는 각각 처리 30분과 4시간 후에 최대의 흡수량을 보였다. 공시어의 모든 조직에서 방사능량은 처리 8시간 후에는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이때 간, 신장, 소화관 조직에서 $^{14}C-endosulfan$의 회수율은 $80{\sim}90%$로 나타났다. 하지만 처리 8시간이 경과한 이후부터는 추출되지 않은 방사능량이 증가$(27{\sim}31%)$되었으며 8시간을 중심으로 수용성 물질의 생성이 증가되었다.

  • PDF

인돌을 이용한 잔류성 농약 endosulfan의 소장 흡수 억제 연구 (A study to reduce the intestinal transport of endosulfan by indole)

  • 공대철;김주연;최한솔;노상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1-96
    • /
    • 2014
  • Endosulfan은 높은 잔류성과 소수성을 가진 유기염소계 잔류성 농약이다. 이 연구는 십자화과 식물에 다량 함유되어 있고 심혈관계질환의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인돌을 이용하여 소장에서 endosufan의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흰쥐를 이용해서 37 kBq의 $^{14}C$-endosulfan이 함유된 지질유화액을 시간당 3 mL씩 8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공급받은 동물군을 대조군으로 하였고, 인돌이 함유된 지질유화액을 같은 조건에서 공급받은 동물군을 실험군으로 하여 8시간 동안 흡수율을 측정하였다. 림프순환계로 흡수된 대조군의 $^{14}C$-endosulfan 양에 비해 인돌을 공급받은 실험군의 $^{14}C$-endosulfan의 양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이와 유사하게 콜레스테롤의 흡수도 인돌에 의해서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8시간 동안 흡수되지 않고 장벽에 잔류하는 $^{14}C$-endosulfan 양이 인돌을 공급받은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림프순환계로의 endosulfan 흡수 감소현상은 인돌공급에 의해 소장의 점막에 잔류하는 endosulfan의 양이 증가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실험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십자화과 식물에 존재하는 인돌 성분의 섭취가 대표적인 잔류성 농약인 endosulfan의 소장에서의 흡수를 감소시켜 체내 잔류 저감화에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이 실험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In vivo 시험에 의한 잉어체내 $^{14}C-endosulfan$의 대사 (In vivo Metabolism of Endosulfan in Carp (Cyprinus carpio))

  • 이강봉;심재한;서용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3호
    • /
    • pp.203-209
    • /
    • 1994
  • $^{14}C-{\alpha}-endosulfan$(100 nM, $41\;{\mu}g$)을 공시어의 각 조직(간, 신장, 소화관) 추출액에 처리하여 대사물질의 생성과 이에 미치는 cofactor의 영향을 시험관내 반응으로 비교한 결과, 105,000 g soluble fraction에서 phase I system에 해당되는 cofactor의 첨가시 공시어의 간 조직에서 가장 높은 대사물질 생성율을 보였고 phase II system에서는 NADPH를 cofactor로 첨가하였을 때 간과 신장조직에서 높은 대사물질 생성율을 보였다. 하지만 소화관 조직에서는 GSH 단독처리나 GSH+NADPH의 혼합처리시 높은 대사물질 생성율을 보였다. 또한 microsomal fraction에서는 phase I system에 해당되는 cofactor의 첨가시 공시어의 소화관 조직에서, phase II system의 경우 NADPH 단독처리나 NADPH+GSH 혼합처리시 대사물질의 생성이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공시어의 간과 신장에서는 MFO에 의한 대사작용이, 소화관에서는 GST에 의한 대사작용이 활발하다고 할 수 있었다. 공시어의 각 조직에서 높은 생성율을 보인 대사물질은 EA(endosulfan alcohol), EE(endosulfan ether), EHE(endosulfan hydroxyether)이었으며 in vivo 시험에서와 마찬가지로 endosulfan sulfate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 실험에서 ${\alpha}-endosulfan$은 잉어체내에서 ${\beta}-endosulfan$으로 이성화되었다가 EA로 가수분해되거나 직접 EA로 가수분해되어 다시 EE나 EHE로 산화되며 EHE는 EL(endosulfan lactone)로 산화되는 것으로 제안할 수 있었다.

