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mma$-Irradiation

검색결과 1,625건 처리시간 0.028초

고선량 및 저선량 방사선 조사 마우스에서 누에동충하초(Paecilomyces japonica)의 효과 (Modification of Radiation Response in Mice by Dongchongxiacao(Paecilomyces japonica))

  • 김세라;오헌;이해준;신동호;김종춘;박인철;오기석;조성기;김성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81-188
    • /
    • 2003
  • Cordyceps has a reputation for its broad biological activities and as a tonic which replenishs vital function in Chinese traditional medicines. As an attempt to obtain fundament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new type Cordyceps, the effects of the fruiting bodies of cultivated fungus of Paecilomyces japonica grown on silkworm larvae on radiationinduced damages were investigated. We performed this study to determine the effect of Dongchongxiacao (Paecilomyces japonica) on jejunal crypt survival, endogenous spleen colony formation, and apoptosis in jejunal crypt cells and hair follicles of mice irradiated with high and low dose of gamma-radiation. Treatment with Dongchongxiacao showed no significant modifying effects on the jejunal crypt survival and endogenous spleen colony formation. The frequency of radiationinduced apoptosis was reduced by pretreatment of Dongchongxiacao (i.p.: 50 mg/kg of body weight, at 12 and 36 hours before irradiation, p<0.01). The spontaneous levels of apoptotic cells are $0.082{\pm}0.041$ in intestinal crypts and $0.231{\pm}0.084$ per hair follicle section of skin. Pretreatment of Dongchongxiacao was associated with decreases of 26.86% in intestinal crypt and 66.36% in hair follicle decrease in the number of cells with nuclei positively stained for apoptosis compared with the irradiation control group. We demonstrated for the first time that Dongchongxiacao administration could reduce the extent of apoptosis produced by radiation in the hair follicle. The results presented herein that Dongchongxiacao given before irradiation is capable of reducing the severity of cell loss as a result of apoptosis.

Effects of Whole Body Irradiation on Morphine, DAMGO, DPDPE, U50,488H and $\beta$-endorphin-Induced Antinociception

  • Park, Tae-Won;Kim, Jin-Kyu;Jeong, Jae-Soo;Kim, Tae-Wan;Cho, Young-Kyung;Kim, Kyung-Nyun;Chung, Ki-My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37권1호
    • /
    • pp.1-7
    • /
    • 2012
  • Opioid receptors have been pharmacologically classified as ${\mu}$, ${\delta}$, ${\kappa}$ and ${\varepsilon}$. We have recently reported that the antinociceptive effect of morphine (a ${\mu}$-opioid receptor agonist), but not that of ${\beta}$-endorphin (a novel ${\mu}/{\varepsilon}$-opioid receptor agonist), is attenuated by whole body irradiation (WBI). It is unclear at present whether WBI has differential effects on the antinociceptive effects of ${\mu}-$, ${\delta}-$, ${\kappa}-$ and ${\varepsilon}$-opioid receptor agonists. In our current experiments, male ICR mice were exposed to WBI (5Gy) from a $^{60}Co$ gamma-source and the antinociceptive effects of opioid receptor agonists were assessed two hours later using the hot water ($52^{\circ}C$) tail-immersion test. Morphine and $D-Ala^2$, $N-Me-Phe^4$, Gly-olenkephalin (DAMGO), [$D-Pen^2-D-Pen^5$] enkephalin (DPDPE), trans-3,4-Dichloro-N-methyl-N-[2-(1-pyrrolidinyl)-cyclohexyl]-benzeneacetamide (U50,488H), and ${\beta}$-endorphin were tested as agonists for ${\mu}$, ${\delta}$, ${\kappa}$, and ${\varepsilon}$-opioid receptors, respectively. WBI significantly attenuated the antinociceptive effects of morphine and DAMGO, but increased those of ${\beta}$-endorphin. The antinociceptive effects of DPDPE and U50,488H were not affected by WBI. In addition, to more preciously understand the differential effects of WBI on ${\mu}-$ and ${\varepsilon}$-opioid receptor agonists, we assessed pretreatment effects of ${\beta}$-funaltrexamine (${\beta}$-FNA, a ${\mu}$-opioid receptor antagonist) or ${\beta}$-$endorphin_{1-27}$ (${\beta}$-$EP_{1-27}$, an ${\varepsilon}$-opioid receptor antagonist), and found that pretreatment with ${\beta}$-FNA significantly attenuated the antinociceptive effects of morphine and ${\beta}$-endorphin by WBI. ${\beta}$-$EP_{1-27}$ significantly reversed the attenuation of morphine by WBI and significantly attenuated the increased effects of ${\beta}$-endorphin by WBI. The results demonstrate differential sensitivities of opioid receptors to WBI, especially for ${\mu}-$ and ${\varepsilon}$-opioid receptors.

