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 Autumn"

검색결과 2,601건 처리시간 0.028초

Perennial Ryegrass 품종의 계절적 생육특성 III. 가을철 생육의 품종간 차이 (Seasonal Growth Chrateristics of Perennial ryegrass varieties III. Varietal differences in autumn growth)

  • 김성규;이주삼;조익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2-18
    • /
    • 1992
  • 본 시험은 가을철 생육기에 perennial ryegrass 5개 품종을 공시하여 생육시기별 품종에 대한 생물학적 수량(지상부중+지하부중), 지상부중(엽중+경중), 근중, 엽면종, 지상부/지하부 비솔, 경수, 근장,근장/근중 및 1 경중을 조사하였으며 시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량구성요소는 생육이 진행됨에 따라 악화되었다. 2. 가을철 수량구성요소의 비솔은 지상부 73%, 지하부 27%였다. 3. 생물학적 수량이 많았던 품종은 Tempo, Maprima 였으며 P-2, Caliente등이 적었다. 4. 수량구성요소는 Tempr 품종에서 경중, 근중, 근장/근중, 1 경중이 많았고 Caliente 품종은 엽중, 경중,엽면종, 지상부/지하부/ 비솔, 1 경중이 적었다. 5. 조사시기별 생물학적 수량은 4~5차(10월 4일 ~10월 8일 )에 가장 높았으며, 3~4차(9월 30일~10월 4일)에 가장 낮았다. 6. 품종별 생물학적수량은 Tempo는 5~6차(10월 8일 ~10월 12일), Marprima는 1~2차(9월 22일 ~9월 26일), Manhattan, P-2, Caliente는 4~5차(10월 4일 ~10월 8일)에서 많았다.

  • PDF

남한의 지역간, 계절간 강수량의 특성 (The Variations of Interstational and Interseasonal Rainfall in South Korea)

  • 최희구
    • 물과 미래
    • /
    • 제11권2호
    • /
    • pp.62-69
    • /
    • 1978
  • Interstational and interseasonal analyses of the correlation and variability in the seasonal and annual precipitation for 10 basic synoptic stations in South Korea, on the basis of rainfall record of over 40 years, are carried out. It is found that the climatic regions of precipitation could be classified by means of the interstational analysis for the correlations. Corrleation coefficients in interstational relationship of precipitation are lowest in autumn which characterizeds a strong locality while the highest value shows a relatively weak locality in winter. Interseasonal relationship between summer and winter precipitation shows mostly 10 percent significant level with all positive values. The magnitude of the variation coefficients are appeared to be in the order of winter, autumn, spring and summer. It is shown that the highest which is winter ranges between 0.33 0.58, and for the lowest summer, 0.26-0.44, respectively in the areal distribution of the coefficient. The secular changes of the variation coefficient in the recent trend show increases in spring at two station; Seoul and Incheon, in summer at Busan and in autumn at two stations; Busan and Incheon while in winter show devreases at the whole stations. An annual variation seems to show generally a constant trend as whole for all the stations.

  • PD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Changes in 'Autumn Sense' Hardy Kiwi (Actinidia arguta) as Honey Plant during Fruit Ripening

  • Park, Youngki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27-332
    • /
    • 2017
  • In this study, we studied the changes in antioxidant activity of Actinidia arguta fruit of Autumn Sense cultivar during fruit ripening. The aim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find the knowledge of the changes of physiochemicals associated with fruit quality, antioxidant properties (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total phenolics and vitamin C during fruit ripening. The highest 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 (at $100{\mu}g/ml$) and reducing power (at $100{\mu}g/ml$) in A. arguta fruit were 78.57% and 0.22, respectively. Total phenolic content and vitamin C content in fruit of 10 days after fruit set were $639.48{\mu}g/g$ and $1052.2{\mu}g/g$, respectively. In general,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related parameters, including total phenolic content and vitamin C content decreased during fruit ripening. These results improve knowledge of the effect of ripening o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related compounds contents that could help to establish the optimum A. arguta fruit harvest data for various usages.