  • PDF

생쥐에서 Cytochrome P-450 효소계에 의한 ${\alpha}$-Endosulfan의 시험관내 대사시험 (in Vitro Metabolism Study of ${\alpha}$-Endosulfan with Microsomal Cytochrome P-450 Monooxygenase)

  • 김인선;이강봉;심재한;서용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5호
    • /
    • pp.463-467
    • /
    • 1995
  • 생쥐(Balb/C) 간과 신장의 microsomal cytochrome P-450 효소계에 의한 ${\alpha}$-endosulfan의 시험관내 대사시험을 수행하였다. ${\alpha}$-Endosulfan은 endosulfan lactone(EL), endosulfan hydroxyether(EHE), endosulfan alcohol(EA), endosulfan sulfate(ES), endosulfan ether(EE) 그리고 ${\beta}$-endosulfan(${\beta}$-E) 등으로 대사되었으며 주요 대사산물은 간에서 EL(13.2%) 및 EA(11.5%)이었으며 신장에서 EA(17.4%) 및 EHE(19.3%)이었다. Microsome 배양액중 유기용매 추출성 대사산물은 63.4%이었으며 수용성 대사산물은 37.1%이었다. 수용성 대사산물은 EA(83.9%), EHE(4.5%) 그리고 ES(2.3%)로서 주요 수용성 대사산물은 EA이었다. Piperonyl butoxide는 ${\alpha}$-endosulfan으로부터 EE의 생성을 86%, EA의 생성을 92% 그리고 EHE, EL 및 ES의 생성을 대부분 저해하였다.

  • PDF

잉어중 Endosulfan의 잔류분석(殘留分析)을 위한 Radioimmunoassay(RIA)의 개발(開發) (Development of Radioimmunoassay(RIA) for Residue Analysis with Endosulfan in Water and Carp(Cyprinus carpio L.))

  • 이강봉;심재한;서용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62-270
    • /
    • 1994
  • Endosulfan의 잔류분석(殘留分析)을 위한 RIA(radioimmuno assay)는 endosulfan alcohol(EA)-BSA conjugate를 항원(抗原)으로 하여 집토끼에서 면역항체(免疫抗體)를 생산(生産)하였다. 생산(生産)된 면역항체(免疫抗體)의 역가(力價)는 1 : 32,000 으로 endosulfan과 EA 이외(以外)의 유사화합물(類似化合物)에서는 거의 반응성(反應性)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RIA를 위한 최적(最適) 희석배수(稀釋倍數)는 1 : 2,000 으로 나타났다. RIA의 최적(最適) 배양온도(培養溫度)는 $4\;^{\circ}C$ 이었으며 endosulfan의 검출범위(檢出範圍)는 $1\;ng-20\;{\mu}g$ 이었고 최소검출량(最小檢出量)은 1 ng 이었다. RIA 기법(技法)을 이용(利用)하여 잉어의 각(各) 조직(組織)과 공시수(供試水)에서 실시한 회수율(回收率) 시험(試驗) 결과(結果)는 GLC/ECD나 ELISA를 이용(利用)한 회수율(回收率)보다 우수하게 나타났다. 시료(試料)에서 RIA에 의한 endosulfan의 검출한계(檢出限界)는 0.1 ppb 였다.

  • PDF

MSPD법과 GC/ECD를 이용한 식육중의 잔류농약 분석 (Screening procedure for organochlorinated pesticide residues in meat fat using a matrix solid phase dispersion(MSPD) extraction and GC/ECD)

  • 백미순;이영철;박병옥;김창수;박유순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5-23
    • /
    • 1999
  • A multiresidue, simple and rapid isolation technique known as matrix-solid phase dispersoin (MSPD) for the extraction and quantitative gas chromatographic/electron capture detection (GC/ECD) determination of 14 organochlorinated pesticides($\alpha$-BHC, ($\beta$-BHC, ($\gamma$-BHC, aldrin, dieldrin, endrin, heptachlor, ($\alpha$-endosulfan, ($\beta$-endosulfan, endosulfan sulfate, p,p'-DDE, o,p'-DDD, p,p'-DDD, p,p'-DDT) from meat fats. The 14 pesticide were fortified into meat fat(0.5g) and blend with 2g $C_{18}$, $C_{18}$meat fat matrix blend and 2g activated florisil comprise an extraction column from which the pesticides are eluted by adding 8ml acetonitrile. Then 2${\mu}\ell$ of the eluate is analyzed by GC/ECD. Unfortified blank controls are tested similarly. The eluate contained all the pesticide analytes and was free of interfering coextractants. Recovery rate(31.3-500ng/g) were ranged from 80$\pm$4% to 97$\pm$4%. Any organochlorinated pesticides were not detected in 120 samples of beef and pork collected from slaughter houses in Kyeonggi province.