탈지 겨자씨로 제조한 가식성 생고분자 필름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탄수화물 가수분해 효소 혼합체, 초음파, 그리고 방사선 처리의 효과 (Effects of a Carbohydrase Mixture, Ultrasound, and Irradiation Treatment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Defatted Mustard Meal-based Edible Films)

  • 양희재;노봉수;김재훈;민세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30-38
    • /
    • 2011
  • 대부분의 고분자 분쇄 처리는 WVP에 영향을 주지 않았고, 일부 조건에서 WS를 개선시켰으나 그 개선 정도가 변수 크기와 직접적으로 관계되지 않았다. 인장특성의 경우에도 대부분의 처리들에 의해 개선되지 않았으며, 초음파 처리의 경우에는 오히려 인장특성을 저하시키기도 하였다. 고분자 분쇄가 DMM 필름의 특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설을 세웠지만 향 프로파일을 제외한 DMM 필름의 특성들이 본 연구에서 사용된 조건에서의 고분자 분쇄 처리에 의해 대체적으로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또한 필름의 물리적 특성의 변화에 미치는 그 영향 정도가 고분자 분쇄의 공정 변수 크기에 의해 결정될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초음파와 방사선으로 처리된 탈지 겨자씨 필름은 공정 변수의 크기와 필름의 특성들 간에 상관관계가 없었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이것은 아마도 순수한 단일 생고분자로 구성된 필름의 고분자 네트워크와 복합 생고분자로 구성된 농산물 가공 부산물인 탈지 겨자씨 필름의 고분자 네트워크의 차이 때문이라고 사려된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단일 생고분자 필름의 특성 개선을 위해 사용되는 고분자 분쇄 기술과 처리 변수들의 값들이 복합 생고분자인 탈지 겨자씨 필름에는 그 필름의 특성 개선에 효율적으로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이 규명되었다. 이 결과는 다른 복합 생고분자(농산물 가공 부산물)로 가식성 필름을 제작 시 본 연구에 사용된 고분자 분쇄 처리들이 그 필름의 물리적 특성들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말해주기도 한다. 차후 탈지 겨자씨 필름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다른 고분자분쇄 기술(예, high pressure homogenization)을 이용해보거나 composite 필름을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가물치의 혈청단백질에 미치는 자외선전신조사의 영향 (Effects of Whole Body Ultraviolet -Light Irradiation on Serum Protein in Snake Head, Ophicephalus argus(CANTOR))