음향을 이용한 춘계와 추계에 우리나라 동서남해의 수산자원의 공간적인 분포 및 군집특성 조사 (Study on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aggregation characteristics of fisheries resources in the East Sea, West Sea and South Sea of the South Korea in spring and autumn using a hydroacoustic method)

  • 박준성;황강석;박준수;강명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4권2호
    • /
    • pp.146-156
    • /
    • 2018
  • Acoustic surveys were conducted in the seas surround the South Korea (South Sea A, South Sea B (waters around the Jeju Island), West Sea and East Sea) in spring and autumn in 2016. First,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stributions of fisheries resources animals were examined. In most cases vertical acoustic biomass was high in surface water and mid-water layers other than South Sea A in autumn and West Sea. The highest vertical acoustic biomass showed at the depth of 70-80 m in the South Sea A in spring ($274.4m^2/nmi^2$) and the lowest one was 10-20 m in the West Sea in autumn ($0.4m^2/nmi^2$). With regard to the horizontal distributions of fisheries resources animals, in the South Sea A, the acoustic biomass was high in eastern and central part of the South Sea and the northeast of Jeju Island ($505.4-4099.1m^2/nmi^2$) in spring while it was high in eastern South Sea and the coastal water of Yeosu in autumn ($1046.9-2958.3m^2/nmi^2$). In the South Sea B, the acoustic biomass was occurred high in the southern and western seas of Jeju Island in spring ($201.0-1444.9m^2/nmi^2$) and in the southern of Jeju Island in autumn ($203.7-1440.9m^2/nmi^2$). On the other hand, the West Sea showed very low acoustic biomass in spring (average NASC of $1.1m^2/nmi^2$), yet high acoustic biomass in the vicinity of 37 N in autumn ($562.6-3764.2m^2/nmi^2$). The East Sea had high acoustic biomass in the coastal seas of Busan, Ulsan and Pohang in spring ($258.7{\sim}976.4m^2/nmi^2$) and of Goseong, Gangneung, Donghae, Pohang and Busan in autumn ($267.3-1196.3m^2/nmi^2$). During survey periods, fish schools were observed only in the South Sea A and the East Sea in spring and the West Sea in autumn. Fish schools in the South Sea A in spring were small size ($333.2{\pm}763.2m^2$) but had a strong $S_V$ ($-49.5{\pm}5.3dB$). In the East Sea, fish schools in spring had low $S_V$ ($-60.5{\pm}14.5dB$) yet had large sizes ($537.9{\pm}1111.5m^2$) and were distributed in the deep water depth ($83.5{\pm}33.5m$). Fish schools in the West Sea in autumn had strong $S_V$ ($-49.6{\pm}7.4dB$) and large sizes ($507.1{\pm}941.8m^2$). It was the first time for three seas surrounded South Korea to be conducted by acoustic surveys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and aggregation characteristics of fisheries resources anim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beneficially used for planning a future survey combined acoustic method and mid-water trawling, particularly deciding a survey location, a time period, and a targeting water depth.

추잠기의 적엽이 불발아 및 접목의 활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lberry leaf picking in autumn on the non-budding and survival of grafting)

  • 김문협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권
    • /
    • pp.1-5
    • /
    • 1965
  • 추잠기의 적엽이 익춘의 불발아와 접목의 활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추잠기의 적엽은 익춘의 불발아비율을 증대시키는 원인이 되며 특히 전적엽을 하면 적엽을 하지 않은 것에 비하여 불발아비율이 46%나 증대한다. 그리고 동일한 기조에서 일부분의 엽을 여러가지 방법로 적채하였을 경우에 있어서도 적엽을 한 부분의 불발아율이 적을 하지 않은 부분의 그것 보다 크다. (2) 추잠기의 적엽은 익춘에 그 동아를 일아근접하였을 때에 있어서 그 활착비율을 크게 저하하며 동일지조에 있어서 여러가지 방법으로 적엽을 하였을 경우에 있어서도 적엽을 한부분의 동아의 활착이 적엽을 하지 않은 부분의 보다 항상 좋지 않다. (3) 추잠기에 적엽을 하면 익춘잠기의 수량을 7∼20% 저하시키며 특히 기조의 하반부적엽(20%)과 전적엽구(12%)가 그 정도가 심하다.