  • PDF

배추김치와 깻잎지의 제조과정에 따른 잔류농약의 제거 (Removal of Pesticide Residue during the Preparation of Baechu Kimchi and Perilla Leaf Pickle)

  • 황래홍;조인순;김민정;조태희;박영혜;박혜원;박경애;김현정;김무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03-409
    • /
    • 2011
  • 배추와 깻잎에 인위적으로 조성된 잔류농약이 김치제조 과정에서 제거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배추김치의 경우 농약처리 직후 배추에서 diazinon, procymidone 및 endosulfan 의 농도가 각각 $9.18{\pm}0.03$ mg/kg, $22.27{\pm}0.22$$10.46{\pm}0.02$ mg/kg 이었는데 12시간의 절임과정 후에는 각각 초기 농도의 22.5%, 25.3% 및 0.6% 가 제거된 것으로 조사 되 었다. 절임과 3회의 세척과정 후에는 diazinon, procymidone 및 endosulfan 이 초기농도에 비해 각각 69.9%, 85.6% 및 11.2%가 제거 되었다. 김치를 제조하여 4주간 발효 후에는 초기농도에 비해 각각 79.4%, 94.4% 및 21.0% 가 제거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김치제조 과정별 제거비율은 diazinon 의 경우 절임과정 에서 28.4%, 세척과정에서 59.7%, 발효과정에서 11.9%가 제거 되었으며, procymidone의 경우에는 절임과정에서 26.9%, 세척과정에서 63.8%, 발효과정에서 9.3% 가 그리고 endosulfan 의 경우에는 절임과정에서 3.2%, 세척과정에서 50.4%, 발효과정에서 46.4% 가 제거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갯잎의 경우 diazinon, procymidone 및 endosulfan 의 초기농도가 각각 $18.11{\pm}0.62$ mg/kg, $31.80{\pm}0.33$$12.01{\pm}0.01$ mg/kg 이었으며 3회 세척과정 후에는 초기농도에 비해 각각 60.5%, 52.0% 및 23.7% 제거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세척과 2주간 절임과정 후에는 diazinon, procymidone 및 endosulfan 이 초기농도에 비해 각각 93.9%, 92.4% 및 49.6% 가 제거 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깻잎지 제조과정별 제거비율은 diazinon 의 경우 세척과 정에서 64.5%, 절염과정에서 35.5% 가 제거 되었으며, procymidone 의 경우에는 세척과정에서 56.3%, 절임과정에서 43.7% 가 그리고 endosulfan의 경우에는 세척과정에서 47.8%, 절임과정에서 52.2% 가 제거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Soil flushing 기법을 이용한 농약 오염토양 정화 (Soil flushing of Pesticide-Contaminated Soil)

  • 전민하;최상일;장윤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87-89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Sorfactant/Cosolvent 혼합용액을 적용한 Soil flushing 기법에 의해 농약(Endosulfan(6,7,8,9,10,10-Hexachlor-1,5,5a,6,9,9a-hexahydro-6,9-methane-2,3,4benzo (e)dioxathiepin-3-oxide))으로 오염된 토양의 정화효율을 알아보았으며, 회분식 및 연속식 실험을 통하여 최적의 운전조건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세척용액의 적정 사용조건을 알아보기 위한 회분식 실험은 Jar tester를 사용하여 진탕비 (토양 중량 : 세척용액 부피), Surfactant(SDS + POE$_{5}$, POE$_{9}$ + POE$_{14}$, POE$_{5}$ + POE$_{14}$, POE$_{14}$)와 보조용매(water, ethanol, methanol, ethanol+methanol)의 혼합비 및 농도 조건을 변화시켜가며 토양세척을 수행하였다. 세척용액은 보조용매에 Surfactant의 농도를 0.5%, 1%로 용해하여 적용하였다. 연속식 실험은 회분식 실험에서 얻어진 최적 세척용액 사용조건 즉, 계면활성제 SDS + POE$_{5}$(1:1, 용액농도 1%), 보조용매 ethanol을 일정 비율로 혼합한 세척용액을 오염된 토양이 충진된 유리칼럼에 여러 유량조건에서 1 - 20 pore volume까지 통과시켜 각 통과된 pore volume에서의 토양세척 효율을 알아보았다. 본 실험조건에서 얻어진 세척용액의 최적 통과 속도는 0.31 ㎤$cm^{-2}$$min^{-1}$ 이었으며, 세척온도의 증가에 따른 세척효율의 향상은 2$0^{\circ}C$이상에서 크게 둔화되었다. 또한 보조용매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에탄올을 물로 1:3까지 희석한 결과 세척효율에 큰 영향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