  • 남상열;이재문;최미자;이향순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6-12
    • /
    • 1964
  • The present paper deals with the changes in serum protein fraction, total serum protein, hematocrit, red blood cell, haemoglobin, and weight of liver or kidney : body weight ratio of irradiated and non-irradiated snake head, Ophicephalus argus(CANTOR) . Irrardiation doses are 2537$\AA$-7 minutes (7M) and 2537$\AA$-15 minutes (15M). Serum electrophoretic patterns showed a marked decrease in albumin fraction at 1, 3, 9, 12 and 15 days on 7M group and 15 M group. On both experimental groups percentage increases in $\alpha$1 and $\beta$ fractions occurred at different time periods in general but are interpreted as only apparent changes accompanying the greater albumin fall. ${\gamma}$-Globulin decreased at 1, 6 and 15 days on 7M group. and at 1, 3, 6 and 9 days on 15M group. Also, A/G ratio was significantly low in groups subjected to above conditions as compared to the controls. A/G ratio decreased at 3 and 15 days remarkably on both groups. On the average, the reductions in the A/G ratio were not proportional to themagnitude of ultraviolet-light. Total protein of serum changed according to suggestive changes in electrophoretic patterns of serum . Total protein of serum declined at 1, 3, 6, 9 and 12 day periods on 7M groups and at 1, 3, 9, 12 and 15 day-periods on 15 M group, and increased approaching control values at 15 and 18 day-periods on both groups. Hematocrit increased remarkably at 1, 3, 6 and 12 days and decreased at 9 and 15 days on 7M group, and increased throughout the sampling period on 15M . Red blood cell decreased throughout the sampling period and increased slightly at 6 days on 7 M group and decreased at 1, 6, 9, 15 and 18 days and increased remarkably at 3 and 12 days on 15M group. Hemoglobin decreased remarkably at 1 day-period and increased at other days on both groups. The liver weight was not remarkably changed after whole body irradiation on both groups. and kidney was increased from 1st day on 7M group and 3 rd day on 15M group respectively. It appears that changes in electropphoretic patterns of serum, A/G ratio, total protein of serum, hematocrit, red blood cell, hemoglobin, and liver or kidney weight act to the detriment of the animal following non-ionizing irradiation.

  • PDF

열발광, 전자스핀공명 및 DNA Comet 분석에 의한 대두의 방사선 조사 여부 검지 특성 (Detection Characteristics of TL, ESR and DNA Comet for Irradiated Soybeans)

  • 이은영;정재영;노정은;조덕조;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8-23
    • /
    • 2002
  • 방사선 조사된 대두의 검지방법을 연구하기 위하여 국산 및 중국산 대두에 대하여 $0.5{\sim}4.0\;kGy$의 감마선을 조사하고 열발광(TL), 전자스핀공명(ESR) 및 DNA comet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TL 측정에서 비조사구는 $280^{\circ}C$ 부근에서 매우 낮은 glow curve를 나타내었고, 감마선 조사구는 $200^{\circ}C$ 부근에서 조사선량에 의존적인 glow curve를 나타내었다. 재조사(re-irradiation) 방법에 의한 TL ratio$(TL_1/TL_2)$의 비교는 TL 측정 결과의 정확도를 높여 주었다. 원산지별 TL 특성 비교에서 국산을 중국산에 비해 높은 TL intensity를 나타내었다(p<0.01). 대두 껍질을 사용한 ESR 측정에서는 조사시료에서 cellulose radical 유래의 특이한 signal(g = 2.02374, 1.98715)을 보여주었고 중국산 시료의 ESR signal이 더 높게 나타났다. 비조사 대두의 DNA comet은 tail이 없거나 아주 짧은 tail을 가진 전형적인 intact cell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0.5 kGy 이상의 감마선 조사 시료에서는 조사선량에 의존적으로 comet의 tail length 증가와 더불어 comet의 크기 및 농도의 변화가 일어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TL, ESR 및 DNA comet의 분석은 대두의 방사선 조사 여부 확인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원산지별 검지특성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인체세포주 A431에서 방사선 조사 후 DNA수선 유전자 발현과 세포고사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Relationship between Radiation Induced Activation of DNA Repair Genes and Radiation Induced Apoptosis in Human Cell Line A431)