  • PDF

임간초지 개발에 관한 연구 XI. 차광조건하에서 질소시비수준이 계절별 , 생육시기별 목초생육과 수량 및 초지식생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Grassland Development In the Forest XI. Effect of nitrogen fertilization on grass growth , yield and botanical composition by growing season and growth stage in in pasture under shade condition)

  • 서성;이종경;한영춘;이무영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89-95
    • /
    • 1990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nitrogen(N) fertilizer levels (0, 120, 240 and 360kg $ha^{-1}Y^{-1}$ Y-') on seasonal grass growth, dry matter (DM) yield and botanical composition in pasture under shade condition. Investigation date was on 7 , 14, 21, 28 and 35 days after harvesting in spring (May), summer (July) and autumn (Sept.), 1988, respectively. Shade degree was controlled artificially ca. 45-50%, and each annual level of N was distributed 5 times equally. Grass growth and DM productivity were most vigorous in spring. Higher DM yield was produced with N 240 kg spring, and Nl2Okg in summer and autumn. Higher significant relationships, in spring, were found between grass height and DM, and N level and DM yield. However, low relationships were observed between those in summer and autumn. In botanical composition, grass coverage was decreased in summer and autumn, and bareland was increased, especially in higher N plots. Based on th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200kg $ha^{-1}$ of N in this experiment is more effective for forage production and pasture persistence. Also a littie more amount of N (50-70kg $time^{-1}$) in spring, and low level of N (20-30kg $time^{-1}$) in summer and autumn may be desirable.

  • PDF

돌나물의 가을 삽목번식에 미치는 삽목용토 및 시기의 영향 (Effects of Cutting Date and Bedsoil on Root and Shoot Growth in Autumn Cutting of Sedum sarmentosum)

  • 안정호;최성식;배종향;이승엽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6-150
    • /
    • 2007
  • 돌나물의 가을 삽목번식을 위한 적정 삽목용토와 삽목시기를 조사하기 위하여, 농가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밭흙, 강모래와 훈탄을 혼합한 삽목용토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밭흙과 모래를 1:1 또는 2:1(v/v)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활착, 지상부 생육 및 뿌리발달이 양호하여 경제적이었다. 선발된 삽목용토(밭흙:모래=2:1) 를 이용하여 $10{\sim}5cm$ 간격으로 가을 노지삽목을 실시한 결과, 9월 초중순에 하는 것이 뿌리 및 지상부 생육이 양호하고, 월동전 충분한 rosette를 확보 할 수 있어 안정적이었다. 따라서 가을 노지삽목 한계기는 9월 20일로서, 삽목시기가 늦을 경우, 이듬해 봄철 적정 수량을 확보를 위하여 삽수의 수량을 25-30% 늘려 밀식재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잠기의 중간벌채정도와 수량과의 관계 (Relation Between the Yield and the Cutting Length of Mulberry Branch in Autumn)