  • 범희승;민정준;최근희;김경근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44-153
    • /
    • 2000
  • 목적: 피부세포인 A431세포주에서 방사선 조사에 의한 세포고사가 방사선량과 방사선 조사 후 경과시간에 따라서 어떻게 변하는지를 밝혀보고, 방사선에 의해 유도된 수선유전자의 발현을 방사선량별, 조사 후 경과시간별로 분석하여 세포고사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한국 세포주은행으로부터 분양받은 피부상피암 세포의 일종인 A431을 Cs-137 세포조사기를 이용하여 5 Gy, 25 Gy씩 조사하고 4, 12, 48시간이 지난 다음 세포를 모아 유세포계측법을 이용하여 고사세포를 계수하였다. 또한 이 세포들을 Northern blot analysis,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여 방사선량별, 경과시간별로 유전자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각 실험군간의 통계적 유의성은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MANOVA test에 의해 검정하였으며, p값 0.05 미만을 유의한 수준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유세포 계측기로 측정한 고사세포의 비율은 방사선 조사 후 12시간째에 가장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1). DNA수선유전자의 발현은 5 Gy 조사 후 p53, p21, hRAD 유전자가 12시간째에 증가하였고, 25 Gy 조사 후에는 hRAD50과 p21이 12시간에 증가하였으며, p53과 GADD45는 12시간까지 별 변화가 없었으나 이후 증가하여 48시간에 가장 높은 발현을 보였다. 결론: 피부상피암세포에서 방사선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고사는 방사선 조사 후 12시간에 가장 현저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 세포고사에 DNA수선 유전자가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특히 최근에 발견된 hRAD50 유전자도 세포고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건포도와 건바나나의 감마선 조사와 저장기간에 따른 열발광 및 전자스핀공명 특성과 관능적 품질 (Characteristics of Thermoluminescence and Electron Spin Resonance and Organoleptic Quality of Irradiated Raisin and Dried Banana During Storage)

  • 조덕조;권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09-614
    • /
    • 2002
  • 방사선 조사(1~4 kGy)와 저장 기간(4$^{\circ}C$, 6개월)에 따른 건조과일의 TL 및 ESR검지 특성과 관능적 품질을 평가하였다. 건포도에서 분리된 mineral의 TL측정에서 비조사구는 200~30$0^{\circ}C$ 부근에서 매우 낮은 intensity의 glow curve(TLI)를 나타내었으나, 1 kGy 이상의 조사구에서는 특유의 peak가 18$0^{\circ}C$ 부근에서 나타나면서 선량 의존적으로 intensity가 증가되었다($R^2$=0.9684). 이로써 방사선 조사구와 비조사구의 판별이 6개월 동안 가능하였다. 또한 재조사(1 kG)에 의해 측정된 TL$_2$signal을 활용하여 TL ratio(TL$_1$/TL$_2$)를 계산하였을 때 검지결과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었다. 건 바나나의 ESR 측정에서 1 kGy 이상의 조사 시료는 crystalline sugar radical 유래의 전형적인 multicomponent line을 보여 주어 조사 여부의 판별이 가능하였고 signal의 강도는 선량 의존적($R^2$= 0.8977)으로 6개월 동안 비교적 안정하였다. 방사선 조사된 건조과일은 6개월까지 상품성이 잘 유지되었으므로 TL 및 ESR 분석은 건포도와 건 바나나의 검지 관리에 적합한 방법임이 확인되었다.

저선량의 감마선 피폭된 사람 말초 임파구의 미소핵을 이용한 방사선 생물학적 피폭선량 측정법 연구 (Cytokinesis-blocked micronuclei in the human peripheral lymphocytes following low dose γ-rays irradiation)