  • 김문협;임수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4
    • /
    • 1977
  • 추잠기에 있어서의 중간베기 정도와 수량과의 관계를 조사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공시한 뽕나무의 발육상태는 거의 같은 정도이었으며 그 평균조장은 171cm~177cm의 범위안에 있었다. (2) 추잠기의 수량은 각구간에 거의 차가 없다. 다만 잔조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잔조에서의 재발아비율이 커진다. (3) 춘잠기의 수량은 100cm 또는 120cm 잔조구는 대조구와 큰 차가 없지만 80cm 이하의 잔조구는 상당히 떨어진다. 100cm 이상 잔조구의 수량이 떨어지지 않는 이유는 중간베기를 하면 잔조에서 불발아비율이 줄어들고 신아의 발육이 촉진되어 단위조장당 신초엽량이 증가하기 대문이다. 다만 중간베기를 하면 신초엽량중의 정엽량비율이 적어진다. (4) 춘추합계 수량에 있어서도 100cm 또는 120cm잔조구는 대조구와 같은 정도이지만 100cm 잔조구가 추잠기에 있어서 잔조에서의 적엽노력이 약간 적게 들어 유리하다. 따라서 추잠기에 있어서의 중간베기의 정도는 종래의 기준인 조장의 l/3 또는 1/2 중간베기의 중간에 위치하는 100cm 잔조를 기준으로 하는것이 타당할 것 같다.

  • PDF

시조에 나타난 가을철 사대부의 여가활동 (The Leisure-Activity on Scholar-Sijo in the Autumn Season)

  • 류해춘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23집
    • /
    • pp.49-69
    • /
    • 2005
  • 본고는 시조를 통해서 나타난 가을철 사대부의 여가활동을 분석하여 우리 민족이 누렸던 여가문화의 한 단면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여가생활이 국민들 사이에 새로운 문화코드로 떠오르면서 웰빙(well-being)이 주목을 받고 있다. 웰빙이란 물질의 가치나 명예를 얻기보다는 신체와 정신이 건강한 삶을 행복의 잣대로 삼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웰빙은 육체 건강과 마음의 안정을 최우선 가치로 한다. 최근에는 웰빙이 여가산업의 한 분야로 변질되면서 상류층의 문화로 왜곡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진정한 여가활동은 경제력을 바탕으로 잘 먹고 잘 살고 폼 나게 사는 것이 아니라, 정신적 만족을 통해 행복을 느끼며 사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생활은 우리나라의 사대부들이 어지러운 세상을 만나 자연과 벗하며 자연의 질서를 존중했던 것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 사대부들은 고약한 세상을 만나면 산림이나 고향으로 돌아와 자연과 함께 하면서 시조나 가사를 지었다. 시조는 어느 계절에 창작되느냐에 따라 그 소재와 주제가 달라진다. 본고에서는 가을철을 소재로 하고 있는 시조를 통해서, 지금 우리 사회에 화두가 되고 있는 웰빙의 정신과 비슷한 자연의 완상과 건강하고 소박한 삶, 그리고 정신적으로 행복한 삶 등을 살펴보려고 한다. 이들 시조는 사대부들이 체험한 여가활동의 양상으로 가을의 정취와 한가로운 삶, 즐거운 생활과 건강식의 향유, 그리고 가을걷이와 행복의 추구 등으로 나누어진다. 주5일 근무제가 시행되고 있는 현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은 및 시조에 나타난 여유와 느림의 미학에 바탕을 둔 사대부의 가을철 여가활동을 음미해봄으로써 심신이 골고루 건강한 여가활동을 즐겨야 할 것이다.

  • PDF

한국의 추잠기 병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ilkworm (Bombyx mort L.) Diseases in Autumn Rearing Season in Korea)

  • 김윤식;손해용;김낙상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15
    • /
    • 1976
  • 한국의 잠병피해율을 알고자 경북 전역에 걸쳐 1975년 추기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 1. 병피해 농가비율은 18.5%이고 상자당 공판량은 무피해 농가가 27.0kg인데 비하며 18.2kg으로 변이의 폭이 크고 평균 미달농가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2. 한국의 총수잠량중 잠병에 의한 감산량은 약 838M/T으로 추산되며 피해율은 5.6%으로 추산되었다. 3. 농병ㆍ연화병이 각각 40.9%, 34.5%로 추잠기잠병의 대부분이었다.

  • PDF