  • 김태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99-104
    • /
    • 2001
  • 불의의 방사선 피폭 환자의 체내 방사선 피폭선량의 예측을 위한 방사선 생물학적 선량측정 개발의 일환으로 저선량 피폭환자의 체내 피폭선량 측정 지표로서의 미소핵 분석법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코발트-60 감마선을 0.25 Gy에서 1 G의 선량을 인체 말초 혈액에 조사한 후 임파구내에 미소핵의 수적 변화를 형태학적으로 관찰하였다. 저선량에 피폭된 임파구에서 미소핵이 관찰되었으며, 선량에 따른 수적인 변화도 나타났다. 저선량 피폭에 대한 미소핵의 수적 변화에 대한 선량-반응 곡선은 $Y=(0.02{\pm}0.0009)+(0.033{\pm}0.010)D+(0.012{\pm}0.012)D^2$의 식을 얻었으며, linear quadratic model 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미소핵의 발생 빈도와 피폭 선량간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정상대조군에서는 세포당 $0.02{\pm}0.0009$개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말초 임파구를 이용한 미소핵 분석법은 저선량 피폭환자의 체내 피폭선량 측정은 물론 방사선 방호제의 검색 및 방사선 민감도 검사를 위한 방사선 생물학적 지표로 이용 가능하며, 특히 이 방법은 간편하고 정확하며 재현성이 있는 방법으로 불의의 방사선 피폭 사고시 체내 피폭선량을 예측하는 좋은 지표로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

  • PDF

국내 자연 방사선 고준위 지역(청원군, 보은군) 사육 돼지의 림프구 미소핵 발생 평가 (Incidence of micronuclei in lymphocytes of pig in the high background radiation area (Cheongwon-gun and Boeun-gun))

  • 이해준;김창모;김세라;이진희;김중선;김종춘;김일화;김태환;류시윤;조성기;최수용;김성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469-475
    • /
    • 2005
  • Cytogenetic and hematological analysis was performed in peripheral blood obtained from pigs bred in the high background radiation areas (HBRA) (Cheongwon-gun and Boeun-gun) and a control area. The frequencies of gamma-ray induced micronuclei (MN) in the cytokinesis-blocked (CB) lymphocytes at several doses were measured in three pigs. An estimated dose of radiation was calculated by a best fitting linear-quadratic model based on the radiation-induced MN formation from the swine lymphocytes exposed in vitro to radiation over the range from 0 mGy to 1,969 mGy. The measurements performed after irradiation showed dose-related increases in the MN frequency in each donors.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a linear-quadratic model with a line of best fit of $y=0.0005404D^2+0.04237D+0.00833$ [y = number of MN/cytokinesis-blocked (CB) cells and D = irradiation dose in Gy]. MN rates per 1,000 CB lymphocytes of pig from the HBRA (Cheongwon-gun, Boeun-gun) and the control area were $6.70{\pm}2.36$, $9.00{\pm}3.50$ and $11.00{\pm}2.98$, respectively. The MN frequencies of CB lymphocytes from pigs bred in three areas means that the values are within the background variation in this experiment. The MN frequencies and hematological values were similar regardless of whether the pigs were bred in the HBRA or the control area.

${\gamma}$-조사에 의한 방사성폐기물의 방사분해가스 발생량 평가 (Measurement of the Radiolysis Gases Generated in Several Waste Forms by External Irradiation)

  • 곽경길;유영걸;김기홍;제환경;김동호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345-352
    • /
    • 2006
  • 붕산폐액을 함유한 시멘트 및 파라핀 고화체, 폐이온교환수지를 함유한 시멘트 고화체 그리고 잡고체중의 제염지에 대하여 Co-60을 조사선원으로 하여 $10^8$ rads까지 조사하여 발생되는 분해가스의 종류 및 그의 발생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분해가스로는 $H_2,\;CH_4,\;N_2,\;C_2H_6,\;O_2,\;CO$$CO_2$ 등이 발생하였으며, $H_2$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가스발생량은 폐기물과 고화매질의 종류에 따라 $0.029{\sim}0.788\;cm^3.atm/1.1g$으로 상당한 차이를 보였으며, 폐이온교환수지를 함유한 고화체에서 가장 높은 분해가스 발생량을 보였다. 그리고 수소가스는 제염지 폐기물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제염지의 $G(H_2)$는 0.12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